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폭력과 행동의 연관성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한국인의 가정폭력에 대한 태도
2. 외국의 선행연구

Ⅲ. 연구 방법
1. 연구 목적
2. 개념정의 및 측정도구
3. 자료선정 및 수집방법
4. 자료분석 방법

Ⅳ. 연구결과
1. 가정폭력에 대한 태도
2. 가정폭력에 대한 태도와 행동의 차이
3. 가정폭력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가정폭력에 대한 태도와 행동의 불일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Ⅴ.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태도와 행동의 불일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배우자의 폭력유무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자녀폭력의 필요성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지녔으면서도 자녀에게 체벌을 가하는 부모의 경우, 배우자가 자녀를 체벌할 때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높은 분포를 나타낸다. 그러나 이는 폭력정도가 경미한 자녀체벌유형에 제한된 것으로, 심한 자녀폭력은 배우자의 자녀구타 여부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폭력의 경우, 아내구타나 남편구타에 부정적인 태도를 지녔으면서도 배우자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응답자는 상대방 배우자의 구타 유무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아내구타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지닌 남편의 아내구타율은 아내의 남편구타가 있을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많이 나타난다. 그러나 심각한 정도의 아내구타에서는 통계적 유의미를 갖지는 못했다. 한편, 남편구타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지닌 아내의 남편구타는 폭력의 정도에 관계없이 남편의 구타가 있을 경우 남편의 구타가 없을 때보다 더 많이 나타났다. 따라서 배우자의 구타여부는 응답자의 폭력에 대한 태도와 행동의 불일치를 설명해주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추론이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이것을 성별로 하여 그 정도의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는 여성의 경우가 남성보다 배우자의 폭력유무가 태도와 행동의 불일치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즉, 남편구타에 부정적인 태도를 가진 아내가 남편에게 맞을 때 본인도 폭력을 행사하게 되는 경우가 아내구타에 부정적인 남편이 아내에게 맞을 때 행사하게 되는 폭력보다 더 많이 나타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 역시 Dibble과 Straus(1990)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응답자 자신이 가진 가정폭력에 대한 태도보다도 배우자에 의한 폭력행동이 응답자 자신의 폭력행동에 많은 영향을 주는 조사결과를 지지한다. 특히 상당수 여성의 남편구타는 남편의 구타에 방어하거나 반응으로서 발생되는 경우가 많은 것이라는 Dibble & Straus(1990)의 해석은 한국인의 가정폭력에 대한 태도와 행동을 이해하는데 있어서도 매우 적절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가정 내 폭력은 대부분 폭력이 일과성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후 피해자의 가정폭력에 대한 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러한 악순환은 세대를 이어가게 된다.
아직까지도 우리 사회의 많은 가정들은 자녀구타나 배우자구타 등 가정폭력에 대해 너무나 허용적이며 심지어는 훈육 또는 질서유지라는 미명 아래 필요성까지도 느끼고 있다. 폭력가정을 예방하고 행복하고 건강한 가정을 만들어가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적 개입이 시급하다. 우선 폭력에 대한 관용적 태도를 없애기 위해서는 지역사회복지관 등을 통한 가정폭력의 폐해와 범법 사실을 적극 홍보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개입시 지역사회자원과의 연계와 협조가 절대적으로 필요한데, 그 대표적 기관들로는 경찰, 종교단체, 학교, 병원, 여성단체나 지역방송국 등이다. 사회복지사들은 이러한 단체들의 인적·물적 자원들을 연계하고 효과적으로 조직하여 가정폭력에 대한 왜곡된 태도와 행동을 변화시켜야 할 것이다.
한편 임상가들은 가정폭력이 가해자와 피해자 사이에 악순환적 파급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가급적 치료시 부부치료 또는 가족치료에 관심을 두어야 할 것이다. 특히 폭력가정의 자녀들이 성장시 습득해 가는 폭력성을 줄이기 위해 올바른 분노조절방법이나 갈등해결방법 등을 가르쳐야 할 것이다. 그동안 폭력가정 개입시 특히 부부폭력의 경우, 가해자나 피해자에 국한되어 개입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폭력의 피해가 전 가족에게 미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가족전반에 대한 개입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김재엽 (1995), "가정폭력의 실태와 임상개입에 관한 연구: 재미한인가정을 중심으로", 연세사회복지연구 제 2권.
______ (1997), "사회적 스트레스와 가정폭력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제 5권.
변화순, 원영애, 최은영 (1993), "가정폭력의 예방과 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이배근 (1996), "아동학대와 사회사업적 개입", 한국정신보건사회사업학회 '96추계학술대회자료집.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2), "가정폭력의 실태와 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Ball-Rokeach, Sandra J. (1973), "Values and Violence: A Test of the subculture of Violence Thesi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Dibble, Ursula G. & Straus, Murray A. (1990), "Some Social Structure Determinants of Inconsistency Between Attitudes and Behavior : The Case of Family Violence."; "Physical Violence in American Families; New Brunswick, New Jersey.
Straus, Murray A. (1977), "Normative and Behavioral Aspects of Violence Between Spouses: Preliminary Data on a Nationally Representative USA Sample." Paper presented at the Symposium on Viloence in Canadian Society, Simon Fraser University.
Walker, Lenore E. (1977-1978), "Battered Women and Learned Helplessness." Victimology.
Wauchope, Babara A. & Straus, Murray A. (1990), "Age, Calss, and Gender Differences in Physical Punishment and Physical Abuse of American Children."; "Physical Violence in American Families; New Brunswick, New Jersey.
  • 가격2,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3.12.13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81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