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프(pipe)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파이프(pipe)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파이프 시스템 콜

2. 파이프의 scale

3. 파이프 close

4. 봉쇄되지 않는 read와 write

5. 다수의 파이프를 취급하기 위해 select 사용

6. 파이프와 exec 시스템 호출

7. FIFO와 이름형 파이프

8. FIFO를 이용한 프로그래밍

9. 어플리케이션

본문내용

ul 27 22:30 fifos
-rw-rw-r-- 1 ben usr 7152 Jul 27 22:11 pipes.cont
- 디렉토리 목록은 Is에 의하여 먼저 만들어지고 FIFO에 쓰여지면, 기다리고 있던 cat 명령이 FIFO로부터 자료를 읽어 화면에 보여줌.
- cat를 수행하는 프로세스는 exit 함(wait 명령은 쉘로 하여금 프롬프틀 나타내기전에 cat가 퇴장할 때까지 기다리도록 함)
8. FIFO를 이용한 프로그래밍
FIFO는 pipe 시스템 호출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mkfifo 시스템 호출을 이용하여 만들어 UNIX의 옛 버전에서는 mknod라는 보다 일반적인 호출을 사용해야 할 수도 있는데,
#include
#include
int mkfifo (const chat *pathname, mode_t mode);
- *pathname과 같은 FIFO 파일이 생성됨
- FIFO 파일의 소유권을 위한 mode설정
일단 생성되면, 하나의 FIFO는 open을 사용하여 개방되어야 하는데 아래의 단편은 쓰기 위해 FIFO를 개방함.
#include
#include
#include
.
.
mkfifo ("/tmp/fifo", 0666);
.
.
fd = open("/tmp/fifo", O_WRONL);
open 호출은 다른 프로세스가 읽기 위해 FIFO를 개방할 때까지 봉쇄됨(물론 FIFO가 이미 읽기 위해 개방되어 있다면, open도 가능하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 open 호출시 O_NONBLOCK 플래그를 O_RDONLY 또는 O_WRONLY 중 하나와 결합하여 사용해야 함)
if((fd = open("/tmp/fifo", O_WRONLY | O_NONBOCK)) == -1)
perror("open on fifo");
프로세스가 없음 : open은 봉쇄되는 대신 -1을 돌려줌(errno는 ENXIO를 가짐)
open이 성공적으로 수행 : 수행되는 FIFO에 대한 write 호출 역시 봉쇄되지 않음.
9. 어플리케이션
예) Gigabit EtherNet
최근에는 시스코, 베이네트웍스등의 업계에서 고속 이더넷 기술을 이용해 기가 비트급에 가까운 성능을 낼 수 있는 가상파이프(Virtual pipe)기술을 내놓고 있음.
포트 통합기술, 트렁킹기술, 대역폭 접합기술로도 불리는 가상 파이프 기술을 물리적으로 분리된 각각의 채널들을 논리적으로 가상 파이프로 묶어낸다는 개념.
- 따라서 낮은 대역폭의 회선을 사용하면서도 실제로는 높은 대역폭을 구현할 수 있음.
- 기존의 네트워크 장비나 케이블을 교체하지 않고서도 대역폭을 확장할 수 있는 장점.
- 기가비트 이더넷의 표준작업 난항으로 100Mbps급 고속이더넷 포트를 이용해 기가
비트급 성능을 낼 수 있는 고속 이더넷 가상 파이프 기술이 기가비트 이더넷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음.
현재 기가비트 이더넷 시장은 기가비트 이더넷 기술과 장비를 기반으로 백본 장비 시장 진출을 모색하는 쓰리콤, 인텔 외에도 시스코, 노텔 네트웍스, 케이블트론 등 백본 장비 시장에서 강세를 보이던 업체들이 참여함.
국내 네트워크 장비 시장은 지난해 하반기를 고비로 NIC(Network Interface Card)와 워크그룹 장비의 경우 100Mbps 패스트 이더넷, 백본 장비 시장은 기가비트 이더넷이라는 구도가 형성.
- 업계에서는 기가비트 이더넷은 지난해까지 국내 백본 장비 시장에서 10∼15% 정도의 시장을 점유했지만 올해는 40∼50%대의 시장점유율을 확보하면서 백본 장비 시장의 주력 기술로 자리잡을 것으로 전망함.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3.12.11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76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