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EU 수입시장 개관 .
1. 총수입규모 추이
2. 주요수입대상국 변동 추이
3. 주요수입품목 변동 추이
4. 한국수출에 있어 EU시장이 갖는 의의
II. EU시장에서의 한/중/일 경쟁 현황
1. 한/중/일 3국의 대EU 수출동향
가. 수출규모 및 수입시장점유율
나. 수출품목
2. EU 시장에서 한-중/한-일 경쟁동향
가. 한-중 경쟁동향
나. 한-일 경쟁동향
III. 한/중/일 경쟁동향 분석에 따른 결론
IV. 수출확대 대책
1. 총수입규모 추이
2. 주요수입대상국 변동 추이
3. 주요수입품목 변동 추이
4. 한국수출에 있어 EU시장이 갖는 의의
II. EU시장에서의 한/중/일 경쟁 현황
1. 한/중/일 3국의 대EU 수출동향
가. 수출규모 및 수입시장점유율
나. 수출품목
2. EU 시장에서 한-중/한-일 경쟁동향
가. 한-중 경쟁동향
나. 한-일 경쟁동향
III. 한/중/일 경쟁동향 분석에 따른 결론
IV. 수출확대 대책
본문내용
한-중간 경합품목수 : '96년 113개 → '01년 139개로 26개 품목 증가
- 중국과의 경합품목이 우리나라의 대EU 천만달러 이상 수출품목에서 차 지하는 비중이 '96년 63.5% → '01년 79.4%로 증가
- 한-일간 경합품목수 : '96년 128개 → '01년 130개로 2개 품목 증가
- 일본과의 경합품목이 우리나라의 대EU 천만달러 이상 수출품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96년 71.9% → '01년 74.2%로 증가
ㅇ 또한 한-중이 경합을 벌이고 있는 품목 중 EU 수입시장점유율이 1위 인 품목을 비교해 보면 1996년의 경우 한국은 4개, 중국은 25개였으나, 2001년은 한국은 6개, 중국은 38개로 중국의 경쟁력이 크게 증가하였음 을 보여주고 있음.
ㅇ 그러나 한-일이 경합을 벌이고 있는 품목 중 EU 수입시장점유율이 1위 인 품목을 비교해 보면 1996년의 경우 한국은 5개, 일본은 36개였으나, 2001년은 한국은 6개, 일본은 27개로, 일본의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약해 졌음을 볼 수 있음.
□ 중국은 특히 한국과 일본시장 잠식
ㅇ 천만달러 수출품목중 EU 시장 점유율이 1위인 품목수를 보면 한국의 경우 변동이 없고 ( '96년 9개 → '01년 9개), 중국은 대폭 증가 ('96년 126개 → 173개), 일본은 감소('96년 73개 → '01년 56개)로 나타나, 중 국의 EU 시장 잠식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음.
ㅇ 특히 '96년 일본이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했던 품목 중 6개를 '01년에는 중국이 차지하고 있는바, 이중 2개의 품목을 제외하고는 특히 기술을 요하는 품목이라고 할 수 있음.
- 합성필라멘트사의 직물(5407), 철강제의 체인과 그 부분품(7315), 철강제 의 스토브,레인지(7321), 턴테이블.음성재생기(8519), 안경테(9003), 카메라 (9006)
ㅇ 한편 '96년 한국이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했던 품목 9개중 3개를 '01년에는 중국이 차지하고 있는 바, 한국의 비첨단제품의 EU시장 1위 탈락에는 중국과의 경쟁에서 한국이 열세를 나타낸 것이 중요한 사유로 작용
- 넥타이류(6215), 기타의 현악기(9202), 낚시대,낚시용구(9507)
□ 한/중/일 모두 컴퓨터, 무선통신기기 등 기술제품에서의 경합 치열
ㅇ '01년 대EU 수출 10대 수출품목 중 한/중/일에 모두 포함되어 있는 품 목은 컴퓨터, 무선통신기기, 전자응용기기 등 부분품으로서 기술제품에 서의 한/중/일 경합이 치열한 것으로 분석됨.
