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자동차 일반
1)자동차의 정의
2)자동차의 기본구조
2. 기관
1)열기관
2)기관본체
3)윤활장치
4)냉각장치
1)자동차의 정의
2)자동차의 기본구조
2. 기관
1)열기관
2)기관본체
3)윤활장치
4)냉각장치
본문내용
좋은 조건 : 3,000 ~ 5,000km 주행시
보통조건 : 1,500 ~ 3,000km 주행시
나쁜조건 : 800km 주행시
②윤활장치
윤활방식 : 비산식, 전압송식, 비산 압송 조합식, 혼기식
오일펌프 : 오일핀 내의 오일을 가압하여 윤활부로 공급한다.
오일여과기 : 오일속의 불순물 제거 및 수분을 분리하며, 5,000km 주행시 또는 오일 교환시에 교환
유면표시기(오일레벨게이지, 오일스틱) : 오일의 양, 색깔, 점도, 이물질을 점검
점검방법
*수평로에서 기관 정상온도로 한다.
*엔진시동을 정시시키고 5분정도 기다린다.
*오일레벨게이지를 빼서 닦은후 다시 오일을 찍어본다.
*오일이 F 와 L 사이에서 F 가까이 있으면 좋다.
4)냉각장치
①냉각장치의 개요
설치이유 : 연소열에 의한 과열을 방지하고 기관의 손상 방지와 내구성 향상
엔진 과열
원인
*냉각핀의 손상 및 오염 *냉각수의 부족 *냉각수 순환계통의 막힘
*이상 연소(노킹 등) *팬벨트의 이완 또는 절손 *물펌프의 작동 불량
*라이에이터의 불량 *압력식 캡의 불량
결과
*부품의 변형 *유막의 파괴 *윤활유 손실 과대 *엔진의 출력저하
*마찰 및 마멸 증대로 심하면 소결
엔진 과냉
원인 : *수온조절기의 작동 불량 *겨울철 외기 온도의 저하
결과 : *엔진출력의 저하 *연료소비율 증대 *오일의 희석, 변질 및 오염
②강제순환식 냉각장치
물펌프 : 원심력적 펌프로 냉각된 방열기 아래 탱크의 물을 순환시킨다.
수온조절기(정온기) : 냉각수 통로를 개폐하는 밸브로 65 에서 열리기 시작하여 85 에서 완전히 열린다.
방열기(라디에이터) : 물통로를 순환하면서 온도가 높아진 냉각수를 공기와의 접촉으로 냉각시킨다.
압력식 캡 : 냉각계통의 순환압력을 0.3 ~ 0.7 kg/㎠ 상승시켜, 냉각수의 비등점을
112 로 높임으로써 열효율을 높이고, 냉각수 손실을 줄인다.
오버플로파이프 : 방열기 내의 증기압력이 과도하게 높아졌을 때 방열기 내의 증기압력을 밖으로 유출시키고 압력이 낮아져 진공이 발생하면 대기를 받아들여 방열기의 파손을 방지한다.
냉각핀 :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방열기를 냉각시킨다.
팬벨트(V-벨트) : 크랭크축의 동력을 물펌프와 발전기에 전달하는 벨트로, 10kg의 힘으로 눌렀을 때 13 ~ 20mm의 이완이 있으면 정상이다.
냉각수 : 불순물이 적은 연수(증류수, 빗물, 수돗물)를 사용
부동액 : 겨울철 냉각수의 동결을 방지하기 위한 것
보통조건 : 1,500 ~ 3,000km 주행시
나쁜조건 : 800km 주행시
②윤활장치
윤활방식 : 비산식, 전압송식, 비산 압송 조합식, 혼기식
오일펌프 : 오일핀 내의 오일을 가압하여 윤활부로 공급한다.
오일여과기 : 오일속의 불순물 제거 및 수분을 분리하며, 5,000km 주행시 또는 오일 교환시에 교환
유면표시기(오일레벨게이지, 오일스틱) : 오일의 양, 색깔, 점도, 이물질을 점검
점검방법
*수평로에서 기관 정상온도로 한다.
*엔진시동을 정시시키고 5분정도 기다린다.
*오일레벨게이지를 빼서 닦은후 다시 오일을 찍어본다.
*오일이 F 와 L 사이에서 F 가까이 있으면 좋다.
4)냉각장치
①냉각장치의 개요
설치이유 : 연소열에 의한 과열을 방지하고 기관의 손상 방지와 내구성 향상
엔진 과열
원인
*냉각핀의 손상 및 오염 *냉각수의 부족 *냉각수 순환계통의 막힘
*이상 연소(노킹 등) *팬벨트의 이완 또는 절손 *물펌프의 작동 불량
*라이에이터의 불량 *압력식 캡의 불량
결과
*부품의 변형 *유막의 파괴 *윤활유 손실 과대 *엔진의 출력저하
*마찰 및 마멸 증대로 심하면 소결
엔진 과냉
원인 : *수온조절기의 작동 불량 *겨울철 외기 온도의 저하
결과 : *엔진출력의 저하 *연료소비율 증대 *오일의 희석, 변질 및 오염
②강제순환식 냉각장치
물펌프 : 원심력적 펌프로 냉각된 방열기 아래 탱크의 물을 순환시킨다.
수온조절기(정온기) : 냉각수 통로를 개폐하는 밸브로 65 에서 열리기 시작하여 85 에서 완전히 열린다.
방열기(라디에이터) : 물통로를 순환하면서 온도가 높아진 냉각수를 공기와의 접촉으로 냉각시킨다.
압력식 캡 : 냉각계통의 순환압력을 0.3 ~ 0.7 kg/㎠ 상승시켜, 냉각수의 비등점을
112 로 높임으로써 열효율을 높이고, 냉각수 손실을 줄인다.
오버플로파이프 : 방열기 내의 증기압력이 과도하게 높아졌을 때 방열기 내의 증기압력을 밖으로 유출시키고 압력이 낮아져 진공이 발생하면 대기를 받아들여 방열기의 파손을 방지한다.
냉각핀 :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방열기를 냉각시킨다.
팬벨트(V-벨트) : 크랭크축의 동력을 물펌프와 발전기에 전달하는 벨트로, 10kg의 힘으로 눌렀을 때 13 ~ 20mm의 이완이 있으면 정상이다.
냉각수 : 불순물이 적은 연수(증류수, 빗물, 수돗물)를 사용
부동액 : 겨울철 냉각수의 동결을 방지하기 위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