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제(마을신앙 실천적 표상)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동제란?

2. 목 적

3. 시 기

4. 형 태

5. 동제의 종류

6. 동제의 절차

7. 동제의 예

8. 일본의 동제

9. 한국의 동제와 일본마쯔리의 비교

10. 마을신앙의 사회적의의

본문내용

위한 넓은 의미의 마쯔리도 있다.
자료 : 일본문화와 사회 시사일본어사 박순애 P 99 ∼ 101
(2) 마쯔리의 구성단위
마쯔리의 구성단위 각 마을단위 초나이카이로 구성
(반상회 개념)
전국적으로 유명한 마쯔리 시정/구정
(3) 일본마쯔리의 종류
① 아오모리 네부타마츠리
지금부터 240~250년전 한동네에서 서민들이 등롱을 손에 들고 춤을 췄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하지만 이것이 네부타 마츠리의 기원지인지는 아직까지 불분명하다. 그러나 네부타마츠리는 일본을 대표하는 불의 축제로 각자에서 열리는 유명한 마츠리중에서도 크게 성장한 축제라고 할수 있다. 네부타란 커다란 나무나 대나무에 종이를 부친 엄청나게 큰 등롱을 말한다. 마지막날에는 해상운항이 행해져 아오모리항을 운항하는것으로 화려한 네부타마쯔 리가운데 고요함과 엄숙함이 구경하는 사람들을 환상의 세계로 이끈다. 또 하네토라하여 내부타 뒤에 1000명에서 1500명의 춤추는 사람들의 행렬이 이어진다.
그 모습은 네부타 본체이상으로 박력과 생동감을 느끼게 한다.
매년 8월1일부터 8월7일까지 행해진다.
② 센다이 다나바타 마츠리
1928년 8월 동북산업박람회의 행사로서 개최도니것이 현재의 센다이 다나바타마츠리의원형이다. 1946년 8월에 있었던 센다이 다나바타마츠리는 전후부흥의 시발점으로서 사람들에게 희망을 주었다.
과거 센다이 다나바타마츠리는 소박하고 온화한 민속행사였으며 추석을 앞두고 조상과 논의 신을 염원하는 행사이기도 했다. 그것이 전승되어 현재에는 일본을 대표하는 다나바타마츠리가 되었다. 센다이 다나바타마츠리는 매년 8월6일부터 8일까지 행해지며, 상가난 거리에는 크고 화려한 다나바타 장식이 눈에 띈다.또 일본 각지에서 온 고니광객들로 거리를 가득 메운다.
③ 도쿠시마 아와오도리
일본의 추석인 오봉에는 죽은사람의 혼을 염원하는 의미로 추는 봉오도리가 있다. 동네에서도 흔히 볼수 있으며 마츠리에서 빼놓을수 없는 것이기도 하다. 이 봉오도리는 무로마치시대에 서민들에게 보급되었으며 그중에서도 시코쿠의 도쿠시자현의 아와오도리가 유명하다. 유래는 1587년 도요도미 히데요시의 신하 하치수카케가 도쿠시마현에 성을 세웠을때 잔치상에서 서민들이 춤을 췄다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춤추는 바보에 보는 바보라면 안추면 손해다 손해"라고노래하며 춤을 춘다.
매년 8월12일부터 15일까지 행해진다.
④ 후쿠오카 하카타기온야마가사
후쿠오카중심인 하카타에서 열리는 하카타기온야마가사는 남자마츠리이다.
가마쿠라시대때 하카타일대에 전염병이 유행하여 그병을 퇴치하기위해 기원한 것이 시작이다.
이때 하카타의 거리는 일본 남성의 웅장함과 묵직함으로 거리를 가득 메운다. 마지막날에 열리는 오이야마라는 행사의 하이라이트는 야마가사를 행진하는 속도를 겨루는 것으로 정신을 통일하여 야마가사를 짊어지고 달리는 남성들의 힘찬 모습이 여름의 무더위를 시원하게 해준다. 매년 7월1일부터 15일까지 행해진다.
⑤ 히로시마 미야지마간겐사이
