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의 심리학(성교육 프로그램 만들기)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의 심리학(성교육 프로그램 만들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개 요

@ 교육자료(문서)
1. 올바른 성 개념.
2. 청소년의 신체 및 성적 발달
3. 청소년기의 성 특징
4. 사춘기의 개인차
5. 청소년기의 자위 행위
6. 신체적 변화
1 ) 음모, 체모
2 ) 목소리
3 ) 유방
7. 몽정
8. 초경
1 ) 시기
9. 생리(월경)
1 ) 월경의 원인
2 ) 난소 배란 주기와 월경주기
3 ) 불규칙한 월경
4 ) 월경을 하는 것은 귀찮고 불편한 일인가?
10. 생리통과 월경 기간 중 심리상태
11. 생리대의 종류와 사용법

본문내용

나와 다시 같은 작용을 되풀이한다.
3 ) 불규칙한 월경
월경은 심신의 상태에 따라 미묘한 영향을 받기 때문에 여행으로 긴장하거나 어떤 쇼크를 받거나 하면 월경 불순이 되는 수가 있다.
이 경우에는 심신을 안정시켜 몸조리를 잘 해야 한다. 특히 초경 후 얼마 동안은 월경이 없거나 불규칙적인 경우가 있으며 이 시기는 미성숙 배란기임을 알아 둘 필요가 있다.
사춘기에는 난포의 성숙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배란 없이도 월경이 일어날 수 있으며 생활의 변화와 심리적 영향으로 주기가 규칙적이 아닌 경우가 적지 않다. 또 개인차가 크기 때문에 타인과 비교하여 지나친 불안과 고민을 갖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월경 주기가 3주에서 6주 사이의 짧은 범위 안에서 안정되어 있는 경우라면 그다지 걱정할 필요는 없으나, 3-4개월이나 월경이 없다면 산부인과 의사를 찾아가 상담을 하는 것이 좋다. 특히, 이 때에 아무 약이나 먹는 일은 절대로 하지 말아야 한다.
평소에 자신의 월경 주기를 기록하고, 다음 월경 예정일을 기억하도록 하며, 이상이 생기면 산부인과 의사와 상의하도록 해야 한다.
4 ) 월경을 하는 것은 귀찮고 불편한 일인가?
월경 현상은 인류 사회를 유지하는 중요한 일.
많은 여성이 월경을 겪게 되면서 받아들이는 성에 대한 관념은 불쾌감이나 부끄러움이 보통이다. 여성 스스로도 월경 현상을 귀찮게 생각하여 "여자는 매달 귀찮다.", "남자는 편해서 좋겠다."는 식으로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이런 현상은 여자에게만 있는 현상이라고 생각할 필요는 없다. 여성들은 한 달에 한 번 치르는 현상이나 남성은 훨씬 더 자주 치러야 한다. 즉, 남성은 정액을 배설하는 사정 현상 때문에 때로는 여성보다 더 골치를 앓기도 한다.
이와 같은 사정이나 월경 현상은 생명의 창조 과정에 필요한 주요한 현상이며, 사정이나 월경 현상이 없다면 인류는 존재하지 못할 것이다.
즉, 생명을 탄생시키는 준비가 남성이나 여성의 몸 안에서 일어나는 것이므로, 각각 스스로의 역할에 대해 자부심을 갖도록 해야 할 것이다.
특히, 여성의 고유한 역할은 건강한 생명을 낳아 사회와 역사를 발전시킬 건강한 노동력을 재생산하는 것으로 참으로 중요한 일이다. 따라서, 모성은 사회 국가적으로 보호되어야 할 권리가 있다. 여성의 경우 월 1회의 생리 휴가가 법적으로 확보되어 있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에서이다.
10. 생리통과 월경기간중의 심리상태
생리통은 초경직후에는 별 증상이 없다가 중학교 2학년 이후 고등학교 시절에 심한 경우가 많다. 하복부나 허리가 아픈 것이 주요 증상인데 변비, 두통, 유방통 등이 일어나기도 한다.
월경 이상 증세에는 월경이 한 달에 두 번 또는 여러 달을 걸를 경우, 월경 주기가 너무 길거나 짧거나 일정치 않을 경우와 과다 출혈, 과소출혈, 무월경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증세는 월경기간에만 나타나는 일시적인 생리적 현상이며 개인에 따라 정도가 다르다.