ㅇ 한/중/일 3개국의 대EU 10대 수출품목을 살펴보면, 한국의 경우 '96년 10대품목이었던 유선전화기 및 팩시밀리가 '01년에는 10대 품목에서 탈 락하고 대신 건설기계, LED.LCD가 추가됨으로써 '01년 중국의 10대품목 으로 추가된 유선전화기 및 팩시밀리가 중국과의 가격경쟁력에서 밀렸 음을 알 수 있는 반면,
ㅇ 중국의 경우 '96년 10대 수출품목에 속했던 경공업 및 단순기술제품이 라 할 수 있는 변압기, 여성정장이 '01년에는 10대품목에서 탈락하고, 대 신 기술품목인 무선통신기기, 유선전화기 및 팩시밀리가 10대품목에 추 가됨으로써 기술품목에서 일본 및 한국과 경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IV. 수출확대 대책
□ 일류상품, 틈새상품 위주로 수출상품 특화
ㅇ 우리나라의 대EU 수출품목중 전기/전자, 기계, 자동차 등 3대품목군이 전체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67.5%나 차지하여, 이들 품목에 대한 의 존도가 중국(43.4%) 보다는 매우 높은 실정이며, 이들 품목의 중국 및 일본과의 경합이 치열한 바, 수출상품을 다양화, 고도화 할 필요가 절실 함.
ㅇ 2001년 기준 대EU 수출액 천만 달러 이상인 한국의 수출 품목 175개 중 중국 및 일본과 경합하지 않는 품목 수는 10개에 불과함.
- 우리나라만의 수출 품목 : 석유조제품(2710), 탄화물(2849), 혼합알킬벤젠 과 혼합알킬나프탈렌(3817), 강력사의 타이어코드직물(5902), 파일편 물(6001), 천연 또는 합성의 귀석 또는 반귀석의 더스트와 분(7105),
철 또는 비합금강의 형강(7216), 스테인레스강의 선(7223), 세탁기
(8450), 화차(8606)
- 따라서 우리나라가 경쟁력을 갖고 EU시장에서 확고한 위치를 확보할 수 있는 일류상품, 틈새품목을 발굴, 육성하여 수출 품목을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
□ 고유브랜드 육성 및 지속적 이미지 관리
ㅇ 우리의 대EU 수출의 60% 이상이 주문자 상표부착(OEM) 방식의 수출 로 장기적 시장확대에 애로요인으로 작용
- 가전, 자동차, 악기, 통신기기 등 일부 대기업제품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주문자 브랜드로 수출
ㅇ 고유브랜드 개발이 쉽지 않은 중소기업의 경우 유럽내 인지도가 높은 대기업 브랜드 이미지를 활용하여 시장 진출하는 방안 모색
- 유럽시장에서의 일등상품 브랜드 이미지를 활용하여 수출이 가능한 중 소기업 연관제품의 지속적인 발굴 필요
□ 첨단기술을 요하는 품목에 대한 꾸준한 R&D 투자로 경쟁력 유지
ㅇ 한국의 주력수출품목인 컴퓨터, 무선통신기기, 전자응용기기 등 부분품 이 중국과 일본의 주력수출품목이기도 한 바, 동품목에서의 경쟁력을 계속 유지하기 위해서는 꾸준한 R&D 투자가 요구됨.
ㅇ 또한 한국의 강력한 경쟁상대인 중국이 상기 부문 외에도 FDI 유치에 의한 승용차, 반도체 부문에 집중 투자한 바 있으므로 이들 품목에서 의 경쟁이 조만간 치열해 질 전망인 바, 기술 개발 및 R&D 투자 확대
□ 한·중·일 경제 통합
ㅇ 중장기적으로 한·중·일 3국의 FTA 체결을 통한 경제 통합이 추진되어야함.
- 현재 한·중·일 3국은 상기한 바와 같이 주력 수출 품목의 경합
도가 높은 실정인바, 이는 유사 품목간 중복 과다 투자를 유발해 비효 율을 초래하고 있음.
- FTA 체결을 통해 생산 요소의 비교우위와 보완성을 바탕으로 각자 경 쟁력있는 품목에 특화, 특화 품목 다변화하는 방향으로 산업 구조를 재 편하여 중복 과다 투자를 없애 효율성을 기하고, 이를 통해 세계 경제의 중심축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는 가능성 모색.
