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3.결론
2.본론
3.결론
본문내용
유토피아의 이상은 점점 더 멀어지는 듯하다. 앞서 제시했던 욕망 이론처럼 우리의 이상조차 조작되어 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러셀 자코비는 그의 저서 '유토피아의 종말'을 통해 근대자본주의 사회에서 또다른 유토피아의 종말을 이야기한다. 자코비는 ‘꿈꾸는 정신’이 사라진 것, ‘내일이 오늘보다 나을 것이라는 감각적 믿음을 포기한 것’이 진정한 ‘유토피아의 종말’이라고 강조하는 것이다. 이렇듯 이상을 품고 사는 것마저 허용하지 않는 사회 그리고 심지어 인간에게 인위적으로 이상을 심어주는 자본의 논리 등이 판치는 이 세상에 있어서 토마스 모어가 암묵적으로 제시하는 소극적인 유토피아관마저 아득한 꿈처럼 느껴진다. 하지만 이러한 역설적인 상황에서 토머스 모어가 그리는 유토피아가 더욱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닐까?
추천자료
진화론적 자유주의와 자생적 시장 사회의 유토피아
유토피아와 경관 우로보로스적인 맥락
현실에 입각해서 바라본 나의 유토피아
'비 오는 날‘을 읽고 생각해 본 문제들
유토피아적 시장 만능주의에 내포된 위험성과 경제체제의 바람직한 방향
영문학 작문 유토피아 영작에세이
유토피아 경영의 야마다 아키오
[역사속의 과학] 원형 천하도, 유토피아적 세계관의 표상?
[서평]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을 읽고
[독후감] ‘100년후 그리고 인간의 선택‘을 읽고 나서 _ 조너선 위너 저
토마스 모어 유토피아1 정리
[서평] 180억 공무원 을 읽고
[서평] 예수와 함께한 저녁식사을 읽고 - 예수와 함께한 저녁식사 감상문 - 예수와 함께한 저...
청년 헤겔의 신학론집 베른 프랑크푸르트 시기을 읽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