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목차
1. Useware에 관하여
2. 정치문제에 관하여
3. 교육문제에 관하여
4. 기업의 문제점
5. 한국인의 특성
2. 정치문제에 관하여
3. 교육문제에 관하여
4. 기업의 문제점
5. 한국인의 특성
본문내용
못한다."는 속담이 있습니다. 누군가 춤추는 모습을 보고자 춤을 춰보라고 말하면 이내 숨어 버린다는 것입니다. 이 말의 의미를 차분히 되새겨 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는 두 가지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평소에는 아무렇지도 않게 잘 추던 춤이 남 앞에 나서서 춤추면 어색하고 또 잘 안된다는 의미와 내가 하고 싶을 때 춤춘다는 의미입니다. 전자(前者)는 조직 속에서 동화되고자 하는 본성과 아직 춤을 선보일 준비가 되지 않았음을 의미하는 것이며 결국 준비가 되면 잘 출 수 있는 능력이 있음입니다. 결국 이 말은 하라고 시키면 잘 못한다는 의미가 강조되어 있지만 내재된 의미는 나더러 이래라 저래라 하지 말라는 것이 내포되어 있습니다. 그러니 춤추고 싶고 준비만 되어 있다면 그는 춤추는 모습을 주위에서 보기 싫다고 해도 춤을 출 것입니다.
대학을 다니던 시절 조직경영이론에 대해 배운 적이 있습니다. 이는 자발성과 타율성에 대한 성과를 대비시켜 설명하였습니다. 그래프에서 설명하는 점은 타율성(회초리, 폭력, 위협)에 의하여 사람을 대할 경우 성취도의 상승은 단기간에 매우 높은 성취도를 나타낸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고 자신을 움직이게 해 주던 타율성이 사라지게 되면 이전과 같이 배운 것이 아무것도 없는 상황으로 되돌아간다는 점입니다. 반면에 자발성(설득, 합리적 이유, 필요성 인식)에 의한 성취도는 처음에는 상승이 더디어 보이지만 일정한 수준에 도달하게 되면 타율성과 비슷한 수준으로 상승한다는 점입니다. 또한 높은 수준의 성취도는 지간이 지나더라도 높은 수준을 지속하며 오랜 시간이 지난 다음에도 일정한 수준을 유지한다는 점입니다.
타율성에 중점을 둔 동기부여를 행하는 사람을 우리는 보스라고 부릅니다. 때로는 말을 듣지 않는다고 때리기도 하고 말 안 들으면 가만 안 둔다고 협박도 하니까요. 자발성에 중점을 둔 동기부여를 행하는 사람을 우리는 리더라고 부릅니다. 그는 자신이 힘들더라도 조직원에 대한 믿음을 결코 버리지 않고 인내심을 가지고 솔선수범하기를 꺼리지 않으니까요.
이런 말이 있습니다. "조선 놈들은 모름지기 몽둥이가 약이야." 참 기분 나쁜 말이지만 이 말은 옳은 말처럼 들립니다. 이 도표는 그 말의 의미를 다시금 살펴볼 수 있게 합니다. 한국인은 타율성에 의해 단기간에 반응(성취도)을 나타냅니다. 하지만 그는 곧 그런 일이 있는지를 까맣게 잊어먹은 사람입니다. 그리고 아무 일 없었다는 듯이 행동합니다. 이것은 한국인의 두 번째 특성인 성급한 면과 결부되어 성급하게 한국인을 평가한 말에 지나지 않습니다. 한국인의 내재된 가치를 알지 못한 말일 뿐입니다.
만약 진정으로 한국인을 변화시키고 싶다면 자발성에 기초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합리적인 이유와 명분을 가지고 설득을 통해서 사람을 감화시키고, 감동시키지 않는 리더는 결코 조직을 변화시킬 수 없습니다. 하지만 이 과정은 많은 희생과 자기 수련이 된 사람만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그 사람은 리더로서 존경과 신뢰를 받게 됩니다.
불신의 근원에는 무지가 있다.
조직과 환경에 순응하며 단결하여 문제점을 극복하는 능동성을 가지고 있다.
일본은 왜 우리나라를 침략하여 수립된 총독부는 왜 전국 강산을 다니면서 말뚝을 박았는가?
급격한 변화를 꺼리고 누군가 자신을 위해 알려주기를 기대한다.
삼성전자를 대상으로 한 매일 경제의 최근 조사에서 직원의 41%가 회사는 직원의 기술과 지식보다 태도와 같은 것을 훨씬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느끼고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기업이 문화와 태도를 강조하면서 더 강화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공부를 더 하려고 하는 한국인은 없다.
10% 이하의 한국인만이 어떠한 형태이건 평생 교육에 참여하고 있다. 이것은 인구의 40% 가량이 평생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프랑스와 미국 같은 나라와 비교하면 낮은 수치이다.
사람을 다루는 기술, 그것을 우리는 흔히 리더십이라고 부릅니다. 왜냐하면 사람이 모여 있는 조직을 형성하고 이 조직을 이끌어 가는 사람을 리더라고 하며, 리더십은 리더만의 전유물이기 보다 많은 사람의 공감에 의해 형성된 것이기 때문입니다.
