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헌고찰
Ⅱ. 간호사정
1. 일반적 사항
2. 대상자의 건강력
3. 건강사정
4. 진단검사
Ⅲ. 간호과정
1. 가능한 간호진단 목록
2. 간호과정 적용
Ⅱ. 간호사정
1. 일반적 사항
2. 대상자의 건강력
3. 건강사정
4. 진단검사
Ⅲ. 간호과정
1. 가능한 간호진단 목록
2. 간호과정 적용
본문내용
것은 긴장을 완화시키고 통증을 감소시킬수 있다. (송경애 외, 최신 기본간호학Ⅰ, 수문사, p331)
<장기 목표>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급성 혼돈 증상이 완화되고 인지 기능이 회복된다.
=> 미달성(회복되었다가 다시 증상 나타남)
<단기 목표>
대상자는 48시간 이내에 불안, 우울, 환각, 망상 등의 급성 혼돈 증상이 감소된다.
=> 달성
# 진단진술문 3: 복합성 요인(기동성 제약, 식욕부진, 불안)으로 인한 만성 기능적 변비의 위험
자료
목적 및 기대되는 결과
간호계획
수행 및 이론적 근거
평가
<주관적 자료>
“(변이)안나와 약좀줘요.”
<객관적 자료>
주호소: general weakness
하루종일 침대에서 시간을 보내는 모습 관찰됨.
복부팽만 관찰되며 하복부 촉진 시 단단하게 만져짐.
최근 4일 동안 배변을 하지 못함. (10/21)
필요열량: 45.2kg x 14kcal/kg= 632.8 kcal/day 보다 적은 열량 섭취
식사시간에 밥을 먹지 않고 대부분 남기는 모습 관찰됨.
식욕부진 부작용을 가진 약물 복용중임
약물
부작용
훼로바-유서방정
[Feroba-U SR Tablet ]
두드러기, 가려움, 피부과민반응, 위통증, 구토, 열, 혼수, 구역, 치아변색, 흑변, 식욕부진
페리돌정1.5mg(할로페리돌)
[ Peridol Tab. 1.5mg ]
심전도이상, 혈압저하, 운동마비, 연하곤란, 근긴장이상, 파킨슨증후성 강직, 진전, 정좌불능, 식욕부진
<장기 목표>
1. 퇴원시까지 대상자는 투약 없이 규칙적으로 1~2일마다 배변을 할 것이다.
2. 퇴원시까지 대상자가 변비 예방, 완화를 위한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하루 2회 이상 관찰할 수 있을 것이다.
<단기 목표>
1. 대상자는 1일 안에 배변을 할 것이다.
2. 1일 안에 복부팽만이 호전되고 대상자는 불편감이 나아지거나 없다고 말한다.
3. 교육 후 대상자, 보호자는 변비 예방을 위한 방법에 대해 2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1. 배변 빈도, 변의 양, 색깔, 특성(덩어리 형성, 묽은지 등)에 대해 사정한다.
2. 대상자의 음식 및 수분 섭취 양상에 대해 사정한다.
3. 충분한 수분 섭취를 격려한다.
4. 섬유질이 풍부한 식사를 격려한다.
5. 평소 활동량을 증가하도록 격려한다.
6. 배변 신호가 오면 무시하지 않고 곧바로 화장실에 가서 배변을 보도록 교육한다.
7. 시계 방향으로 복부 마사지를 시행한다.
8. 배변 시 프라이버시를 보장해 준다.
9. 대상자, 보호자 임의로 변비약을 복용하거나 관장을 시행하지 않고 처방된 약만 복용하도록 하며 필요시 의료진과 상의하도록 교육한다.
10. 처방에 따라 약물을 투약하고 효과를 관찰한다. 복약지도를 하고 부작용 및 주의사항을 교육한다.
1. 대상자의 배변 양상에 대해 사정하였다
원래는 1일 1회 배변하나 최근 4일간 변비 증상으로 변을 보지 못하고 땅콩과 같은 단단한 혹 모양의 변이 분리되어 배출됨.
2. 평소 음식 및 수분 섭취에 대해 문진하였다.
- 평소 아침은 과일 조금으로 때우고 점심, 저녁에 1끼씩 밥, 반찬 위주로 드시며 가끔 속이 불편할 때는 죽도 드심. 식사량은 적은 편이라고 함.
3. 충분한 수분 섭취를 격려하였다.
- 하루 2ℓ 정도의 물, 주스 등을 마시도록 교육하고, 대상자 근처에 물병을 두어 바로바로 마실 수 있도록 하였다.
