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F를 X선 영상시스템에 적용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t(out)값)의 값으로 각각 modulation을 구하였다. 바로 위 두개의 다이어그램은 공간주파수(LP/mm)와 MTF의 값을 이용해 나타낸 MTF곡선이다. 이상적인 곡선의 형태는 선형적인 쌍곡선에 가까운 형태이다. 위에 나타낸 두 개의 MTF곡선은 각 그룹별에서 최대값과 최소값의 평균에서 나타나는 편차로 인해 그래프의 선형성이 형태에서 왜곡되고 있지만 대략적으로 아래 그래프의 형태를 따라가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래프에서 보는 것처럼 MTF(mmodulation)이 감소하면 공간주파수가 증가하게 되고 공간주파수가 감소하면 해상도가 증가하는 그래프이다.
MTF곡선의 평가는 분해능과 선예도의 평가로 나눌 수 있는데 분해능이란 이산신호의 주파수변환에 따른 스펙트럼선(Spectral Line) 사이의 주파수 간격을 말한다. MTF=0.1과 MTF 곡선이 교차하는 지점의 공간주파수 값을 그 시스템의 최대 공간주파수의 지표로한다. 이 값이 클수록 분해능리 높게 된다. 다음으로 선예도는 density가 다른 부분의 경계선이 흐려져 있는 정도를 말한다. 즉, 영상의 선명함을 나타내는 척도이다. 이 선예도의 평가는 MTF=0.5와 MTF 곡선이 교차하는 곳의 공간주파수가 높은 시스템이 선예도가 높은 것이다.
실험의 결과를 살펴보면 contrast(in)=1일 때의 분해능은 대략 9보다 약간 크고 선예도는 약 3.5다 된다. 만약 기준을 위의 그래프 또는 각 축의 범위 값을 생각했을 때 분해증과 선예도는 비교적 크게 나타난 값이라 여겨진다. contrast(in)=0.862안 그래프도 비슷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키워드

  • 가격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3.12.17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90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