기억하십시오. 아무리 경제력이 강해도 결국 그 경제력이 발휘되는 것은 전쟁이라는 형태입니다. 2000년의 역사를 되돌아보면 아니 단군 이래의 역사적인 사건은 모두 전쟁의 역사라는 점입니다.
이스라엘의 청년에 대한 이야기를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나라가 전쟁에 처하자 전쟁터에 나가 싸우기 위해 유학길을 중도에 포기하고 귀국하여 전장에 나가 용감히 싸웠다는 내용입니다. 우리 한국인은 이러한 마인드를 가지고 있을까요? 그렇지 못하다면 왜 그럴까요?
공사를 구분하지 않는다. 자신이 성공하여 공적으로 얻은 자산을 자식을 위한 학교공부나 자신의 고향 선후배를 위한 일을 할 경우에는 전폭적으로 지원해 줍니다. 자신의 아들을 우수한 인재로 만들기 위해 집안을 기둥뿌리를 뽑아서라도 해외 유학, 어학연수 시키고 엄청난 외국 자취생활에 대한 부담금도 결코 부담스러워 하지 않는 것이 한국의 부유층 부모들입니다. 그 분들은 내 돈을 내가 내 맘대로 쓰는데 무슨 상관이냐고 말할지 모르지만 자신이 얻은 재산은 결국 공적인 사업이나 사회로부터 얻은 것인데 사회의 이익을 반대하여 남용하는 것에 대한 책임감은 없습니다.
하이터치(High Touch)의 구현 : 하이터치는 하이테그(High Tech)와 휴먼터치(Human Touch)를 합한 말입니다. 최근에 TV 프로그램을 통해 할머니가 어린 아이를 어루만져 주는 사회봉사활동의 한 장면을 보았습니다. 인간의 따스한 손길(Human Touch)를 받고 자란 아이는 삶을 더 낙관적이고 능동적으로 살아가며 사랑이 더 많은 아이로 자라난다고 합니다. 이러한 온정(溫情)을 자칫하면 21세기의 디지털 문명의 딱딱함과 냉정함 속에서 잃어버리지 않고 구현해 내는 것, 그래서 개인이 자아를 실현하고 삶의 더욱 여유롭게 영위(營爲)하며 인간의 인간됨을 잃지 않도록 하자는 뜻입니다. 이러한 예는 아이와 함께 자전거를 타고 산책길을 달리며 함께 웃는 웃음이 될 수도 있고, 사랑하는 연인과 호수가에 앉아 석양을 바라보며 나누는 속삭임이 될 수도 있습니다.
대학을 다니던 시절 조직경영이론에 대해 배운 적이 있습니다. 이는 자발성과 타율성에 대한 성과를 대비시켜 설명하였습니다. 그래프에서 설명하는 점은 타율성(회초리, 폭력, 위협)에 의하여 사람을 대할 경우 성취도의 상승은 단기간에 매우 높은 성취도를 나타낸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고 자신을 움직이게 해 주던 타율성이 사라지게 되면 이전과 같이 배운 것이 아무것도 없는 상황으로 되돌아간다는 점입니다. 반면에 자발성(설득, 합리적 이유, 필요성 인식)에 의한 성취도는 처음에는 상승이 더디어 보이지만 일정한 수준에 도달하게 되면 타율성과 비슷한 수준으로 상승한다는 점입니다. 또한 높은 수준의 성취도는 지간이 지나더라도 높은 수준을 지속하며 오랜 시간이 지난 다음에도 일정한 수준을 유지한다는 점입니다.
타율성에 중점을 둔 동기부여를 행하는 사람을 우리는 보스라고 부릅니다. 때로는 말을 듣지 않는다고 때리기도 하고 말 안 들으면 가만 안 둔다고 협박도 하니까요. 자발성에 중점을 둔 동기부여를 행하는 사람을 우리는 리더라고 부릅니다. 그는 자신이 힘들더라도 조직원에 대한 믿음을 결코 버리지 않고 인내심을 가지고 솔선수범하기를 꺼리지 않으니까요.
이런 말이 있습니다. "조선 놈들은 모름지기 몽둥이가 약이야." 참 기분 나쁜 말이지만 이 말은 옳은 말처럼 들립니다. 이 도표는 그 말의 의미를 다시금 살펴볼 수 있게 합니다. 한국인은 타율성에 의해 단기간에 반응(성취도)을 나타냅니다. 하지만 그는 곧 그런 일이 있는지를 까맣게 잊어먹은 사람입니다. 그리고 아무 일 없었다는 듯이 행동합니다. 이것은 한국인의 두 번째 특성인 성급한 면과 결부되어 성급하게 한국인을 평가한 말에 지나지 않습니다. 한국인의 내재된 가치를 알지 못한 말일 뿐입니다.
