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스파일 비평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엑스파일 비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The X-Files 소개
2. 엑스파일의 내용과 구조
3. 레포트 전개 방향 소개

Ⅱ. 본론
1. 구조주의 비평
(1) 계열체적 분석
ⅰ) 이항대립 ⅱ) 구조화된 반복 (구체성의 논리) ⅲ) 변칙기간
(2) 은유
(3) 환유
(4) 신화 분석
2. 정신분석학적 비평
(1) 무의식
(2) 성
ⅰ)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ⅱ) 리비도
(3) 방어기제
ⅰ) 부인 ⅱ) 고착 ⅲ) 억제
3. 페미니즘 비평
4. 포스트모더니즘 비평
(1) 패러디 & 패스티쉬
(2) 풍유(allegory)와 관객참여
(3) 주변문화의 부흥
5. 음모이론
(1) 음모이론의 정의
(2) 이데올로기 비판과의 연관성
(3) 엑스파일과 음모이론
6. 수용자 조사

Ⅲ. 결론

본문내용

***********************
설문에 응해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본 설문지를 메일로 보내 주시기 바랍니다.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그럼 안녕히 계십시오.
이상의 설문조사를 이용한 수용자 분석을 통하여 엑스파일 애호가들의 엑스파일 시청 이유와 시청 형태를 간략하게나마 알 수 있었다. 분석 결과, 설문에 참여한 엑스파일 애호가들은 엑스파일에 매우 만족하고 있고, 여러 특성 중 구조적 특성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음모이론이라는 주제를 가장 흥미로워하였다. 그리고 외계인과 심령현상에 매력을 느끼고 있었고, 시즌간의 시간 간격에 대하여 긍정적이었으며, 엑스파일을 가장 엑스파일답게 해 주는 미디어는 TV라고 답했다. 또한 그들이 가장 좋아하는 시즌은 한국에서 비교적 많은 사람들의 관심 속에 방영된 3∼6 시즌이며, 20대 여성에게 엑스파일이 가장 많이 소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물론 36명으로부터의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한 허점 많은 수용자 분석이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반드시 의미 있는 것은 아닐 것이다.
Ⅲ. 결론
엑스파일에 대한 이상과 같은 이론적 비평을 통하여, 별 생각 없이 줄거리와 인물에만 주의를 기울여 오락 중심의 감상만을 하던 데에서 벗어나, 이성을 사용한 철처한 분석을 하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매체비평 강의에서 배웠던 구조주의, 정신분석학, 페미니즘, 마르크스주의, 실증적인 방법 등은 엑스파일 분석에 유용한 도구로 쓰였다.
엑스파일은 멀더와 스컬리의 이항대립을 지니고 있었고, 우주와 지구에서 시작되어 포스트모더니즘과 모더니즘의 이항대립으로 이어지는 구조화된 반복을 띄고 있었다. 그리고 시즌간의 시간 간격은 시청자와 제작자 모두에게 휴식과 재음미의 기회를 제공하는 긍정적인 기능을 하고 있었다. 또한 멀더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스컬리는 모더니즘의 은유였고, 외계인·괴물·유령 등은 문명에 대한 두려움의 은유임과 동시에 사람들의 불안이 형상화된 상징체였으며, 사람들은 엑스파일 시청을 통해 문명과 근대성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에 가상적으로 대처한다는 면에서 엑스파일의 신화적 특성이 발견되었다. 게다가 진실을 한 번에 보여 주지 않고 여러 차례 나누어 부분적으로 보여주는 것은, 제유의 특성에 해당함과 동시에 알레고리를 통한 모호함 형성과 관객참여 유도에도 기여한다는 것을 밝혀 내었다. 이 밖에도, 멀더에게 납치된 여동생 사만다는 멀더의 욕망의 중심인 남근에 해당하고, 그로 인해 멀더는 정부와 FBI라는 "아버지"에 대항하여 금기를 위반하는 안티 오이디푸스 궤적을 그린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엑스파일에 등장하는 여성은 남성과 동일한 지위이며 성적 대상이 아니라는 점에서 엑스파일의 페미니즘적 성격이 발견되었고, 탈중심화·탈정전화에 따른 패러디·패스티쉬·알레고리·관객참여·주변문화부흥 등의 포스트모더니즘적인 성격 또한 찾아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시청자들이 가장 관심 있어 하는 음모이론의 흔적들이 엑스파일 도처에서 발견되었다.
부족하고 흠 많은 레포트이지만, 생각할 기회와 가치 있는 글쓰기를 할 기회를 갖게 되어 보람있었다. 이번 학기는 엑스파일 비평을 하기 위한 기간이었다고 해도 전혀 과언이 아니다. 매체비평 강의는 물론이고, 대중문화론, 영화론, 지식 사회학, 온라인 저널리즘 강의에서 배운 내용과 실습한 것들이 엑스파일 비평에 적극 활용되었다. 레포트 작성은 진정 고통의 시간이었지만, 덕분에 한 학기를 정리할 수 있었고 보람있는 학기를 보냈다는 행복감을 느낄 수 있었다. 이제 매체비평에 눈을 떴으니 이론 공부와 더불어 실전 비평을 본격적으로 해 볼 생각이다. 마지막으로, 매체비평 강의로 정말 수고하신, 그리고 나에게 이런 소중하고 가치 있는 기회를 주신 교수님께 온 마음을 다하여 감사드린다.
참 고 문 헌
① 조혜련, "X파일의 모든 것", 토마토, 1997
② 한희정, "매체비평 강의노트" 2000.10.09 2면, 2000
③ http://www.zootv.pe.kr/xfiles/about/x_about.htm
④ 강소원, "현대 영화와 분석 입문" 45면, 지원, 1999
⑤ 한희정, "매체비평 강의노트" 2000.10.09 3면, 2000
⑥ 한희정, "매체비평 강의노트" 2000.11.06 5면, 2000
⑦ 한희정, "매체비평 강의노트" 2000.11.06 2면, 2000
⑧ Asa Berger, "Popular Culture Genres : Theories And Texts" 71면, Sage Publications, 1992
⑨ 원용진, "대중 문화의 패러다임" 218∼129면, 한나래, 1997
⑩ 한희정, "매체비평 강의노트" 2000.11.21 5면, 2000
⑪ 김욱동, "포스트모더니즘의 이해", 1990
⑫ http://user.chollian.net/~lsh32/det7.html
⑬ http://hanbat.chungnam.ac.kr/~gunja/so-3.htm
⑭ http://www.zootv.pe.kr/xfiles/about/xf_kino_open1.htm
⑮ http://www.zootv.pe.kr/xfiles/about/xf_kino_fanclub2.htm
http://nadir.pe.kr/Ethics/data-bank/concept/thought/t242.htm
http://cineline.co.kr/zine/essay02.html
http://mm.ewha.ac.kr/~jhcho/spring99/dark/theory.htm
전태국, "지식사회학" 44면, 사회문화연구소, 1997
전태국, "지식사회학" 46면, 사회문화연구소, 1997
ⓐ 전태국, "지식사회학" 57면, 사회문화연구소, 1997
ⓑ 전태국, "지식사회학" 94면, 사회문화연구소, 1997
ⓒ 전태국, "지식사회학" 120면, 사회문화연구소, 1997
ⓓ 한희정, "매체비평 강의노트" 2000.11.13 2면, 2000
ⓔ 원용진, "대중 문화의 패러다임" 113면, 한나래, 1997
ⓕ Asa Berger, "Popular Culture Genres : Theories And Texts" 70면, Sage Publications, 1992
  • 가격1,6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3.12.11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75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