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가족의 사정 및 도구
1) 가계도 (Genogram)
2) 생태도 (Ecomap)
3) 가족 조각 (Family Sculpture)
4) 가족 생활 연대기 (Family Life Chronology)
5) 사회적 지지망 (Social Support Network)
2. 자신의 가족에 적용하여 분석 - 가계도, 생태도
1) 가계도 (Genogram)
2) 생태도 (Ecomap)
3) 가족 조각 (Family Sculpture)
4) 가족 생활 연대기 (Family Life Chronology)
5) 사회적 지지망 (Social Support Network)
(1) 직장에서의 지원
(2) 학교에서의 지원
(3) 지역사회에서의 지원
3.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가족의 사정 및 도구
1) 가계도 (Genogram)
2) 생태도 (Ecomap)
3) 가족 조각 (Family Sculpture)
4) 가족 생활 연대기 (Family Life Chronology)
5) 사회적 지지망 (Social Support Network)
2. 자신의 가족에 적용하여 분석 - 가계도, 생태도
1) 가계도 (Genogram)
2) 생태도 (Ecomap)
3) 가족 조각 (Family Sculpture)
4) 가족 생활 연대기 (Family Life Chronology)
5) 사회적 지지망 (Social Support Network)
(1) 직장에서의 지원
(2) 학교에서의 지원
(3) 지역사회에서의 지원
3.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 이 때문에 가족사정과 평가에는 물론 치료에까지 다양하게 적용된다. 멕골드릭(Monica Mc Goldrirk)등은 삼각관계에 대한 탐색은 임상에서 필수적인데 가계도는 삼각관계를 해석하는 도구로 매우 유용하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서는 가족 상호작용의 유형을 반드시 표기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데, 김혜숙은 가족 상호작용의 유형에 따라 도식화된 가계도를 큰 종이나 칠판에 그려서 가족들을 교육하는데도 사용할 수 있음을 말하였다. 그래서 현재 초점이 되어 있는 희생양 자녀가 무엇 때문에 증상을 나타내는지를 보여 주면서 설명할 수 있으며, 부모들은 무엇 때문에 삼각관계가 필요하고 누가 누구와 밀착되었는지, 누구와 갈등 관계가 이루어졌는지를 보여주면서 설명할 수 있고 가족을 이해시키는 데도 유용하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가족의 사정 및 도구에 대해 알아보고 자신의 가족에 적용하여 분석하여 가계도, 생태도를 그려 보해 보았다. 가족치료와 개인치료의 구별은 대상이 가족인가 개인인가의 문제가 아니라 어떤 관점으로 문제를 보고 치료에 임하느냐에 달려있다. 가족 한 명을 대상으로 해도 가족 체계적 관점에서 살피고 I. P. 의 문제가 그것의 결과물이라고 여길 때 그것은 개인치료가 아닌 가족치료이다. Bowen은 “가족치료는 치료 세션에 포함되는 사람 숫자 때문이 아니라 치료자가 그 문제를 개념화하는 방법 때문”이라 하였는데, 이는 가족원 중 한 사람이라도 자아분화가 높아지고 변화된다면 그 사람이 전체 가족체계를 변화시킬 수 있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물론 가족원이 다 참여하면 가족구조 및 상호작용 등을 관찰하기가 더 용이하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상황은 본 연구의 사례에서처럼 여전히 어떤 문제나 증상이 가족원 가운데 나타나야만 의뢰하고, 이때도 주로 문제 자녀나 어머니가 함께 오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치료자는 가족 중 한 명 혹은 두 명을 대상으로 할지라도 가족사정을 통하여 가족 정서체계와 상호작용을 평가하고 그 속에 숨은 역기능적 구조인 삼각관계를 발견해야 한다.
참고문헌
김용태(2019). 가족치료이론: 개념과 방법들. 서울: 학지사.
김용태.『가족치료 이론』. 서울:학지사, 2006.
강문희, 반경, 강혜련, 김혜련(2018), 가족상담 및 심리치료(2판), 서울: 신정.
고미지, 박우철(2018). 맞벌이 가족 내 부부적응과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 조모 양육행동의 조절효과. 가족과 가족치료.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가족의 사정 및 도구에 대해 알아보고 자신의 가족에 적용하여 분석하여 가계도, 생태도를 그려 보해 보았다. 가족치료와 개인치료의 구별은 대상이 가족인가 개인인가의 문제가 아니라 어떤 관점으로 문제를 보고 치료에 임하느냐에 달려있다. 가족 한 명을 대상으로 해도 가족 체계적 관점에서 살피고 I. P. 의 문제가 그것의 결과물이라고 여길 때 그것은 개인치료가 아닌 가족치료이다. Bowen은 “가족치료는 치료 세션에 포함되는 사람 숫자 때문이 아니라 치료자가 그 문제를 개념화하는 방법 때문”이라 하였는데, 이는 가족원 중 한 사람이라도 자아분화가 높아지고 변화된다면 그 사람이 전체 가족체계를 변화시킬 수 있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물론 가족원이 다 참여하면 가족구조 및 상호작용 등을 관찰하기가 더 용이하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상황은 본 연구의 사례에서처럼 여전히 어떤 문제나 증상이 가족원 가운데 나타나야만 의뢰하고, 이때도 주로 문제 자녀나 어머니가 함께 오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치료자는 가족 중 한 명 혹은 두 명을 대상으로 할지라도 가족사정을 통하여 가족 정서체계와 상호작용을 평가하고 그 속에 숨은 역기능적 구조인 삼각관계를 발견해야 한다.
참고문헌
김용태(2019). 가족치료이론: 개념과 방법들. 서울: 학지사.
김용태.『가족치료 이론』. 서울:학지사, 2006.
강문희, 반경, 강혜련, 김혜련(2018), 가족상담 및 심리치료(2판), 서울: 신정.
고미지, 박우철(2018). 맞벌이 가족 내 부부적응과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 조모 양육행동의 조절효과. 가족과 가족치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