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학과 환경의 연관성
2. 인터넷의 환경과 문학의 현황
3. 자연환경 문제를 다룬 문학작품
4. 현재 환경문제의 실태와 대안
5. 현 독자와 미래의 독자에 대해...
6. 문학가이자 환경운동가인 사람
7. 미래의 문학작품의 대안
2. 인터넷의 환경과 문학의 현황
3. 자연환경 문제를 다룬 문학작품
4. 현재 환경문제의 실태와 대안
5. 현 독자와 미래의 독자에 대해...
6. 문학가이자 환경운동가인 사람
7. 미래의 문학작품의 대안
본문내용
제약되고 좌우된다고 하는 <환경지배설>이 널리퍼졌다. 그런데로부터 문학창작에서는 환경에 성격을 파묻어버리는 여러가지 편향이 나타났던것이다. <환경지배설>에 매달려서는 사람의 본성을 옳게 밝힐수 없고 그 지위와 역할을 높이는데 이바지하는 진실로 사실주의적인 문학을 창작할수 없다.
물론 사람은 세계속에서 살며 활동하는것만큼 문학에서는 자연환경이나 사회적조건이 사람의 생활과 활동에 미치는 이리저리한 영향도 응당한 수준에서 잘 그려야 한다. 그러나 문학에서는 환경이나 조건에 그저 순응하는 것이 아니라 자주적이며 창조적이며 의식적인 활동을 통하여 자기의 요구에 맞게 그것을 개조변혁해나가는 사람의 투쟁을 기본으로 그려야 한다. 문학에서 성격과 환경의 통일은 환경을 위주로 해서가 아니라 성격을 위주로 하여 이루어져야 사람의 본성과 그 지위와 역할에 맞는 진실한것으로 될수 있다.
사람을 위주로 하여 환경을 그리는데서는 사람의 요구와 함께 환경의 객관적론리를 고려하는것도 중요하다. 자연환경이나 사회적조건이 사람에 의하여 지배되고 개조된다고 하여 그객관적론리를 무시하여서는 안된다. 인물을 내세워야 한다는 한가지 생각만 하면서 환경의 객관적론리를 무시하고 주관주의에 빠지게 되면 환경자체는 말할것도 없고 생활도 인물도 진실하게 보여줄수 없으며 결국 형상전체를 말아먹게 된다.
문학에서 환경은 인물의 내면세계를 보여주기 위한 수단으로 되기전에 생존을 위한 필수적조건으로, 활동대상으로 되여야 한다. 자연환경과 사회적조건을 사람의 생활상 요구와 지향, 사람의 그것을 개조하는 목적에 맞게 그려야 자연과 사회 속에서 살며 활동하는 사람의 모습이 진실하게 보일수 있다.
문학은 사람에 의하여 자연과 사회가 개조되는 과정을 그리면서 사람의 본질적특성을 뚜렷이 살리고 내면세계를 깊이 개조자로서의 지위와 역할이 높아지는 것을 보여주어야 한다. 문학에서는 자연환경이나 사회적조건의 변화발전을 세계를 자기의 의사와 요구에 맞게 목적의식적으로 개조해나가는 사람의 주동적인 활동의 견지에서 그려야 한다.
주체의 인간학은 사람의 본성과 세계의 지배자, 개조자로서의 사람의 지위와 역할을 예술적으로 밝힘으로써 사람의 존엄과 가치를 최상의 경지에서 보여줄수 있는 새로운 길을 열어놓았으며 인민대중이 자기 운명의 주인, 력사의 주인으로 등장한 우리 시대의 문학적과제를 빛나게 해결하였다. 이것은 그 어떤 문학도 이룩할수 없었던 주체의 인간학의 커다란 공적이다.