- 중국과의 경합품목이 우리나라의 대EU 천만달러 이상 수출품목에서 차 지하는 비중이 '96년 63.5% → '01년 79.4%로 증가
- 한-일간 경합품목수 : '96년 128개 → '01년 130개로 2개 품목 증가
- 일본과의 경합품목이 우리나라의 대EU 천만달러 이상 수출품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96년 71.9% → '01년 74.2%로 증가
ㅇ 또한 한-중이 경합을 벌이고 있는 품목 중 EU 수입시장점유율이 1위 인 품목을 비교해 보면 1996년의 경우 한국은 4개, 중국은 25개였으나, 2001년은 한국은 6개, 중국은 38개로 중국의 경쟁력이 크게 증가하였음 을 보여주고 있음.
ㅇ 그러나 한-일이 경합을 벌이고 있는 품목 중 EU 수입시장점유율이 1위 인 품목을 비교해 보면 1996년의 경우 한국은 5개, 일본은 36개였으나, 2001년은 한국은 6개, 일본은 27개로, 일본의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약해 졌음을 볼 수 있음.
□ 중국은 특히 한국과 일본시장 잠식
ㅇ 천만달러 수출품목중 EU 시장 점유율이 1위인 품목수를 보면 한국의 경우 변동이 없고 ( '96년 9개 → '01년 9개), 중국은 대폭 증가 ('96년 126개 → 173개), 일본은 감소('96년 73개 → '01년 56개)로 나타나, 중 국의 EU 시장 잠식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음.
ㅇ 특히 '96년 일본이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했던 품목 중 6개를 '01년에는 중국이 차지하고 있는바, 이중 2개의 품목을 제외하고는 특히 기술을 요하는 품목이라고 할 수 있음.
- 합성필라멘트사의 직물(5407), 철강제의 체인과 그 부분품(7315), 철강제 의 스토브,레인지(7321), 턴테이블.음성재생기(8519), 안경테(9003), 카메라 (9006)
ㅇ 한편 '96년 한국이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했던 품목 9개중 3개를 '01년에는 중국이 차지하고 있는 바, 한국의 비첨단제품의 EU시장 1위 탈락에는 중국과의 경쟁에서 한국이 열세를 나타낸 것이 중요한 사유로 작용
- 넥타이류(6215), 기타의 현악기(9202), 낚시대,낚시용구(9507)
□ 한/중/일 모두 컴퓨터, 무선통신기기 등 기술제품에서의 경합 치열
ㅇ '01년 대EU 수출 10대 수출품목 중 한/중/일에 모두 포함되어 있는 품 목은 컴퓨터, 무선통신기기, 전자응용기기 등 부분품으로서 기술제품에 서의 한/중/일 경합이 치열한 것으로 분석됨.
ㅇ 한/중/일 3개국의 대EU 10대 수출품목을 살펴보면, 한국의 경우 '96년 10대품목이었던 유선전화기 및 팩시밀리가 '01년에는 10대 품목에서 탈 락하고 대신 건설기계, LED.LCD가 추가됨으로써 '01년 중국의 10대품목 으로 추가된 유선전화기 및 팩시밀리가 중국과의 가격경쟁력에서 밀렸 음을 알 수 있는 반면,
ㅇ 중국의 경우 '96년 10대 수출품목에 속했던 경공업 및 단순기술제품이 라 할 수 있는 변압기, 여성정장이 '01년에는 10대품목에서 탈락하고, 대 신 기술품목인 무선통신기기, 유선전화기 및 팩시밀리가 10대품목에 추 가됨으로써 기술품목에서 일본 및 한국과 경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IV. 수출확대 대책
□ 일류상품, 틈새상품 위주로 수출상품 특화
ㅇ 우리나라의 대EU 수출품목중 전기/전자, 기계, 자동차 등 3대품목군이 전체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67.5%나 차지하여, 이들 품목에 대한 의 존도가 중국(43.4%) 보다는 매우 높은 실정이며, 이들 품목의 중국 및 일본과의 경합이 치열한 바, 수출상품을 다양화, 고도화 할 필요가 절실 함.
ㅇ 2001년 기준 대EU 수출액 천만 달러 이상인 한국의 수출 품목 175개 중 중국 및 일본과 경합하지 않는 품목 수는 10개에 불과함.