만약 진정으로 한국인을 변화시키고 싶다면 자발성에 기초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합리적인 이유와 명분을 가지고 설득을 통해서 사람을 감화시키고, 감동시키지 않는 리더는 결코 조직을 변화시킬 수 없습니다. 하지만 이 과정은 많은 희생과 자기 수련이 된 사람만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그 사람은 리더로서 존경과 신뢰를 받게 됩니다.
불신의 근원에는 무지가 있다.
조직과 환경에 순응하며 단결하여 문제점을 극복하는 능동성을 가지고 있다.
일본은 왜 우리나라를 침략하여 수립된 총독부는 왜 전국 강산을 다니면서 말뚝을 박았는가?
급격한 변화를 꺼리고 누군가 자신을 위해 알려주기를 기대한다.
삼성전자를 대상으로 한 매일 경제의 최근 조사에서 직원의 41%가 회사는 직원의 기술과 지식보다 태도와 같은 것을 훨씬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느끼고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기업이 문화와 태도를 강조하면서 더 강화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공부를 더 하려고 하는 한국인은 없다.
10% 이하의 한국인만이 어떠한 형태이건 평생 교육에 참여하고 있다. 이것은 인구의 40% 가량이 평생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프랑스와 미국 같은 나라와 비교하면 낮은 수치이다.
사람을 다루는 기술, 그것을 우리는 흔히 리더십이라고 부릅니다. 왜냐하면 사람이 모여 있는 조직을 형성하고 이 조직을 이끌어 가는 사람을 리더라고 하며, 리더십은 리더만의 전유물이기 보다 많은 사람의 공감에 의해 형성된 것이기 때문입니다.
기억하십시오. 아무리 경제력이 강해도 결국 그 경제력이 발휘되는 것은 전쟁이라는 형태입니다. 2000년의 역사를 되돌아보면 아니 단군 이래의 역사적인 사건은 모두 전쟁의 역사라는 점입니다.
이스라엘의 청년에 대한 이야기를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나라가 전쟁에 처하자 전쟁터에 나가 싸우기 위해 유학길을 중도에 포기하고 귀국하여 전장에 나가 용감히 싸웠다는 내용입니다. 우리 한국인은 이러한 마인드를 가지고 있을까요? 그렇지 못하다면 왜 그럴까요?
공사를 구분하지 않는다. 자신이 성공하여 공적으로 얻은 자산을 자식을 위한 학교공부나 자신의 고향 선후배를 위한 일을 할 경우에는 전폭적으로 지원해 줍니다. 자신의 아들을 우수한 인재로 만들기 위해 집안을 기둥뿌리를 뽑아서라도 해외 유학, 어학연수 시키고 엄청난 외국 자취생활에 대한 부담금도 결코 부담스러워 하지 않는 것이 한국의 부유층 부모들입니다. 그 분들은 내 돈을 내가 내 맘대로 쓰는데 무슨 상관이냐고 말할지 모르지만 자신이 얻은 재산은 결국 공적인 사업이나 사회로부터 얻은 것인데 사회의 이익을 반대하여 남용하는 것에 대한 책임감은 없습니다.
하이터치(High Touch)의 구현 : 하이터치는 하이테그(High Tech)와 휴먼터치(Human Touch)를 합한 말입니다. 최근에 TV 프로그램을 통해 할머니가 어린 아이를 어루만져 주는 사회봉사활동의 한 장면을 보았습니다. 인간의 따스한 손길(Human Touch)를 받고 자란 아이는 삶을 더 낙관적이고 능동적으로 살아가며 사랑이 더 많은 아이로 자라난다고 합니다. 이러한 온정(溫情)을 자칫하면 21세기의 디지털 문명의 딱딱함과 냉정함 속에서 잃어버리지 않고 구현해 내는 것, 그래서 개인이 자아를 실현하고 삶의 더욱 여유롭게 영위(營爲)하며 인간의 인간됨을 잃지 않도록 하자는 뜻입니다. 이러한 예는 아이와 함께 자전거를 타고 산책길을 달리며 함께 웃는 웃음이 될 수도 있고, 사랑하는 연인과 호수가에 앉아 석양을 바라보며 나누는 속삭임이 될 수도 있습니다.
추천자료
우리 나라 교육 현황
대안교육과 특기적성교육의 활성화
교원의 정치 활동, 바람직한가
정치계에 불고 있는 여풍의 재조명
[스포츠][스포츠정치][청소년스포츠]스포츠의 의의, 스포츠의 특성, 스포츠와 정치, 스포츠정...
학교에서의 반부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정당정치][정당정치의 역사][정당정치의 필요성][정당정치의 체제][정당정치와 개혁]정당정...
국가발전과 교육에 대하여
[정치민주화, 정치민주화 역사, 정치민주화 권력주의, 정치민주화 중국 사례, 정치민주화 개...
[개입, 정부개입, 시장개입, 정치개입, 노사관계개입]개입과 정부개입, 개입과 시장개입, 개...
교장 공모 과정에 관한 미시정치적 분석,분석의틀,미시정치적 관점,이익집단들,권력,전략,연...
정치 개혁 시민연대 기관 방문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