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subject
2.object
3.introduction
<1> 헥소키나아제 [hexokinase]
<2>효소의 분류와 명명 -전이효소-
<3> 헥소키나아제의 효소적 명명
<4> 헥소키나아제의 유전자
<5> 해당작용
<6> 해당작용에서의 hexokinase의 역할과 활성
<7> 해당작용과 인산화의 관계
<8> hexokinase와 당의 확산, 그리고 동질효소와의 관계
<9> 헥소키나아제의 이용
4.Reference
☞ 해당 자료는 한글2002로 작성이 되어있습니다
다운받으시는 회원님 컴퓨터에 한글2002프로그램이 설치가 되어있어야 정상적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object
3.introduction
<1> 헥소키나아제 [hexokinase]
<2>효소의 분류와 명명 -전이효소-
<3> 헥소키나아제의 효소적 명명
<4> 헥소키나아제의 유전자
<5> 해당작용
<6> 해당작용에서의 hexokinase의 역할과 활성
<7> 해당작용과 인산화의 관계
<8> hexokinase와 당의 확산, 그리고 동질효소와의 관계
<9> 헥소키나아제의 이용
4.Reference
☞ 해당 자료는 한글2002로 작성이 되어있습니다
다운받으시는 회원님 컴퓨터에 한글2002프로그램이 설치가 되어있어야 정상적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형(H형)이라고 한다. 이들을 전기이동(電氣移動)으로 조사한 결과, 그 중간에 속하는 것까지를 포함하여 모두 5종류의 젖산탈수소효소의 동질효소가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5종류의 존재양식은 조직에 따라 다르며, 세포 분화(分化)와의 사이에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동질효소는 명백하게 다른 2종류의 구성요소가 4개 접합하여 형성되는데, 결국 HHHH, HHHM, HHMM, HMMM, MMMM의 5종류의 조합으로 되는 것이 존재한다. H 및 M의 구성요소는 각각 별개의 유전자의 지배를 받는데, 흉근에서는 M에 대응하는 유전자활성(遺傳子活性)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으며, 반대로 심근에서는 H에 대응하는 유전자의 활성이 보다 강하기 때문에, 각각 M 또는 H를 많이 함유하는 동질효소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현재는 알도라아제 ·핵소키나아제 및 그 밖의 효소에 대해서도 많은 동질효소의 존재가 알려져 있고 세포가 암성화(癌性化)되는 데 따라 동질효소의 양식이 변화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9> 헥소키나아제의 이용 --> 혈당량의 측정
Glucose는 ATP의 존재하에 Hexokinase에 의해 G-6-P를 생산하고 이 G-6-P는 G-6-PH에 의해 6-Phosphogluconate로 되고, 이때 NADP가 NADPH로 되어 340nm의 흡광도가 상승되게 된다. 이 NADPH의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한다.
HK, Mg++
Glucose + ATP ---------> G-6-P + ADP
G-6-PD
G-6-P + NADP----------->6-Phosphogluconate + NADPH
* 혈중 glucose는 혈액에서 당의 공급과 소비로 조절된다. 이 양 반응계는 여러 가지 hormone으로 조절된다. 특히 insulin은 glucose의 세포막 투과나 효소계를 촉진하여 혈중 glucose를 감소시킨다. 한편 부신피질 steroid, ACTH,성장 hormone, glucagone 및 epinephrine은 혈당 유지 작용을 한다.
* 당대사에 관련된 검사로는 Insurin, C-peptide, Hemoglobin A1c 등이 있다.
- Hemoglobin A1c는 과거 1 - 3개월의 평균 혈당치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당뇨병을 장기간 control 하는 지표로 유용하다.
- Insulin은 당대사에 관련된 가장 중요한 hormone으로 당대사 이상을 일으키는 질환을 진단하고 병의 상태를 해석하는 데 꼭 필요하다.
- C-peptide는 Langerhans섬의 cell 내의 Goligi 장치에서 proinsulin으로부터 생성되며 insulin 측정이 저해받는 insulin 항체가 존재하는 경우 등에서 취장 내분비 기능을 추정하는데 적합하다.
- Keton body는 지방산의 산화로 생성되는 대사산물로 일반적으로 요에서는 볼 수 없으나 insulin 결핍이나 stress로 인하여 지방산 동원이 항진되어 간에서 keton체에 이르기까지 분해하게 된다. 이는 중증 당뇨병이나 당질기아, 빈번한 구토 및 소화불량 등에서 볼 수 있다.
