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중국의 사상
2. 중국의 문화
2. 중국의 문화
본문내용
다. 8월15일이 가을의 중간에 있다 하여 중추절이라 불려지고 있으며 고대 역법에서는 8월을 '중추'라고 불렀으므로 중추절을 '중치우지에'라고 부르기도 한다. 또한 가을의 밝고 맑은 달빛을 띄는 둥근 달이 단결과 화목의 상징이라 여겼기 때문에 단원절이라고도 불렀다. 옛날부터 지금까지 중국인들은 달의 등금과 이지러짐으로 '슬픔과 기쁨, 이별과 상봉l'을 표현하였고 타향살이 나그네들은 달에 애틋한 감정을 실어 시로 담아내기도 하였다. 당나라 시인 이백의 '고개 들어 밝은 달을 보고 고개 숙여 고향을 그리네', 두보의 '이슬은 오늘밤처럼 하애지고 달은 고향 달이 밝겠지'와 송나라 왕안석의 '봄바람은 또 강남의 강가를 푸르게 하는데 밝은 달은 언제나 나의 귀향 길을 비출까?' 등의 시구는 천고의 명시로 남아있다.
중추절은 오래된 명절로 달에 제사를 지내는 것과 달 구경을 하는 것은 이 명절의 중요한 행사이다. 옛날 제왕들은 봄에는 해, 가을에는 달에 제사 지내는 제도가 있었고 민가에서도 중추절에 달에 제사를 지내는 풍습이 있었는데 후에 달 구경이 제사보다 중시되면서 엄숙한 제사는 가벼운 오락으로 변하였다. 중추절 달을 구경하는 풍속이 당나라 때에 특히 번성했었으며 많은 시인들의 시에서 달을 읊는 시구가 많았다. 송나라, 명나라, 청나라 때에는 궁전과 민간 사회에서 달에 제사하고 달 구경하는 행동이 나라 전체의 큰 규모의 행사가 되었다. 중국 여러 지방에는 아직도 많은 '배월단', '배월정', '망월루'의 유적이 있다. 북경의 '월단'이 바로 명나라 가정년에 황실에서 달에 제사를 지내기 위해 축조한 것이다. 중추절 달이 떠오를 때 밖에 상을 갖춰놓고 월병, 석류, 대추 등의 제사상을 차려 놓고 달에 제사를 지낸 후 집안 식구가 상에 둘러앉아 갖가지 음식을 먹으면서 이야기도 나누고 달 구경도 하였다. 지금, 달에 제사를 지내는 것은 상징적이며 명절의 분위기를 돋우는 행사로 여겨지고 있지만, 중국인 마음속에는 달의 의미가 그대로 살아 있다. 중추절의 기원에 대해 민간에서 전해 내려오는 여러 가지 전설과 신화가 있는데 그 중에 대표적으로 '상아가 달로 올라가다' 와 '주언장의 월병봉기' 등이 있다.
중추절에는 중국 각지에서 대규모의 경축행사가 벌어지는데 제일 대표적인 것이 등회이다. 중추등회로는 다음과 같은 행사들이 있다.
판용채등, 상아가 달나라 가다, 각양각색의 채색등, 연화마등, 금용비우, 등용전이 그 예이다.
중추절은 오래된 명절로 달에 제사를 지내는 것과 달 구경을 하는 것은 이 명절의 중요한 행사이다. 옛날 제왕들은 봄에는 해, 가을에는 달에 제사 지내는 제도가 있었고 민가에서도 중추절에 달에 제사를 지내는 풍습이 있었는데 후에 달 구경이 제사보다 중시되면서 엄숙한 제사는 가벼운 오락으로 변하였다. 중추절 달을 구경하는 풍속이 당나라 때에 특히 번성했었으며 많은 시인들의 시에서 달을 읊는 시구가 많았다. 송나라, 명나라, 청나라 때에는 궁전과 민간 사회에서 달에 제사하고 달 구경하는 행동이 나라 전체의 큰 규모의 행사가 되었다. 중국 여러 지방에는 아직도 많은 '배월단', '배월정', '망월루'의 유적이 있다. 북경의 '월단'이 바로 명나라 가정년에 황실에서 달에 제사를 지내기 위해 축조한 것이다. 중추절 달이 떠오를 때 밖에 상을 갖춰놓고 월병, 석류, 대추 등의 제사상을 차려 놓고 달에 제사를 지낸 후 집안 식구가 상에 둘러앉아 갖가지 음식을 먹으면서 이야기도 나누고 달 구경도 하였다. 지금, 달에 제사를 지내는 것은 상징적이며 명절의 분위기를 돋우는 행사로 여겨지고 있지만, 중국인 마음속에는 달의 의미가 그대로 살아 있다. 중추절의 기원에 대해 민간에서 전해 내려오는 여러 가지 전설과 신화가 있는데 그 중에 대표적으로 '상아가 달로 올라가다' 와 '주언장의 월병봉기' 등이 있다.
중추절에는 중국 각지에서 대규모의 경축행사가 벌어지는데 제일 대표적인 것이 등회이다. 중추등회로는 다음과 같은 행사들이 있다.
판용채등, 상아가 달나라 가다, 각양각색의 채색등, 연화마등, 금용비우, 등용전이 그 예이다.
추천자료
중국민족문화사 진에대하여 (근대문화사
중국문화와 일본문화의 비교 분석
중국문화의 이해
중국진출전략_문화,법률,지리,법인설립
중국음식문화
[중국문화]문화대혁명
중국문화이해발표
[중국문화] 문화대혁명
중국음식문화의 이해
아시아의 역사 - 인도의 고전문화, 마우리아 왕조, 인도의 이슬람 왕조, 한의 중국문화 기틀...
중국문화를 통한 문화콘텐츠의 발전을 위한 아이디어
[중국어권문화] 상해(상하이 / 上海) - 상해의 역사, 상해의 문화, 상해탐방.pptx
2017년 1학기 중국문화산책 중간시험과제물 B형(남방 문화의 특성)
2017년 1학기 중국문화산책 중간시험과제물 A형(북방 문화의 특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