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교도주의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교도주의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청교도주의란?

2. 청교도 혁명의 전개

3. 청교도 혁명의 과정
①배경
②과정

4. 영국의 청교도 운동

본문내용

거하신다”고 강조하였다. 이 사상 뿐 아니라 의인, 성화, 의인 후의 회개, 성화의 점진적 과정 등은 퓨리탄 전통에 관계된 웨슬리의 관심을 보여 준다 할 것이다.
웨슬리의 부흥운동과 청교도 운동 간에는 사회개혁 측면에서도 관련성이 강하다. 청교도 운동을 단지 영국 국교를 개혁시키려는 교회 개혁운동으로만 보려는 시각은 잘못된 것이다. 교회 재조직은 퓨리탄들이 추구했던 것의 일부분일 뿐이고, 퓨리탄 운동의 핵심은 전 영역에 신앙과 삶의 일치를 이루는 것이었다. 그들의 실재에 대한 비젼은 파편적인 것이 아니었다. 그들에게 있어 기독교적 관점이란 교회질서나 개인의 복지에만 국한될 것이 아니라 국가의 정치, 경제, 문화까지도 포함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때문에 이러한 퓨리탄 운동은 종교의 개혁과 더불어 도덕적, 사회적 개혁을 지향하게 되었고 도덕적, 사회적 개혁은 정치적 개혁을 요구하기에까지 이르렀던 것이다. 이러한 면에서 “청교도 운동의 궁극적인 목표는 하나님의 말씀이 사회와 경제 영역을 꿰뚫어 흐르는 신정정치 체제였다”는 데이비스(Horton Davis)의 주장은 옳은 지적이라 하겠다. 이처럼 전 영역에 있어서의 하나님의 영광을 추구하는 청교도들에게 성과 속의 구별은 별 의미가 없었다. 그들에게는 사회적인 문제들도 영적인 의미와 중요성을 지니고 있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그들은 자신들이 처해 있는 모든 영역을 거룩한 공동체(Zion)로 만들려는 단호한 행동주의로 나아갔다. 이러한 청교도의 사회적 영향력은 웨슬리와 그의 세대가 탄생했을 때는 청교도 운동의 대체적인 쇠퇴 속에서 어려움에 처해 있었다. 그러나 그 빛은 꺼지지 않고 존 웨슬리의 삶과 사역 속에서 찬란하게 빛을 밝히게 되었다. 비록 웨슬리가 올더스케이트 이후에야 그의 청교도적 유산의 풍부성을 인식했지만, 그는 그것이 자신의 체험과 신앙 이해에 정신을 같이 한다는 것을 알았기에 그 가치를 실현시키려 시도했던 것이다.
이러한 점에 있어 여러 역사가들은 웨슬리 운동을 포함하여 18세기와 19세기의 복음주의적인 사회개혁 활동 위에 청교도의 깃발이 흩날린 것으로 보고 있다. 그린( J. Brazier Green)은 주장하길, “그 시기에 대한 대부분의 작가들은 청교도적인 전통의 영향력이 교리나 교회적인 논란의 측면에서는 몰라도 적어도 도덕적이고 사회적인 측면에서는 그 복음주의 부흥운동에 의해 지속되었고 심지어는 강화되었음을 인정하고 있다”고 하였다.
참으로 웨슬리를 비롯한 18세기 각성운동의 많은 현격한 인물들이 청교도들의 작품과 사상에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우리가 분명히 인식해야 할 점은 이러한 유사성과 연속성에도 불구하고 18세기 부흥운동의 기원을 그 이전 세기의 청교도 운동에 국한하여 추적할 수는 없다는 사실이다. 우드(A. Skevington Wood)의 주장처럼 “성령이 웨슬리를 통해 이룩한 것은 새로운 역사”였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청교도정신 : 알렌 카든, 박영호 역, 기독교문서선교회, 1993
청교도신학 : 에드워드 힌슨, 박영호 역, 기독교문서선교회, 1989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3.12.21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96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