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시작하는 글
2. `독일 음악의 우월성`
3. 쇤베르크의 `독일음악`에 관한 개념
3.1. 작곡 기법적 측면
3.2. 쇤베르크의 역사관과 `음악적 사고`
4. 끝맺는 말: 쇤베르크의 음악적 정체성
2. `독일 음악의 우월성`
3. 쇤베르크의 `독일음악`에 관한 개념
3.1. 작곡 기법적 측면
3.2. 쇤베르크의 역사관과 `음악적 사고`
4. 끝맺는 말: 쇤베르크의 음악적 정체성
본문내용
t der Musikblaetter des Anbruch/6, August/September-Heft 1924, 312-313쪽. Hanns Eisler: Musik und Politik I, 15쪽 재인용.
22) Arnold Schoenebrg: Nationale Musik, 253쪽.
23) 위의 글, 253쪽.
24 Arnold Schoenberg: Neue Musik, veraltete Musik, Stil und Gedanke(1946), 74쪽.
25) Arnold Schoenberg: Brahms, der Fortschrittliche, 77쪽.
26) 위의 책, 89쪽.
27) 이러한 산문적 음악언어는 ("음악구조의 문법적이며 통사론적 부분"이 되어)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고 한다. (위의 책, 89쪽)
28 바그너도 '음악의 산문화'에 브람스와는 다른 방법으로 기여를 했다고 할 수 있다. 위의 글 73쪽.
29) 위의 책, 100쪽.
30) 이러한 쇤베르크의 진보적 음악사관은 그가 죽은 후에 더욱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로 인해 음악사에 미친 약점도 부인할 수 없는 상황을 초래했다. 즉 쇤베르크의 관점에 들어 맞지 않는 많은 음악가들은 소외되고 제대로 이해되지도 못하고 부당한 평가를 받게 되었다. 그렇다고 여기에 쇤베르크가 책임을 져야하는 것도 아니며, 그를 비난할 수도 없다. 누구든 자신의 고유한 관점에서 음악과 음악사를 바라볼 자유와 권리가 있기 때문이다. 오히려 문제는 그의 말과 그의 관점을 절대화시켜 음악사적 시야를 좁게 만든 제자들과 후세 음악인 및 학자들에게 있다.
31) Mathias Hansen: Arnold Shoenberg. Ein Konzept der Moderne, Kassel 1993, 10쪽.
32) Schoenberg: Neue und veraltete Musik, oder Stil und Gedanke, 216쪽.
33) 위의 책, 216쪽. 1947년 개정판에는 이 대목을 삭제하였다. 음악 내재적인 힘보다 예술가의 천재성에 더 비중을 두려는 것 같다.
34) Christian M. Schmidt: Ueber Schoenbergs Geschichtsbewusstsein. Zwischen Tradition und Fortschritt. Mainz 1973, 91쪽. Mathias Hansen: Arnold Schoenberg. Ein Konzept der Moderne 10쪽 재인용.
35) 위의 책, 215쪽.
36) Mathias Hansen: Arnold Schoenberg Ein Konzept der Moderne, 12쪽.
37) 위의 글 10쪽.
38 Schoenberg: Neue Musik, veraltete Musik, Stil und Gedanke, Stil und Gedanke, 51쪽.
39 Mathias Hansen: Arnold Schoenberg, 45쪽.
40) 위의 책, 12쪽.
41) Mathias Hansen: Arnold Schoenberg: Ein Konzept der Moderne, 9쪽 참고. 물론 이 개념은 나중에 초기의 자기 정당화 성격을 뛰어 넘게 되며, 일생동안 쇤베르크에게 매력적인 것으로 끝없이 정신적으로 자극한다.
42) 바하는 일종의 포장일 가능성이 크다. 실제 그가 주장하고자 하는 것은 자신의 비판자들을 효과적으로 반격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자신과 바하의 관계를 형성시킴으로 생기는 유리한 점은 자신에 대한 모든 반대입장이 바하에 대한 비판으로 나타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43) Arnold Schoenberg: Neue und veraltete Musik, oder Stil und Gedanke, 219쪽.
44) 위의 책. 219.
45) 스트라빈스키의 새로운 음악적 혁신을 인정하지 못한 것 또는 인정하지 않으려 한 것은 쇤베르크의 큰 약점에 속하며, 어떻게 한 관점에 맞지 않는 것이 희생당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46) Arnold Schoenberg: Nationale Musik, 252쪽.
47) 위의 책, 252쪽.
48) Gerhard Kolberg(Hg.): Die Expressionisten. Vom Aufbrauch bis zur Verfremdung. Museum Ludwig Koeln, Verlag Gerd Hatje 1996, 8쪽.
49) Wolfgang Rihm: Ringen mit Schoenberg.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 2000.11.17일자 신문.
50) Arnold Schoenberg: Briefe, Hg. v. Erwin Stein, Mainz 1958, 230쪽.
51 Giselher Schubert: Schoenberg, Arnold, Metzler Komponisten Lexikon, 694쪽.
52 Mathias Hansen: Arnold Schoenberg. Ein Konzept der Moderne, 50쪽.
53) Arnold Schoenberg: Nationale Musik, 254쪽.
54) Martin Vogel: Schoenberg und die Folgen 2, Bonn 1997, 436쪽. Helmut Federhofer: Das Neue an der Neuen Musik des 20. Jahrhunderts, Theophil Antonicek(Hg.), Studien zur Musikwissenschaft. Beihefte der Denkmaeler der Tonkunst in Oesterreich Bd. 47, Tutzing 1999, 403쪽 재인용.
