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시장현황
2. 하드웨어 산업이 PC관련 상품의 70% 이상 차지
3. PC 브랜드별 선호도 현황
4. 소프트웨어 산업의 전체 비율은 단지 2%
5. 정보서비스 시장 전년대비 3.4%포인트 상승
2. 하드웨어 산업이 PC관련 상품의 70% 이상 차지
3. PC 브랜드별 선호도 현황
4. 소프트웨어 산업의 전체 비율은 단지 2%
5. 정보서비스 시장 전년대비 3.4%포인트 상승
본문내용
중에서 개발전문기업은 3천개 이상(외자기업 100개사)이다. 그러나 그중 1천명 이상의 중대형 기업은 단지 1천여개에 불과하고 100인 이하의 특히 50인 이하의 소기업이 대부분이다. 향후 소프트웨어 산업개발을 위해 더 많은 대형기업의 육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현재 중국 전체에는 약 14개의 소프트웨어단지가 있으며 10만명의 소프트웨어 개발인력, 40만명의 소프트웨어 응용관련 인력을 보유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인력중 대부분이 초급 엔지니어이고 고급 기술자는 소수에 불과하다. 매년 3만3천명 가량의 컴퓨터학과 졸업생이 사회에 진출하고 있으며 이중 50% 정도가 소프트웨어 관련 인력으로 종사하며 미국 등지에서 유학한 고급 인력들이 귀국해 인터넷 및 소프트웨어 개발 사업에 종사하고는 있으나 여전히 인력부족 현상은 심각하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소프트웨어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그 전망은 밝다고 할 수 있다. 중관촌을 예로 들어 소프트웨어 산업에 있어 중관촌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의 43%로 향후 인터넷의 발전에 따라 소프트웨어 비중과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중관촌에 입주한 기업들을 보면 외국기업으로는 IBM, Microsoft, Intel, MOTOROLA, HP, MITSBISHI 등 유명한 다국적기업들이 R&D센터를 이곳에 설립했다. 외국투자기업의 총수는 1,600여개로 추정되나 우리기업은 거의 없는 상황이다.
중국업체로는 IT분야를 중심으로 聯想, 方正, 四通, 長城, 紫光, 同方, 曙光, 華勝 등이 모두 이곳에 집중되어 있으며 통신분야 4대 생산업체인 華爲, 巨龍, 中興, 大唐과 세계적인 가전업체로의 부상을 목표로 하고 있는 海爾, 海信, TCL, 奧柯瑪 등도 모두 이곳에 R&D센터를 설립한 상태이다. 이외에 지식산업을 이끌고 있는 벤처사업가들, 특히 청화대 학생들이 설립한 視美樂사를 비롯한 기술업체들이 다수 포진해 있다.
●중국 소프트웨어시장 발전 추이(단위: 억원)
연도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매출액
49.1
68
92
112
138
176
230
그러나 아직도 중국 소프트웨어 업계가 해결해야 할 문제는 산적해 있다. 현재 중국의 소프트웨어 산업이 직면한 문제는 제품 개발능력이 부족하고 부가가치가 낮은 범용 제품에 집중되어 있으며 규모화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5. 정보서비스 시장 전년대비 3.4%포인트 상승
정보서비스 시장은 주로 시스템통합(SI), 네트워크서비스, 데이터뱅크, 응용서비스의 4개 분야를 말한다. 중국에 있어 네트워크 이용의 빠른 발전에 힘입어 2000년 중국 네트워크 서비스 시장은 정보서비스 시장 전체의 16.3%로 확대되어 전년보다 3.4%포인트 상승했다.
한편 종래의 시장에서 주력의 위치를 점했던 SI의 점유율은 고부가가치로 인해 아직까지 주력의 위치를 점하고 있으며 점유율은 99년의 79.5%로부터 2000년 76.9%로 하락했다. 2000년 중국내 정보서비스 시장 총규모는 325억위안으로 전년대비 36.3% 증가했다.