4. 섬유질이 풍부한 식사를 격려하였다.
- 섬유질 섭취 중요성에 대해 교육하고 식사 시 30분 정도 시간을 두고 천천히 먹도록 설명하였다. 오이, 양배추, 브로콜리, 우엉, 당근, 현미, 율무, 사과, 배 등 곡류, 채소, 과일류를 매일 의식적으로 챙겨먹도록 설명하고 변비 예방과 관련된 식습관에 대해 간단히 정리한 자료를 함께 제공하였다.
-단 위장장애가 있을 수 있어 그럴경우 점차적으로 섬유소 섭취를 늘리도록 하였다. 식사 시 잘 조리되어 부드러운 채소류가 포함된 식단을 제공하였다.
5. 평소 활동량을 증가하도록 격려하였다.
- 변비 예방을 위한 신체적 활동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하고, 보호자와 함께 활동을 격려하였다. 활동 시 낙상 예방의 중요성에 대해서 강조하였다: 대상자가 보호자와 함께 병동 복도 걷기, 병원 내 공원 산책을 하는 모습 관찰함.
6. 배변 신호가 오면 무시하지 않고 곧바로 화장실에 가서 배변을 보도록 교육한다.
배변 신호를 무시하지 말고 대변이 보고싶을 때 바로 화장실에 가도록 교육하였다. 화장실에 갈 때 도움 필요시 바로 요청할 수 있도록 콜벨 사용법을 교육하였다.
7. 시계 방향으로 복부 마사지를 시행한다.
-> 5분 동안 부드럽게 시계 방향 복부 마사지를 시행하였다.
8. 배변 시 프라이버시를 보장해 주었다.
화장실의 문을 닫고, 중간에 방해하지 않는 환경을 조성하고, 화장실 내부 콜벨 위치와 사용법을 설명해 언제든지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였다.
9. 대상자, 보호자 임의로 변비약을 복용하거나 관장을 시행하지 않고 처방된 약만 복용하도록 하며 필요시 의료진과 상의하도록 교육하였다.
대상자는 주로 점심 이후에 배변을 보는 습관이 있다고 하여 평소 습관대로 규칙적으로 배변 보기를 시도하도록 하였다: 매일 점심 식후 배변 시도하는 모습 관찰함.
10. 처방에 따라 약물을 투약하고 부작용 및 주의사항을 교육하였다.
마그밀정
[ Magmil Tab.]
TC
500mg
1일 3회
설사, 고마그네슘혈증
둘코락스에스장용정
[ Dulcolax-S Enteric-Coated Tablet ]
HS
5mg
1일 1회
발진, 가려움, 복통, 설사, 복부불쾌감, 탈수, 항문의 불쾌감, 어지러움 등
<장기 목표>
1. 퇴원시까지 대상자는 투약 없이 규칙적으로 1~2일마다 배변을 할 것이다.
=> 달성
2. 퇴원시까지 대상자가 변비 예방, 완화를 위한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하루 2회 이상 관찰할 수 있을 것이다.
=> 달성
<단기 목표>
1. 대상자는 1일 안에 배변을 할 것이다.
=> 달성
2. 1일 안에 복부팽만이 호전되고 대상자는 불편감이 나아지거나 없다고 말한다.
=> 달성
3. 교육 후 대상자, 보호자는 변비 예방을 위한 방법에 대해 2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 달성
<장기 목표>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급성 혼돈 증상이 완화되고 인지 기능이 회복된다.
=> 미달성(회복되었다가 다시 증상 나타남)
<단기 목표>
대상자는 48시간 이내에 불안, 우울, 환각, 망상 등의 급성 혼돈 증상이 감소된다.
=> 달성
# 진단진술문 3: 복합성 요인(기동성 제약, 식욕부진, 불안)으로 인한 만성 기능적 변비의 위험
자료
목적 및 기대되는 결과
간호계획
수행 및 이론적 근거
평가
<주관적 자료>
“(변이)안나와 약좀줘요.”
<객관적 자료>
주호소: general weakness
하루종일 침대에서 시간을 보내는 모습 관찰됨.
복부팽만 관찰되며 하복부 촉진 시 단단하게 만져짐.
최근 4일 동안 배변을 하지 못함. (10/21)
필요열량: 45.2kg x 14kcal/kg= 632.8 kcal/day 보다 적은 열량 섭취
식사시간에 밥을 먹지 않고 대부분 남기는 모습 관찰됨.
