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실습 A+ 보장 폐암 케이스, 케이스스터디, 집담회, case study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실습 A+ 보장 폐암 케이스, 케이스스터디, 집담회,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문헌고찰


Ⅱ. 간호사정
1. 일반적 사항
2. 대상자의 건강력
3. 건강사정
4. 진단검사

Ⅲ. 간호과정
1. 가능한 간호진단 목록
2. 간호과정 적용

본문내용

정규 식이 섭취량이 적은 경우 간식의 섭취를 제안한다.
1. 대상자의 최근 영양 상태와 섭취에 초점을 맞춘 식이력을 사정했다.
1-1. 식욕 저하, 소량을 먹었음에도 나타나는 포만감 등의 불편감 유무, 불편감을 악화시키거나 완화시키는 방법은 무엇이었는지 조사했다.
대상자는 mild nausea 및 변비로 인한 abd. discomfort 간헐적으로 호소하였고, 이로 인해 식욕부진이 있다고 말로 표현했다.
평소 식이를 1/3이상 섭취하지 못하고 대부분을 남겼고 더 먹으라고 섭취를 권장하면 음식섭취를 거부하는 모습을 보였다.
대상자의 평균 식사시간은 약 10분 소요되었다.
1-2. 대상자의 식이력을 사정하였다.
날짜
아침
점심
저녁
10/21
X
X
1/4
10/22
X
X
1/3
10/23
사과 50g
X
1/3
10/24
X
1/3
1/3
10/25
요구르트
X
1/3
→이론적 근거: 대상자에게 적합한 영양을 제공하기 위해 영양사에게 의뢰하여 필요한 칼로리 및 영양소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식이를 제공해야 하며 계획 시 환자가 선호하는 식품을 반영하는 것이 좋다. (성인간호학1, 윤은자 외, 수문사, 2021. 254P)
2. 혈청 단백질, 알부민 수치 검사를 시행한다.
항목
정상 범주
결과
10/14
10/21
10/28
T.Protein
5.8~8.3 g/dL
6.1
5.5▼
5.4▼
Albumin
3.8~5.3 g/dL
3.8
3.1▼
3.2▼
→이론적 근거: 임상진단검사는 객관적인 자료로써 간호사가 환자의 상태를 관찰하고 적절한 간호를 계획하는 데 중요한 정보이다.(성인간호학1, 윤은자 외, 수문사, 2021. 125P)
3. 매일 대상자의 칼로리 섭취량을 확인하고 기록한다.
날짜
10/21
10/22
10/23
10/24
10/25
결과
(kcal)
Intake
Intake
Intake
Intake
Intake
200
200
200
300
200
→이론적 근거: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하여 체액의 불균형과 잠재적인 신체의 위험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기본간호학Ⅰ, 메디컬사이언스. 154p)
4. 처방에 따라 TPN을 투여 하였다.
위너프페리주
[ Winuf Peri Inj. ]
IVD
1085ml
1일 1회
올리멜엔9이주
[ Olimel N9E ]
IVD
1000ml
1일 1회
→이론적 근거: 경구 또는 위장관 영양공급이 불가능 또는 불충분하거나 제한된 경우 정맥요법을 통해 수분, 전해질, 아미노산, 등을 보충할 수 있다. (성인간호학1, 윤은자 외, 수문사, 2021. 263P)
5. 식전에 침습적인 검사, 처치 등 불편감을 주는 행위를 피하였다.
v/s 측정을 식후에 진행하였다.
수액교환을 식후에 진행하였다.
수혈을 식후에 진행하도록 스케줄을 조정하였다.
→이론적 근거: 신체의 질병과 불편감, 환경적 요인 및 심리적요인은 대상자의 식욕을 감소시킬 수 있다. (기본간호학, 현문사. 139P)
6. 대상자, 영양사와 의논하여 골고루 영양소를 섭취하도록 식단을 짜고 충분한 단백질을 섭취하도록 하였다.
주치의 권고인 체중 1kg당 14kcal로 계산하여 체중 45.2kg x 14kcal/kg= 632.8 kcal/day를 하루 섭취량으로 목표를 세웠다.
대상자 체중 및 식욕변화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량하기로 하였다.
단백질은 체중 1㎏당 1.2g으로 하루 100g 정도 제공하도록 하였다.
영양사와 상의하여 곡류, 콩, 야채, 해조류, 과일, 우유, 두부, 생선, 고기 등 다양한 식품구성으로 식단을 제공하였다.
→이론적 근거: 대상자에게 적합한 영양을 제공하기 위해 영양사에게 의뢰하여 필요한 칼로리 및 영양소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식이를 제공해야 하며 계획 시 환자가 선호하는 식품을 반영하는 것이 좋다. (성인간호학1, 윤은자 외, 수문사, 2021. 254P)
7. 대상자와 돌봄 제공자에게 결핍된 영양섭취의 다양한 신체적 신호에 대해 교육하였다.
“영양부족으로 인해 경험하는 신체적 증상으로 힘이 없고 어지럼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피부는 피하조직의 소실으로 인해 체중이 감소하고 머리카락은 단백질 감소로 광택이 없어지고 쉽게 빠질 수 있습니다.”
→이론적 근거: 영양 결핍 시 피부가 거칠어지고 피하 지방층이 얇아지며 근육의 긴장성이 상실되고 체중 감소 등이 나타난다.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간호과정 실무지침 6p)
8. 대상자에게 균형 잡힌 식단과 충분한 영양섭취의 필요성에 대해 교육했다.
“회복을 위해 충분한 칼로리 섭취가 필요하므로 당질과 지방을 통해 칼로리 섭취를 늘려야 합니다.”
→이론적 근거: 균형잡힌 식사는 손상된 세포의 회복을 돕는다.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간호과정 실무지침 6p)
9. 고단백, 고열량의 식사를 소량으로 자주 먹을 것을 격려한다. 또한 정규 식이 섭취량이 적은 경우 간식의 섭취를 제안했다.
“식욕이 없으시면 밥을 조금 나누어서 자주 식사를 하세요.”라고 하며 소량으로 자주 먹을 것을 권장하였다.
“식사량이 적을 시에는 감자, 고구마 , 과일, 주스 등의 간식을 자주 먹도록 하세요.” 라고 하며 정규식이 섭취량이 1/2이상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식사와 식사 사이에 선호하는 간식의 섭취를 제안하며 충분한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도록 했다.
→이론적 근거: 소량씩 자주 먹는 것은 위에 부담을 줄여주고 조금씩 음식 섭취량을 늘려 영양 공급이 가능하다. (기본간호학, 현문사. 156P)
<장기목표>
1. 퇴원 시까지 혈청 총단백질 및 알부민 수치가 정상범주까지 상승한다.
=> 미달성
2. 퇴원 시까지 일일 권장 칼로리 섭취량이 100%이상 도달한다.
=> 미달성
3. 퇴원 시 까지 대상자는 영양결핍으로 인한 잠재적, 실제적 건강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 달성
<단기목표>
1. 2일 안에 대상자는 일 권장 칼로리 섭취량의 80% 이상 섭취한다.
=> 미달성
2. 대상자는 경구 섭취를 증가시키기 위한 간호계획에 참여한다.
=> 달성
3. 교육 후 적절한 영양섭취의 중요성에 대해 2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 달성
# 진단진술문 3: 복합적 요인(기저질환으로 인한 통증, 약물, 섬망, 변비)에 의한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불충분
  • 가격1,5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25.03.17
  • 저작시기202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948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