소프트웨어 인력중 대부분이 초급 엔지니어이고 고급 기술자는 소수에 불과하다. 매년 3만3천명 가량의 컴퓨터학과 졸업생이 사회에 진출하고 있으며 이중 50% 정도가 소프트웨어 관련 인력으로 종사하며 미국 등지에서 유학한 고급 인력들이 귀국해 인터넷 및 소프트웨어 개발 사업에 종사하고는 있으나 여전히 인력부족 현상은 심각하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소프트웨어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그 전망은 밝다고 할 수 있다. 중관촌을 예로 들어 소프트웨어 산업에 있어 중관촌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의 43%로 향후 인터넷의 발전에 따라 소프트웨어 비중과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중관촌에 입주한 기업들을 보면 외국기업으로는 IBM, Microsoft, Intel, MOTOROLA, HP, MITSBISHI 등 유명한 다국적기업들이 R&D센터를 이곳에 설립했다. 외국투자기업의 총수는 1,600여개로 추정되나 우리기업은 거의 없는 상황이다.
중국업체로는 IT분야를 중심으로 聯想, 方正, 四通, 長城, 紫光, 同方, 曙光, 華勝 등이 모두 이곳에 집중되어 있으며 통신분야 4대 생산업체인 華爲, 巨龍, 中興, 大唐과 세계적인 가전업체로의 부상을 목표로 하고 있는 海爾, 海信, TCL, 奧柯瑪 등도 모두 이곳에 R&D센터를 설립한 상태이다. 이외에 지식산업을 이끌고 있는 벤처사업가들, 특히 청화대 학생들이 설립한 視美樂사를 비롯한 기술업체들이 다수 포진해 있다.
●중국 소프트웨어시장 발전 추이(단위: 억원)
연도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매출액
49.1
68
92
112
138
176
230
그러나 아직도 중국 소프트웨어 업계가 해결해야 할 문제는 산적해 있다. 현재 중국의 소프트웨어 산업이 직면한 문제는 제품 개발능력이 부족하고 부가가치가 낮은 범용 제품에 집중되어 있으며 규모화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5. 정보서비스 시장 전년대비 3.4%포인트 상승
정보서비스 시장은 주로 시스템통합(SI), 네트워크서비스, 데이터뱅크, 응용서비스의 4개 분야를 말한다. 중국에 있어 네트워크 이용의 빠른 발전에 힘입어 2000년 중국 네트워크 서비스 시장은 정보서비스 시장 전체의 16.3%로 확대되어 전년보다 3.4%포인트 상승했다.
한편 종래의 시장에서 주력의 위치를 점했던 SI의 점유율은 고부가가치로 인해 아직까지 주력의 위치를 점하고 있으며 점유율은 99년의 79.5%로부터 2000년 76.9%로 하락했다. 2000년 중국내 정보서비스 시장 총규모는 325억위안으로 전년대비 36.3% 증가했다.
추천자료
우리나라 기업의 중국시장 진출전략에 관한 연구
북경 자전거 감상문과 중국의 시장경제 체제의 문제점
경주지역의 관광시장 현황과 중국인 관광객 및 외래관광객 유치방안
농심 신라면의 중국시장진출전략
외국 온라인게임시장의 특성과 국내 게임업체의 중국 진출 성공사례 분석 및 실패사례와 나아...
㈜Amore Pacific의 중국시장진출 분석
㈜Amore Pacific의 중국시장진출 분석
중국기업 하이얼의 글로벌경영 전략 및 성과와 한국시장진출사례
오리온 초코파이의 중국시장 진출 - ‘STP전략’ 중심으로
아모레퍼시픽, 태평양의 중국시장 진출
에너지 자원 시장에서의 중국의 독주에 관한 연구
SM Entertainment 의 중국시장 진출전략
국내 음식료 기업의 중국시장 진출 현황 분석 - KT&G, 오리온, 롯데제과, CJ제일제당, 롯...
외국기업의 중국 서비스 시장 진출 사례연구.p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