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영국의 점진적 개혁
2. 프랑스 혁명과 반동
3. 독일과 이탈이아의 통일
4. 미국의 도약
5. 러시아의 짜르체제
6. 사회주의의 발전
2. 프랑스 혁명과 반동
3. 독일과 이탈이아의 통일
4. 미국의 도약
5. 러시아의 짜르체제
6. 사회주의의 발전
본문내용
때를 같이한 산업혁명은 공업화를 촉진했다. 여기서 공업적
자본주의 및 연방주의를 옹호하는 동북부와 노예제에 입각한 면화재배의 대농장
경영에 따라 자유무역 및 지방분권을 옹호하는 남부 사이에 괴리가 심화되고, 이
는 남북전쟁으로 폭발했다.(1861-1865) 북부의 승리로 끝난 전쟁의 결과, 국가의
단합, 남부 중산계급의 형성, 공업 및 교통수단의 발전에 따른 경제혁명 등이 이루
어져 자본주의가 비약적으로 발전했다.
5. 러시아의 짜르체제
피오트르의 근대화로 18세기 중엽에 유럽열강의 지위에 오른 러시아는 농노제
와 짜르의 전제정 등 가장 낙후된 구조에 입각해 있었다. 유럽 자유주의의 물결
은 러시아의 군대주의를 지향하는 데카브리스트의 반란(1825)을 초래했으나 곧 진
압되었다. 이후 극심한 반동정치 속에서 소위 '인텔리겐찌야'라는 지식인층은 러
시아에 부재된 시민계급을 대신해 근대적 개혁을 추구했는데, 이들은 유럽지향적
인 서구주의와 러시아 지향적인 슬라브주의로 분열되어 있었다.
18세기 중엽 크리미아전쟁에서 패전으로 국제적인 낙후성을 실감한 러시아는
농노해방(1861)을 중심으로 내정개혁을 단행했으나, 전제정치는 본질적으로 변혁
되지 않았다. 인텔리겐찌아 사이에는 허무주의와 무정부주의자, 농민계몽에 나선
나로드니키(인민주의자) 등이 나타났으나 별 무성과였다. 그러나 1890년대부터 본
격화된 상업혁명으로 마르크스주의적인 사회민주당과 중산계급에 입각한 자유주
의적인 입헌민주당이 출현했다. 사회민주당은 20세기 초에 볼세비키와 멘셰비키로
분열했다.
6. 사회주의의 발전
사회주의는 산업혁명으로 발전한 자본주의의 모순을 극복하려는 사상체계로 등
장했다. 생 시몽, 푸리에, 오우엔 등의 초기사회주의자들은 계몽과 설득을 중시한
반면,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과학적 사회주의를 표방했다. 사회발전의 원동력인 물
질적 생산력의 발전은 생산양식과 생산관계를 변화시켜 계급투쟁을 초래하고, 계
급투쟁의 역사 중 한 단계인 자본주의는 그 자체의 모순으로 몰락해 계급 없는
사회주의 사회가 도래한다는 것이다.
마르크스는 자본주의의 붕괴를 촉진하기 위한 노동자의 단결을 촉구해 국제노
동자협회를 조직했다. 이후 사회주의는 서구에서는 선거와 의회, 노조 등을 통한
노동문제의 점진적 해결을 중시한 사회민주주의로, 러시아를 비롯한 동구에서는
폭력과 혁명으로 일시에 사회주의를 건설하려 한 공산주의계열로 갈라졌다.
자본주의 및 연방주의를 옹호하는 동북부와 노예제에 입각한 면화재배의 대농장
경영에 따라 자유무역 및 지방분권을 옹호하는 남부 사이에 괴리가 심화되고, 이
는 남북전쟁으로 폭발했다.(1861-1865) 북부의 승리로 끝난 전쟁의 결과, 국가의
단합, 남부 중산계급의 형성, 공업 및 교통수단의 발전에 따른 경제혁명 등이 이루
어져 자본주의가 비약적으로 발전했다.
5. 러시아의 짜르체제
피오트르의 근대화로 18세기 중엽에 유럽열강의 지위에 오른 러시아는 농노제
와 짜르의 전제정 등 가장 낙후된 구조에 입각해 있었다. 유럽 자유주의의 물결
은 러시아의 군대주의를 지향하는 데카브리스트의 반란(1825)을 초래했으나 곧 진
압되었다. 이후 극심한 반동정치 속에서 소위 '인텔리겐찌야'라는 지식인층은 러
시아에 부재된 시민계급을 대신해 근대적 개혁을 추구했는데, 이들은 유럽지향적
인 서구주의와 러시아 지향적인 슬라브주의로 분열되어 있었다.
18세기 중엽 크리미아전쟁에서 패전으로 국제적인 낙후성을 실감한 러시아는
농노해방(1861)을 중심으로 내정개혁을 단행했으나, 전제정치는 본질적으로 변혁
되지 않았다. 인텔리겐찌아 사이에는 허무주의와 무정부주의자, 농민계몽에 나선
나로드니키(인민주의자) 등이 나타났으나 별 무성과였다. 그러나 1890년대부터 본
격화된 상업혁명으로 마르크스주의적인 사회민주당과 중산계급에 입각한 자유주
의적인 입헌민주당이 출현했다. 사회민주당은 20세기 초에 볼세비키와 멘셰비키로
분열했다.
6. 사회주의의 발전
사회주의는 산업혁명으로 발전한 자본주의의 모순을 극복하려는 사상체계로 등
장했다. 생 시몽, 푸리에, 오우엔 등의 초기사회주의자들은 계몽과 설득을 중시한
반면,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과학적 사회주의를 표방했다. 사회발전의 원동력인 물
질적 생산력의 발전은 생산양식과 생산관계를 변화시켜 계급투쟁을 초래하고, 계
급투쟁의 역사 중 한 단계인 자본주의는 그 자체의 모순으로 몰락해 계급 없는
사회주의 사회가 도래한다는 것이다.
마르크스는 자본주의의 붕괴를 촉진하기 위한 노동자의 단결을 촉구해 국제노
동자협회를 조직했다. 이후 사회주의는 서구에서는 선거와 의회, 노조 등을 통한
노동문제의 점진적 해결을 중시한 사회민주주의로, 러시아를 비롯한 동구에서는
폭력과 혁명으로 일시에 사회주의를 건설하려 한 공산주의계열로 갈라졌다.
추천자료
러시아 혁명 -프랑스 혁명과 비교해서
프랑스 혁명과 그에 대한 평가
프랑스 혁명 (부르주아혁명)의 의의와 특징, 파급효과 ,한계
프랑스 대혁명(1789~1799년) 에 대해서
프랑스 대혁명
프랑스 혁명의 전개과정 및 의의,한계
프랑스 대혁명
프랑스 대혁명에 관하여
혁명으로 보는 프랑스 사회 (프랑스 혁명,7월 혁명.2월 혁명,68혁명)
프랑스 혁명의 발생 과정
프랑스 혁명 그리고 나폴레옹 전쟁과 유럽인의 삶의 변화
프랑스 대혁명
[17C][17세기][북벌론][청교도혁명]17C(17세기)의 북벌론, 17C(17세기)의 정국, 17C(17세기)...
프랑스 1968년 5월 혁명의 세계사적 배경과 의의 (5월 혁명의 세계적(경제적‧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