55) Helmut Federhofer: Das Neue an der Neuen Musik des 20. Jahrhunderts, Theophil Antonicek(Hg.), Studien zur Musikwissenschaft. 414쪽.
56) Hans Heinrich Eggebrecht: Musik im Abendland, Muenchen und Zuerich 1991, 770쪽.
22) Arnold Schoenebrg: Nationale Musik, 253쪽.
23) 위의 글, 253쪽.
24 Arnold Schoenberg: Neue Musik, veraltete Musik, Stil und Gedanke(1946), 74쪽.
25) Arnold Schoenberg: Brahms, der Fortschrittliche, 77쪽.
26) 위의 책, 89쪽.
27) 이러한 산문적 음악언어는 ("음악구조의 문법적이며 통사론적 부분"이 되어)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고 한다. (위의 책, 89쪽)
28 바그너도 '음악의 산문화'에 브람스와는 다른 방법으로 기여를 했다고 할 수 있다. 위의 글 73쪽.
29) 위의 책, 100쪽.
30) 이러한 쇤베르크의 진보적 음악사관은 그가 죽은 후에 더욱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로 인해 음악사에 미친 약점도 부인할 수 없는 상황을 초래했다. 즉 쇤베르크의 관점에 들어 맞지 않는 많은 음악가들은 소외되고 제대로 이해되지도 못하고 부당한 평가를 받게 되었다. 그렇다고 여기에 쇤베르크가 책임을 져야하는 것도 아니며, 그를 비난할 수도 없다. 누구든 자신의 고유한 관점에서 음악과 음악사를 바라볼 자유와 권리가 있기 때문이다. 오히려 문제는 그의 말과 그의 관점을 절대화시켜 음악사적 시야를 좁게 만든 제자들과 후세 음악인 및 학자들에게 있다.
31) Mathias Hansen: Arnold Shoenberg. Ein Konzept der Moderne, Kassel 1993, 10쪽.
32) Schoenberg: Neue und veraltete Musik, oder Stil und Gedanke, 216쪽.
33) 위의 책, 216쪽. 1947년 개정판에는 이 대목을 삭제하였다. 음악 내재적인 힘보다 예술가의 천재성에 더 비중을 두려는 것 같다.
34) Christian M. Schmidt: Ueber Schoenbergs Geschichtsbewusstsein. Zwischen Tradition und Fortschritt. Mainz 1973, 91쪽. Mathias Hansen: Arnold Schoenberg. Ein Konzept der Moderne 10쪽 재인용.
35) 위의 책, 215쪽.
36) Mathias Hansen: Arnold Schoenberg Ein Konzept der Moderne, 12쪽.
37) 위의 글 10쪽.
38 Schoenberg: Neue Musik, veraltete Musik, Stil und Gedanke, Stil und Gedanke, 51쪽.
39 Mathias Hansen: Arnold Schoenberg, 45쪽.
40) 위의 책, 12쪽.
41) Mathias Hansen: Arnold Schoenberg: Ein Konzept der Moderne, 9쪽 참고. 물론 이 개념은 나중에 초기의 자기 정당화 성격을 뛰어 넘게 되며, 일생동안 쇤베르크에게 매력적인 것으로 끝없이 정신적으로 자극한다.
42) 바하는 일종의 포장일 가능성이 크다. 실제 그가 주장하고자 하는 것은 자신의 비판자들을 효과적으로 반격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자신과 바하의 관계를 형성시킴으로 생기는 유리한 점은 자신에 대한 모든 반대입장이 바하에 대한 비판으로 나타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43) Arnold Schoenberg: Neue und veraltete Musik, oder Stil und Gedanke, 219쪽.
44) 위의 책. 219.
45) 스트라빈스키의 새로운 음악적 혁신을 인정하지 못한 것 또는 인정하지 않으려 한 것은 쇤베르크의 큰 약점에 속하며, 어떻게 한 관점에 맞지 않는 것이 희생당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46) Arnold Schoenberg: Nationale Musik, 252쪽.
47) 위의 책, 252쪽.
48) Gerhard Kolberg(Hg.): Die Expressionisten. Vom Aufbrauch bis zur Verfremdung. Museum Ludwig Koeln, Verlag Gerd Hatje 1996, 8쪽.
49) Wolfgang Rihm: Ringen mit Schoenberg.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 2000.11.17일자 신문.
50) Arnold Schoenberg: Briefe, Hg. v. Erwin Stein, Mainz 1958, 230쪽.
51 Giselher Schubert: Schoenberg, Arnold, Metzler Komponisten Lexikon, 694쪽.
52 Mathias Hansen: Arnold Schoenberg. Ein Konzept der Moderne, 50쪽.
53) Arnold Schoenberg: Nationale Musik, 254쪽.
54) Martin Vogel: Schoenberg und die Folgen 2, Bonn 1997, 436쪽. Helmut Federhofer: Das Neue an der Neuen Musik des 20. Jahrhunderts, Theophil Antonicek(Hg.), Studien zur Musikwissenschaft. Beihefte der Denkmaeler der Tonkunst in Oesterreich Bd. 47, Tutzing 1999, 403쪽 재인용.
55) Helmut Federhofer: Das Neue an der Neuen Musik des 20. Jahrhunderts, Theophil Antonicek(Hg.), Studien zur Musikwissenschaft. 414쪽.
56) Hans Heinrich Eggebrecht: Musik im Abendland, Muenchen und Zuerich 1991, 77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