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우리나라의 수자원 부존량과 이용 현황
2. 빗물, 하천수, 호소수, 및 지하수의 수질 특성
3. 수인성 전염병의 원인, 종류, 및 특징
4. 먹는 물 수질기준 중 소독 부산물의 항목별 수질 기준과 항목별 특성 및 유해성
5. 출처 및 참고문헌
1. 우리나라의 수자원 부존량과 이용 현황
2. 빗물, 하천수, 호소수, 및 지하수의 수질 특성
3. 수인성 전염병의 원인, 종류, 및 특징
4. 먹는 물 수질기준 중 소독 부산물의 항목별 수질 기준과 항목별 특성 및 유해성
5.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s처럼 병원성 원생 동물에 의한 전염병이 그것이다. 이 중에서도 병원성 원생동물인 Giardiasis와 Cryptosporidiosis은 소독에 의한 저항성이 강해 정수 과정에서도 잘 처리되지 않아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4. 먹는 물 수질기준 중 소독 부산물의 항목별 수질 기준과 항목별 특성 및 유해성
자연수를 먹는 물로 이용하는 과정에서 소독 과정을 거치는데 이 과정에서 생기는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소독 부산물이라 하며 각 물질별 검출 기준량을 정하여 엄격히 관리하고 있다. 11개 각 항목별 기준량은 다음과 같다.
브로모디클로로메탄은 0.03 ㎎/L, 디브로모클로로메탄은 0.1 ㎎/L, 포름 알데히드는 0.5 mg/L, 유리잔류염소 0.4 mg/L, 총트리할로메탄은 0.1 mg/L, 클로르포름은 0.08 ㎎/L 이다. 클로랄하이드레이트는 0.03 mg/L, 디브로모아세토니트릴은 0.1 ㎎/L, 디클로로아세토니트릴은 0.09 ㎎/L, 트리클로로아세토니트릴 0.004 ㎎/L, 할로아세틱에시드는 0.1 ㎎/L 이다.
이 중 물 속 미생물을 제거하는 데 사용하는 클로랄하이드레이트는 장기간 노출되면 암과 간 장애, 중추신경 장애를 일으키며 임신부와 어린이에게 특히 해로운 것으로 밝혀졌다. 무색 무취의 클로로포름은 대표적인 발암 물질로 알려져 있는데 중추신경계에 장애를 일으키며 간장과 신장 작용에도 악영향을 준다. 포름 알데히드는 눈, 몸 코 등을 따갑게 하며 호흡기 질환이 있는 경우 천식을 유발한다. 중추신경계 이상을 일으키기도 하며 대표적인 발암 물질이다.
5. 출처 및 참고문헌
‘_수질관리 강의록
4. 먹는 물 수질기준 중 소독 부산물의 항목별 수질 기준과 항목별 특성 및 유해성
자연수를 먹는 물로 이용하는 과정에서 소독 과정을 거치는데 이 과정에서 생기는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소독 부산물이라 하며 각 물질별 검출 기준량을 정하여 엄격히 관리하고 있다. 11개 각 항목별 기준량은 다음과 같다.
브로모디클로로메탄은 0.03 ㎎/L, 디브로모클로로메탄은 0.1 ㎎/L, 포름 알데히드는 0.5 mg/L, 유리잔류염소 0.4 mg/L, 총트리할로메탄은 0.1 mg/L, 클로르포름은 0.08 ㎎/L 이다. 클로랄하이드레이트는 0.03 mg/L, 디브로모아세토니트릴은 0.1 ㎎/L, 디클로로아세토니트릴은 0.09 ㎎/L, 트리클로로아세토니트릴 0.004 ㎎/L, 할로아세틱에시드는 0.1 ㎎/L 이다.
이 중 물 속 미생물을 제거하는 데 사용하는 클로랄하이드레이트는 장기간 노출되면 암과 간 장애, 중추신경 장애를 일으키며 임신부와 어린이에게 특히 해로운 것으로 밝혀졌다. 무색 무취의 클로로포름은 대표적인 발암 물질로 알려져 있는데 중추신경계에 장애를 일으키며 간장과 신장 작용에도 악영향을 준다. 포름 알데히드는 눈, 몸 코 등을 따갑게 하며 호흡기 질환이 있는 경우 천식을 유발한다. 중추신경계 이상을 일으키기도 하며 대표적인 발암 물질이다.
5. 출처 및 참고문헌
‘_수질관리 강의록
추천자료
2019년 1학기 수질관리 중간시험과제물 B형(소독 부산물에 해당되는 각 항목의 수질기준)
수질관리 E형) 먹는 물 수질기준 중 소독 부산물에 해당되는 각 항목의 수질기준을 말하고, ...
2020년 1학기 수질관리 중간시험과제물 E형(소독 부산물에 해당되는 각 항목의 수질기준)
2022년 1학기 수질관리 중간시험과제물 A형(소독 부산물에 해당되는 각 항목의 수질기준)
수질관리 =) 먹는 물 수질기준 중 소독 부산물에 해당되는 각 항목의 수질기준을 말하고, 이...
2023년 1학기 수질관리 중간시험과제물 B형(먹는 물 수질기준 중 소독 부산물)
2023학년도 2학년 1학기 보건환경학과_수질관리_지구상에서의 물의 순환과정과 우리나라의 강...
2024년 1학기 수질관리 중간시험과제물 C형(먹는 물 수질기준 중 소독 부산물)
2025년 1학기 수질관리 중간시험과제물 C형(소독 부산물에 해당되는 각 항목의 수질기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