북한 사회의 IT산업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 사회의 IT산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소재 결정의 배경

2. 북한의 인터넷과 네트워크의 보급현황

3. 북한의 인터넷 사용 현황

4. 실직적인 북한 내부에서의 인터넷 사용 현황

5. 북한의 개설된 웹싸이트 현황

6. 북한의 초고속 인터넷 현황

본문내용

인터넷이 통용되지 않는 나라는 북한과 라오스뿐이었다. 폐쇄적인 정치체제에서 알 수 있는 개방화된 인터넷은 주민통제에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이다. 체제유지의 불안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이유다. 일부 인터넷이 사용되고 있긴 하지만 대부분 군사용이다. 아이러니하게도 미 국방성 관련 인터넷 사이트를 가장 많이 서핑하는 나라도 북한이다. 그만큼 북한은 인터넷의 확산을 두려워하고 있다. 정보를 퍼갈 줄만 알았지 공개하는데는 인색하다.
 따라서 북한의 인터넷 인프라 분야는 매우 취약하다. 소프트웨어에 비해 훨씬 낙후되었다. 그렇다고 북한 정부가 정보통신 분야 투자나 선진화 노력을 전혀 안하는 것은 아니다. 또 북한의 컴퓨터 전문가들이 인터넷의 중요성을 모르고 있는 것도 아니다. 북한도 정보통신의 기본이 되는 전화망을 현대화하기 위한 나름대로의 노력을 펼치고 있다.
 최근 북한은 「빛섬유 까벨」이라고 광섬유 케이블 구축에 열을 쏟고 있다. 96년에는 평양시의 전화분국들과 평성시, 동해안과 서해안을 연결하는 700여㎞를 연결하는 전화망에 광섬유 케이블을 깔았다. 또 북한의 서북부 여러 구간들에서도 광섬유 케이블에 의한 자동전화망이 이른 시일내에 개통될 것으로 전망된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3.12.06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67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