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1장 교육공학의 개념 및 영역
(1) 교육공학의 개념 핵심 내용
(2) 적용 방안
2. 2장 교육공학의 역사적 발전 과정
(1) 한국 교육공학의 역사적 발전 핵심 내용
(2) 적용 방안
3. 3장 교육공학의 이론적 기초
(1) 학습이론 핵심 내용
(2) 적용 방안
4. 4장 교수체제설계
(1) 교수체제설계 모형의 유형 핵심 내용
(2) 적용 방안
5. 출처 및 참고문헌
1. 1장 교육공학의 개념 및 영역
(1) 교육공학의 개념 핵심 내용
(2) 적용 방안
2. 2장 교육공학의 역사적 발전 과정
(1) 한국 교육공학의 역사적 발전 핵심 내용
(2) 적용 방안
3. 3장 교육공학의 이론적 기초
(1) 학습이론 핵심 내용
(2) 적용 방안
4. 4장 교수체제설계
(1) 교수체제설계 모형의 유형 핵심 내용
(2) 적용 방안
5.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때마다 긍정적인 강화를 제공하였고, 결국 학습자는 성공적으로 학습의 최종목표를 완수할 수 있었다.
4. 4장 교수체제설계
(1) 교수체제설계 모형의 유형 핵심 내용
구스타프슨과 브랜치는 전통적 교수체제 설계 모형을 수업의 상황 및 조건에 따라 교실 지향, 산출물 지향, 체제 지향 세 가지로 구분하였는데, 교실 지향 모형은 교수자에 의해 전달되는 수업 설계를 대상으로 하며, 산출물 지향 모형은 기술적으로 상당히 정교화된 산출물의 개발을 목표로 한다. 마지막으로 체제 지향 모형은 대단위 교육 프로그램 또는 교육 과정의 개방을 위해 전문 교수 설계 팀이 충분한 자원을 가지고 체계적으로 개발하는 것이다.
전통적인 교수체제설계 모형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 대안적 교수체제설계 모형이다. 각 단계가 지나치게 선형적으로 연결되었으므로 교수 설계자가 실제 학습자의 의견을 마지막 단계에 확인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는데, 이러한 문제들의 해결을 위해 제안된 모형이 래피드 프로토타입 개발 모형이다. 래피드 프로토타입 개발 모형에서 의뢰인 또는 학습자는 교수 설계자와 함께 전체 설계 과정에 밀접하게 참여하게 되며, 사용자는 설계 과정에서 정보원과 촉진자로 고유한 역할을 담당하고, 설계자는 전문적 프로젝트 관리, 구조화되고 창의적인 설계를 돕고 평가의 고유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렇게 사용자와 설계자가 고유한 역할을 담당하면서 프로젝트 목표의 실현을 위해 상호 통제와 협력을 강조하고 의사소통을 중요시한다는 장점이 있다. 임철일, 임정훈, 이동주(2024), 교육공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pp. 104-111
(2) 적용 방안
딕과 캐리의 교수체제설계 모형은 학습자의 선수지식을 고려하여 수행목표를 기술하는 활동을 진행하고 이후 평가 문항의 개발을 넘겨주는 체제의 기능을 포함한다. 나는 두 명의 학생을 함께 지도하는 그룹과외를 했는데, 두 학생의 성적이 비슷하다고 하여 별도의 선수지식에 대한 테스트 없이 둘에게 동일한 내용을 가르쳤다. 하지만 그 결과 두 학생의 학습효과에 차이가 매우 컸다. 따라서 두 학생의 선수지식을 알아보는 테스트를 진행하였고, 그 결과 전체 성적은 비슷하지만 내가 가르치는 수학 과목의 성적 차이가 크다는 것을 발견하고 별개의 학습 목표와 평가 문항을 개발하여 둘 모두의 학습 효과를 높였다.
5. 출처 및 참고문헌
임철일, 임정훈, 이동주(2024), 교육공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4. 4장 교수체제설계
(1) 교수체제설계 모형의 유형 핵심 내용
구스타프슨과 브랜치는 전통적 교수체제 설계 모형을 수업의 상황 및 조건에 따라 교실 지향, 산출물 지향, 체제 지향 세 가지로 구분하였는데, 교실 지향 모형은 교수자에 의해 전달되는 수업 설계를 대상으로 하며, 산출물 지향 모형은 기술적으로 상당히 정교화된 산출물의 개발을 목표로 한다. 마지막으로 체제 지향 모형은 대단위 교육 프로그램 또는 교육 과정의 개방을 위해 전문 교수 설계 팀이 충분한 자원을 가지고 체계적으로 개발하는 것이다.
전통적인 교수체제설계 모형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 대안적 교수체제설계 모형이다. 각 단계가 지나치게 선형적으로 연결되었으므로 교수 설계자가 실제 학습자의 의견을 마지막 단계에 확인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는데, 이러한 문제들의 해결을 위해 제안된 모형이 래피드 프로토타입 개발 모형이다. 래피드 프로토타입 개발 모형에서 의뢰인 또는 학습자는 교수 설계자와 함께 전체 설계 과정에 밀접하게 참여하게 되며, 사용자는 설계 과정에서 정보원과 촉진자로 고유한 역할을 담당하고, 설계자는 전문적 프로젝트 관리, 구조화되고 창의적인 설계를 돕고 평가의 고유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렇게 사용자와 설계자가 고유한 역할을 담당하면서 프로젝트 목표의 실현을 위해 상호 통제와 협력을 강조하고 의사소통을 중요시한다는 장점이 있다. 임철일, 임정훈, 이동주(2024), 교육공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pp. 104-111
(2) 적용 방안
딕과 캐리의 교수체제설계 모형은 학습자의 선수지식을 고려하여 수행목표를 기술하는 활동을 진행하고 이후 평가 문항의 개발을 넘겨주는 체제의 기능을 포함한다. 나는 두 명의 학생을 함께 지도하는 그룹과외를 했는데, 두 학생의 성적이 비슷하다고 하여 별도의 선수지식에 대한 테스트 없이 둘에게 동일한 내용을 가르쳤다. 하지만 그 결과 두 학생의 학습효과에 차이가 매우 컸다. 따라서 두 학생의 선수지식을 알아보는 테스트를 진행하였고, 그 결과 전체 성적은 비슷하지만 내가 가르치는 수학 과목의 성적 차이가 크다는 것을 발견하고 별개의 학습 목표와 평가 문항을 개발하여 둘 모두의 학습 효과를 높였다.
5. 출처 및 참고문헌
임철일, 임정훈, 이동주(2024), 교육공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