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소개
다니엘 싱어
서평
독후감 1
독후감 2
독후감 3
다니엘 싱어
서평
독후감 1
독후감 2
독후감 3
본문내용
진국화되는 것을 세계화라고 여기고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 이들 국가들은 우리에게 그들의 가치를 강요함으로서 그들의 이익을 증대시키고자 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우리가 세계화를 통해 그들을 쫓아가려 하면 할수록 우리는 어쩌면 그들과는 점점 더 격차가 벌어질 수도 있다는 생각도 해본다. 그들의 가치가 우리를 규정하고 그들의 문화 속에 획일화된 모습으로 우리가 존재하게 될지도 모른다. 우리의 삶이 그들의 삶을 쫓아가다가 결국 우리 자신의 정체성도 상실하고 그들의 발 밑에서 그들의 뒤를 쫓다가 그들과의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그들의 이익을 더해주는 역할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세계화는 자본주의의 무서운 논리 즉, 자본에 의한 경제적 약탈을 원활히 하기 위한 움직이다. 제국주의 시대에 제국의 침탈이 세계화 시대에서는 상상할 수 없을 만큼 더욱 빠르고 손쉽게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오늘날의 세계화가 왜 문제가 되는지를 잘 이해할 수 있었고 경제문제에 별 관심 없던 내가 오늘날의 문제가 무엇인지를 되돌아보게 했다. 그저 그토록 넓고 넓은 세계가 각종 통신매체의 발달로 하나가 된다는 것이 세계화라 생각했던 나에게 좀더 건설적인 생각을 하게 했던 것 같다. 우리가 꿈꾸는 이상적인 모습만이 세계화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 것이다.
세계화란 세계적으로 문화의 획일화를 가져올 수도 있고 선도하는 몇 개의 나라들에게만 이익이 돌아갈 수도 있다. 이렇게 세계화는 우리에게 더 큰 화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세계화에 대해 더 잘 알아야하며 그것을 맞이하는 준비를 철저히 해야한다. 세계화를 통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득실을 따지고 그것의 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해야 하겠다. 세계화의 올바른 이해가 우리에게 필요하다. 단 자본주의의 올바른 성립과 제 구실만이 세계화를 아름답게 할 것이다.
독후감 3
미국 중심의 세계화에 대해 반대하며 무절제한 자본주의의 확장을 우려하고 있는 책이다. 오늘날의 세계화가 왜 문제가 되는지를 잘 이해할 수 있었고 경제문제에 별 관심 없던 내가 오늘날의 문제가 무엇인지를 되돌아보게 한 책이다.
제목을 보면 세계화가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이냐고 묻고 있다. 이 비판적인 목소리는 책 전반의 작가의 어조라고 할 수 있다. 세계화는 자본주의의 무서운 논리 즉, 자본에 의한 경제적 약탈을 원활히 하기 위한 움직이다. 세계화에 역행하는 것이 국제사회에서 밀려나는 것이라고 믿던 한국인들이 세계화의 정체를 알아야 한다. 세계화가 빨리 진행될수록 우리나라 경제가 미국인들의 손에서 좌우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제국주의 시대에 제국의 침탈이 세계화 시대에서는 상상할 수 없을만큼 빠르게 진행된다. 더욱 손쉽게 빠르게 진행되는 것이다.
자국의 이익을 위해 전쟁도 마다하지 않는 것은 자본주의 사회의 무서운 면을 단적으로 나타내는 좋은 예라고 한다. 헐리우드 영화처럼 부드럽고 멋진 모습으로 포장하여 우리들을 속게 만들고 자신들이 원하는 것을 얻으려하는 것은 총칼만 들지 않은 전쟁과 같은 것이다.
우리가 세계화를 통해 그들을 쫓아가려 하면 할수록 우리는 어쩌면 그들과는 점점 더 격차가 벌어질 수도 있다는 생각도 해본다. 그들의 가치가 우리를 규정하고 그들의 문화 속에 획일화된 모습으로 우리가 존재하게 될지도 모른다. 우리의 삶이 그들의 삶을 쫓아가다가 결국 우리 자신의 정체성도 상실하고 그들의 발 밑에서 그들의 뒤를 쫓다가 그들과의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그들의 이익을 더해주는 역할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세계화는 자본주의의 무서운 논리 즉, 자본에 의한 경제적 약탈을 원활히 하기 위한 움직이다. 제국주의 시대에 제국의 침탈이 세계화 시대에서는 상상할 수 없을 만큼 더욱 빠르고 손쉽게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오늘날의 세계화가 왜 문제가 되는지를 잘 이해할 수 있었고 경제문제에 별 관심 없던 내가 오늘날의 문제가 무엇인지를 되돌아보게 했다. 그저 그토록 넓고 넓은 세계가 각종 통신매체의 발달로 하나가 된다는 것이 세계화라 생각했던 나에게 좀더 건설적인 생각을 하게 했던 것 같다. 우리가 꿈꾸는 이상적인 모습만이 세계화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 것이다.
세계화란 세계적으로 문화의 획일화를 가져올 수도 있고 선도하는 몇 개의 나라들에게만 이익이 돌아갈 수도 있다. 이렇게 세계화는 우리에게 더 큰 화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세계화에 대해 더 잘 알아야하며 그것을 맞이하는 준비를 철저히 해야한다. 세계화를 통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득실을 따지고 그것의 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해야 하겠다. 세계화의 올바른 이해가 우리에게 필요하다. 단 자본주의의 올바른 성립과 제 구실만이 세계화를 아름답게 할 것이다.
독후감 3
미국 중심의 세계화에 대해 반대하며 무절제한 자본주의의 확장을 우려하고 있는 책이다. 오늘날의 세계화가 왜 문제가 되는지를 잘 이해할 수 있었고 경제문제에 별 관심 없던 내가 오늘날의 문제가 무엇인지를 되돌아보게 한 책이다.
제목을 보면 세계화가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이냐고 묻고 있다. 이 비판적인 목소리는 책 전반의 작가의 어조라고 할 수 있다. 세계화는 자본주의의 무서운 논리 즉, 자본에 의한 경제적 약탈을 원활히 하기 위한 움직이다. 세계화에 역행하는 것이 국제사회에서 밀려나는 것이라고 믿던 한국인들이 세계화의 정체를 알아야 한다. 세계화가 빨리 진행될수록 우리나라 경제가 미국인들의 손에서 좌우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제국주의 시대에 제국의 침탈이 세계화 시대에서는 상상할 수 없을만큼 빠르게 진행된다. 더욱 손쉽게 빠르게 진행되는 것이다.
자국의 이익을 위해 전쟁도 마다하지 않는 것은 자본주의 사회의 무서운 면을 단적으로 나타내는 좋은 예라고 한다. 헐리우드 영화처럼 부드럽고 멋진 모습으로 포장하여 우리들을 속게 만들고 자신들이 원하는 것을 얻으려하는 것은 총칼만 들지 않은 전쟁과 같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