물론 사람은 세계속에서 살며 활동하는것만큼 문학에서는 자연환경이나 사회적조건이 사람의 생활과 활동에 미치는 이리저리한 영향도 응당한 수준에서 잘 그려야 한다. 그러나 문학에서는 환경이나 조건에 그저 순응하는 것이 아니라 자주적이며 창조적이며 의식적인 활동을 통하여 자기의 요구에 맞게 그것을 개조변혁해나가는 사람의 투쟁을 기본으로 그려야 한다. 문학에서 성격과 환경의 통일은 환경을 위주로 해서가 아니라 성격을 위주로 하여 이루어져야 사람의 본성과 그 지위와 역할에 맞는 진실한것으로 될수 있다.
사람을 위주로 하여 환경을 그리는데서는 사람의 요구와 함께 환경의 객관적론리를 고려하는것도 중요하다. 자연환경이나 사회적조건이 사람에 의하여 지배되고 개조된다고 하여 그객관적론리를 무시하여서는 안된다. 인물을 내세워야 한다는 한가지 생각만 하면서 환경의 객관적론리를 무시하고 주관주의에 빠지게 되면 환경자체는 말할것도 없고 생활도 인물도 진실하게 보여줄수 없으며 결국 형상전체를 말아먹게 된다.
문학에서 환경은 인물의 내면세계를 보여주기 위한 수단으로 되기전에 생존을 위한 필수적조건으로, 활동대상으로 되여야 한다. 자연환경과 사회적조건을 사람의 생활상 요구와 지향, 사람의 그것을 개조하는 목적에 맞게 그려야 자연과 사회 속에서 살며 활동하는 사람의 모습이 진실하게 보일수 있다.
문학은 사람에 의하여 자연과 사회가 개조되는 과정을 그리면서 사람의 본질적특성을 뚜렷이 살리고 내면세계를 깊이 개조자로서의 지위와 역할이 높아지는 것을 보여주어야 한다. 문학에서는 자연환경이나 사회적조건의 변화발전을 세계를 자기의 의사와 요구에 맞게 목적의식적으로 개조해나가는 사람의 주동적인 활동의 견지에서 그려야 한다.
주체의 인간학은 사람의 본성과 세계의 지배자, 개조자로서의 사람의 지위와 역할을 예술적으로 밝힘으로써 사람의 존엄과 가치를 최상의 경지에서 보여줄수 있는 새로운 길을 열어놓았으며 인민대중이 자기 운명의 주인, 력사의 주인으로 등장한 우리 시대의 문학적과제를 빛나게 해결하였다. 이것은 그 어떤 문학도 이룩할수 없었던 주체의 인간학의 커다란 공적이다.
추천자료
축제로서의 언어
[사실주의문학][리얼리즘문학][사실주의][리얼리즘][문학]한국 사실주의(리얼리즘) 문학(사실...
[판소리][판소리문학][구비문학][구전문학][판소리에 대한 남북한의 차이]판소리의 특징, 판...
[독일문학][독일][문학][양철북]독일문학의 성격, 독일문학의 세기전환기, 독일문학의 연구, ...
[문학교육][문학][상호텍스트][수필][문학지도]문학교육의 본질, 문학교육의 목표, 문학교육...
한국문학(한국문학사) 1910년대와 1920년대 문학, 한국문학(한국문학사) 1930년대와 1940년대...
[다문화 보고서] 다문화 가정의 부모-자녀관계와 부모의 언어능력이 그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유아기 언어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논하시오
아동문학의 교육적 가치를 영유아의 발달단계와 관련하여 설명하시오.-아동문학의 본질, 문학...
[국문학개론] - 文學創作敎育論,문학창작교육론의 성격,문학창작교육론의내용,문학창작교육론...
성인문학과 구별되는 아동문학의 특수한 성격은 무엇이라 생각하는가 교육적인 입장에서 서술
읽기, 쓰기 등 문해 활동에 흥미가 없는 아이를 위한 교사의 효과적인 언어지도 방법과 교사...
[아동문학] 가정에서 아동문학 교육을 위해 부모가 해야 할 역할에 대해 예를 들어 구체적으...
김유정론 - 슬픈 해학과 서정적 언어로 풀어 낸 1930년대 농촌 현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