생리통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심인성이건나 자궁발육이 부진하거나 프로스타글란딘(PG)호르몬이 증가하는 등의 원인으로 생기는 기능성 월경통과 자궁근종, 자궁내막증, 골반염증, 난소종양, 경관협착등이 원인인 속발성 월경통이 있다.
속발성 월경통은 치료가 필요하며 원인을 제거해주면 치료가 되지만, 기능성 월경통은 근본적인 치교 방법은 없고 활동을 줄이거나 핫 백 찜질을 하거나 진통제 등을 먹이는 대중요법을 쓴다.
월경은 심신의 상태에 따라 미묘한 영향을 받기 때문에 긴장, 여행, 쇼크 등의 원인으로 월경이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우선 심신을 안정시키도록 한다.
어머니들은 딸의 생리통이나 월경 불순에 대해 "그 나이 때는 흔히 있는 일"이라고 하면서 호소를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않기 쉽다. 그러나 월경통이 아주 극심하다면 무조건 참고 견디기 보다는 산부인과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난관에 염증이 있거나 자궁 경부에 이상이 있어 월경혈이 밖으로 잘 빠져나가지 못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월경기간중에 아무런 증상을 느끼지 않는 사람도 있으나 대개의 경우에는 평소보다 민감해 지는 것이 보통이고 기분도 여러 형태로 변한다. 마음이 우울해 지거나 신경이 예민해 지기도 하고 불안해 지기도 한다.
월경 전이나 월경 기간 중에 나타나는 이런 증상은 월경에 대한 주변 사람들의 부정적인 태도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라고도 한다. 월경을 "귀찮은 월례행사" 라거나 "여자는 죄가 많아서 월경을 한다"는 등의 말을 자주 들음으로써 신체, 심리적으로 부정적으로 반응하게 된다.출혈에 대한 준비와 조심으로 피로, 우울, 신경질, 분노를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월경을 여성으로서 성숙하는 것으로 보는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면 출혈에 대한 불안이 적기 때문에 심리상태의 변화가 거의 없다고 한다.
따라서 월경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지나치게 신경을 쓰거나 짜증을 부리는 일이 없도록 한다. 이럴 때는 오히려 마음을 즐겁게 가지려고 노력하게 하고 가벼운 운동 등을 권한다.
11. 생리대의 종류와 사용법
옛날에는 가정에서 무명으로 만든 재래식 월경대를 사용했으나 요즈음에는 약국이나 슈퍼에서 쉽게 살 수 있는 생리대(패드)를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월경 때 수영을 해도 괜찮은 삽입식 탐폰(tampon)도 있다.
재래식은 사용 후 삶아 빨아야 하는 불편이 있었는데 비해 패드는 사용 후 그냥 버려도 되고 또 크기도 다양하여 월경의 양이 많은 날에는 크고 두꺼운 용품을 쓰고 적은 날에는 작고 얇은 것을 사용하면 되는 편리함이 있다.
아무튼 자기에게 편리하고 알맞은 것으로 선택하여 불쾌감이 없고 다른 사람에게 눈치 채지 않도록 하며 위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통 생리대를 가는 횟수는 5-6회로 잡고 있다. 요사이는 약국에서 패드를 손쉽게 구할 수 있고, 특히, 다른 옷에 묻지 않도록 밑에 고무를 댄 팬티를 쉽게 구할 수 있으므로 월경 때 사용하면 좋다.
또한 자기 월경 주기가 28일형인지 30일형인지를 알아 월경일을 미리 계산해 두고 생리대를 소지하고 다니면 실수하는 일이 없을 것이다. 이외에 여행이나 그 밖에 집을 떠날 때 다른 소지품과 함께 월경대를 준비하고 떠나도록 한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3.12.22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99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