- 우리나라만의 수출 품목 : 석유조제품(2710), 탄화물(2849), 혼합알킬벤젠 과 혼합알킬나프탈렌(3817), 강력사의 타이어코드직물(5902), 파일편 물(6001), 천연 또는 합성의 귀석 또는 반귀석의 더스트와 분(7105),
철 또는 비합금강의 형강(7216), 스테인레스강의 선(7223), 세탁기
(8450), 화차(8606)
- 따라서 우리나라가 경쟁력을 갖고 EU시장에서 확고한 위치를 확보할 수 있는 일류상품, 틈새품목을 발굴, 육성하여 수출 품목을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
□ 고유브랜드 육성 및 지속적 이미지 관리
ㅇ 우리의 대EU 수출의 60% 이상이 주문자 상표부착(OEM) 방식의 수출 로 장기적 시장확대에 애로요인으로 작용
- 가전, 자동차, 악기, 통신기기 등 일부 대기업제품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주문자 브랜드로 수출
ㅇ 고유브랜드 개발이 쉽지 않은 중소기업의 경우 유럽내 인지도가 높은 대기업 브랜드 이미지를 활용하여 시장 진출하는 방안 모색
- 유럽시장에서의 일등상품 브랜드 이미지를 활용하여 수출이 가능한 중 소기업 연관제품의 지속적인 발굴 필요
□ 첨단기술을 요하는 품목에 대한 꾸준한 R&D 투자로 경쟁력 유지
ㅇ 한국의 주력수출품목인 컴퓨터, 무선통신기기, 전자응용기기 등 부분품 이 중국과 일본의 주력수출품목이기도 한 바, 동품목에서의 경쟁력을 계속 유지하기 위해서는 꾸준한 R&D 투자가 요구됨.
ㅇ 또한 한국의 강력한 경쟁상대인 중국이 상기 부문 외에도 FDI 유치에 의한 승용차, 반도체 부문에 집중 투자한 바 있으므로 이들 품목에서 의 경쟁이 조만간 치열해 질 전망인 바, 기술 개발 및 R&D 투자 확대
□ 한·중·일 경제 통합
ㅇ 중장기적으로 한·중·일 3국의 FTA 체결을 통한 경제 통합이 추진되어야함.
- 현재 한·중·일 3국은 상기한 바와 같이 주력 수출 품목의 경합
도가 높은 실정인바, 이는 유사 품목간 중복 과다 투자를 유발해 비효 율을 초래하고 있음.
- FTA 체결을 통해 생산 요소의 비교우위와 보완성을 바탕으로 각자 경 쟁력있는 품목에 특화, 특화 품목 다변화하는 방향으로 산업 구조를 재 편하여 중복 과다 투자를 없애 효율성을 기하고, 이를 통해 세계 경제의 중심축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는 가능성 모색.
추천자료
중국의 WTO 가입과 한국의 대응방향 및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 조선업계의 생산력증대와 유럽연합과 한국간 쌍무협상에 관한 검토
한국농업의 여건, 기능, 문제와 한국농업의 발전 방안 및 한국농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 분석
[한중일3국, 한국중국일본 삼국]한중일3국(한국중국일본 삼국)의 협력현황, 한중일3국(한국중...
한국과 콜롬비아 간의 FTA에 대해 한국의 기대효과 분석
한국의서비스산업. 서비스산업.한국서비스산업의문제점.서비스수지동향
FTA의 한국, 한국의 FTA - 세계 주요 국가들과 한국의 FTA 동향 및 시사점
WTO한국농업의 위기와 한국농업의 경쟁력 확보방안
FTA의 한국, 한국의 FTA - 세계 주요 국가들과 한국의 FTA 동향 및 시사점
[국제경제환경론]한국 FTA 현황을 연구, 분석하고, 이에 따른 한국 무역의 전망에 대하여 논...
국제경제환경론4공통)한국 FTA 현황을 연구, 분석하고, 이에 따른 한국 무역의 전망에 대하여...
★우수레포트★[미국의 통상정책, 통상정책, 통상분쟁 사례] 미국의 통상정책, 미국의 통상 수...
[국제경제환경론 공통] 한국 FTA 현황을 연구, 분석하고 이에 따른 한국 무역의 전망에 대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