Reference
1. 생화학 / Frank B. Amstrong / 녹문당 / 1993 / p.14
2. 생물학사전 / p.659
3. Lehninger 생화학 / Albert I. Lehninger / 서울 외국 서적 / 1989 / p.412 ~ p.415
4. 기본 생화학 / 김태호 / 신도 발행사 / 1991 / p.77~ p.78
5. www.naver.com
백과사전
6. http://user.chollian.net/%7Ejclee88/Bio_2_HTML/1/1-8.html
7. http://dave23.hihome.com/biochem/biochem12.htm
8. http://home.inje.ac.kr/~biochemi/Lecture/1st/Biochem-II
/해당과정.htm
9. http://100.empas.com/entry.html/?i=175143&v=&Ad=Encyber
10. http://bric.postech.ac.kr/bbs/trend/0009/000929-5.html
11. http://choizza.hihome.com/generalchemi/3lecuture/molecular/glucose.htm
12. http://www.shingu.ac.kr/~dolchoi/lc_bc/bc8-2.html
13. http://www.kyungnam.ac.kr/biotech/res/en.html
<9> 헥소키나아제의 이용 --> 혈당량의 측정
Glucose는 ATP의 존재하에 Hexokinase에 의해 G-6-P를 생산하고 이 G-6-P는 G-6-PH에 의해 6-Phosphogluconate로 되고, 이때 NADP가 NADPH로 되어 340nm의 흡광도가 상승되게 된다. 이 NADPH의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한다.
HK, Mg++
Glucose + ATP ---------> G-6-P + ADP
G-6-PD
G-6-P + NADP----------->6-Phosphogluconate + NADPH
* 혈중 glucose는 혈액에서 당의 공급과 소비로 조절된다. 이 양 반응계는 여러 가지 hormone으로 조절된다. 특히 insulin은 glucose의 세포막 투과나 효소계를 촉진하여 혈중 glucose를 감소시킨다. 한편 부신피질 steroid, ACTH,성장 hormone, glucagone 및 epinephrine은 혈당 유지 작용을 한다.
* 당대사에 관련된 검사로는 Insurin, C-peptide, Hemoglobin A1c 등이 있다.
- Hemoglobin A1c는 과거 1 - 3개월의 평균 혈당치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당뇨병을 장기간 control 하는 지표로 유용하다.
- Insulin은 당대사에 관련된 가장 중요한 hormone으로 당대사 이상을 일으키는 질환을 진단하고 병의 상태를 해석하는 데 꼭 필요하다.
- C-peptide는 Langerhans섬의 cell 내의 Goligi 장치에서 proinsulin으로부터 생성되며 insulin 측정이 저해받는 insulin 항체가 존재하는 경우 등에서 취장 내분비 기능을 추정하는데 적합하다.
- Keton body는 지방산의 산화로 생성되는 대사산물로 일반적으로 요에서는 볼 수 없으나 insulin 결핍이나 stress로 인하여 지방산 동원이 항진되어 간에서 keton체에 이르기까지 분해하게 된다. 이는 중증 당뇨병이나 당질기아, 빈번한 구토 및 소화불량 등에서 볼 수 있다.
Reference
1. 생화학 / Frank B. Amstrong / 녹문당 / 1993 / p.14
2. 생물학사전 / p.659
3. Lehninger 생화학 / Albert I. Lehninger / 서울 외국 서적 / 1989 / p.412 ~ p.415
4. 기본 생화학 / 김태호 / 신도 발행사 / 1991 / p.77~ p.78
5. www.naver.com
백과사전
6. http://user.chollian.net/%7Ejclee88/Bio_2_HTML/1/1-8.html
7. http://dave23.hihome.com/biochem/biochem12.htm
8. http://home.inje.ac.kr/~biochemi/Lecture/1st/Biochem-II
/해당과정.htm
9. http://100.empas.com/entry.html/?i=175143&v=&Ad=Encyber
10. http://bric.postech.ac.kr/bbs/trend/0009/000929-5.html
11. http://choizza.hihome.com/generalchemi/3lecuture/molecular/glucose.htm
12. http://www.shingu.ac.kr/~dolchoi/lc_bc/bc8-2.html
13. http://www.kyungnam.ac.kr/biotech/res/en.html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