미야지마의 이츠쿠시마신사는 12세기 당시 권력자였던 다이라노키요모리에 의하여 세워진 세계문화유산이다. 해상에 세워진 신사는 주위배경과 건물이 하나가 되어 보는이를 압도시킨다.
이츠쿠기마신사는 그의 업적을 엿볼수 잇으며 헤이안시대의 대표적인 자산이라고 할수 있다. 또 이곳은 일본의 삼경이랄하여 미야기현의 마츠시마,교토의 아마노하시다테와 함께 일본의 대표적인 경승지이다. 이 이츠쿠시나신사의 대표적인 행사가 바로 간겐사이다.
오사카 텐진사이와 함께 일본3대 선상마츠리의 하나로 과거 교토귀족들이 배위에서 여가생활을 즐긴것이 전해져 현재에 이른것이다.
매년 7월25일 행해지며 선단의 웅장함과 해면에 비친 화톳불의 아름다움의 조화는 환상적이다.
자료 : 인터넷(검색엔진-심마니)
9. 한국의 동제와 일본마쯔리의 비교
< 표 9 - 1 >
동제(한국)
마쯔리(일본)
비고
목 적
마을의 평안
(풍년,풍어,질병)
마을의 평안
(풍년,풍어,질병)
일 시
음력2월 초하루/정월초
매년 7월말 8월중순/봄,가을
장 소
마을
마을/시도
행사주체
마을구성원전체
마을구성원전체
비 용
마을구성원전체
(약간의 강제성을 띰)
마을구성원전체
(약간의 강제성을 띰)
방 법
소수의 사람이 제를 올림
신당을 옮겨 마을전제를 돌아다님
10. 마을신앙의 사회적의의
마을신앙은 우선 원초적인 신앙심의 발로와 단합을 이루는 매개로 의의를 들을수 있다. 마을 사람들이 합동으로 제비를 추렴하고 그 마을을 수호해주는 마을 신께 제를 올리는데 금기를 어기면 부정이 들어 마을에 큰피해를 준다고 한다. 그래서 마을 사람들은 제비 추렴에도 많은 정성을 쏟는다. 그래서 동제의 금기와 참여 마을 사람들의 심적유대와 단합을 촉진 시키면서 소속감을 공고하게 하는 등의 계기가 된다. 또한 전통성의 계승이라는 관점에서 마을 신앙의 의의를 들을수 있다. 동제는 오랜 시간동안 지켜온 것으로서 마을 전체가 공동운명체라는 자기소속감을 다시 확인시켜 과거 조상의 본을 이어가며, 이같은 본은 마을의 구심점이 되어 생활모습을 그대로 이어 사회변동 속에서도 한가닥 제동 구실을 하므로서 나아가 사회적 전통성으로서 이어진다. 이처럼 동제는 우리 유교문화의 구심적인 역할을 통하여 과거 어려운 시기를 개인이 아닌 집단으로서 극복하고 이를통해 자신들의 안정된 삶을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했다고 생각한다.
끝마치면서
동제에 대해 아쉬운점
한국과 일본은 동일한 점이 많지만 다른점도 많다. 이것은 동제만 봐도 알수가 있다. 일본에 마쯔리가 있으면 한국에는 동제가 있다. 하지만 외국인들은 마쯔리는 알지만 동제는 잘 모른다. 지금 한국의 젊은이들 또한 마찬가지일 것이다. 지금 우리조원들도 마찬가지 이다. 동제를 실제로 본 사람은 극히 적은수 일 것이다. 이처럼 한국도 일본처럼 동제를 하나의 범세계적인 관광상품으로 개발하여 많은 외국인들에게 소개를 해야할것이며 이를 통해 한국의 내면적인 깊이를 전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지금의 우리의 모습에서는 많은 부족함을 느낀다. 앞으로 동제를 지금새롭게 하는 세종대와 즉위식이나 조선시대 과거시험등 처럼 일반시민들이 많이 볼수있도록 확대하거나 대대적인 홍보를 통해 알려져야 할 것이다.
  • 가격1,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3.12.17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89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