식욕부진 부작용을 가진 약물 복용중임
약물
부작용
훼로바-유서방정
[Feroba-U SR Tablet ]
두드러기, 가려움, 피부과민반응, 위통증, 구토, 열, 혼수, 구역, 치아변색, 흑변, 식욕부진
페리돌정1.5mg(할로페리돌)
[ Peridol Tab. 1.5mg ]
심전도이상, 혈압저하, 운동마비, 연하곤란, 근긴장이상, 파킨슨증후성 강직, 진전, 정좌불능, 식욕부진
<장기 목표>
1. 퇴원시까지 대상자는 투약 없이 규칙적으로 1~2일마다 배변을 할 것이다.
2. 퇴원시까지 대상자가 변비 예방, 완화를 위한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하루 2회 이상 관찰할 수 있을 것이다.
<단기 목표>
1. 대상자는 1일 안에 배변을 할 것이다.
2. 1일 안에 복부팽만이 호전되고 대상자는 불편감이 나아지거나 없다고 말한다.
3. 교육 후 대상자, 보호자는 변비 예방을 위한 방법에 대해 2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1. 배변 빈도, 변의 양, 색깔, 특성(덩어리 형성, 묽은지 등)에 대해 사정한다.
2. 대상자의 음식 및 수분 섭취 양상에 대해 사정한다.
3. 충분한 수분 섭취를 격려한다.
4. 섬유질이 풍부한 식사를 격려한다.
5. 평소 활동량을 증가하도록 격려한다.
6. 배변 신호가 오면 무시하지 않고 곧바로 화장실에 가서 배변을 보도록 교육한다.
7. 시계 방향으로 복부 마사지를 시행한다.
8. 배변 시 프라이버시를 보장해 준다.
9. 대상자, 보호자 임의로 변비약을 복용하거나 관장을 시행하지 않고 처방된 약만 복용하도록 하며 필요시 의료진과 상의하도록 교육한다.
10. 처방에 따라 약물을 투약하고 효과를 관찰한다. 복약지도를 하고 부작용 및 주의사항을 교육한다.
1. 대상자의 배변 양상에 대해 사정하였다
원래는 1일 1회 배변하나 최근 4일간 변비 증상으로 변을 보지 못하고 땅콩과 같은 단단한 혹 모양의 변이 분리되어 배출됨.
2. 평소 음식 및 수분 섭취에 대해 문진하였다.
- 평소 아침은 과일 조금으로 때우고 점심, 저녁에 1끼씩 밥, 반찬 위주로 드시며 가끔 속이 불편할 때는 죽도 드심. 식사량은 적은 편이라고 함.
3. 충분한 수분 섭취를 격려하였다.
- 하루 2ℓ 정도의 물, 주스 등을 마시도록 교육하고, 대상자 근처에 물병을 두어 바로바로 마실 수 있도록 하였다.
4. 섬유질이 풍부한 식사를 격려하였다.
- 섬유질 섭취 중요성에 대해 교육하고 식사 시 30분 정도 시간을 두고 천천히 먹도록 설명하였다. 오이, 양배추, 브로콜리, 우엉, 당근, 현미, 율무, 사과, 배 등 곡류, 채소, 과일류를 매일 의식적으로 챙겨먹도록 설명하고 변비 예방과 관련된 식습관에 대해 간단히 정리한 자료를 함께 제공하였다.
-단 위장장애가 있을 수 있어 그럴경우 점차적으로 섬유소 섭취를 늘리도록 하였다. 식사 시 잘 조리되어 부드러운 채소류가 포함된 식단을 제공하였다.
5. 평소 활동량을 증가하도록 격려하였다.
- 변비 예방을 위한 신체적 활동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하고, 보호자와 함께 활동을 격려하였다. 활동 시 낙상 예방의 중요성에 대해서 강조하였다: 대상자가 보호자와 함께 병동 복도 걷기, 병원 내 공원 산책을 하는 모습 관찰함.
6. 배변 신호가 오면 무시하지 않고 곧바로 화장실에 가서 배변을 보도록 교육한다.
배변 신호를 무시하지 말고 대변이 보고싶을 때 바로 화장실에 가도록 교육하였다. 화장실에 갈 때 도움 필요시 바로 요청할 수 있도록 콜벨 사용법을 교육하였다.
7. 시계 방향으로 복부 마사지를 시행한다.
-> 5분 동안 부드럽게 시계 방향 복부 마사지를 시행하였다.
8. 배변 시 프라이버시를 보장해 주었다.
화장실의 문을 닫고, 중간에 방해하지 않는 환경을 조성하고, 화장실 내부 콜벨 위치와 사용법을 설명해 언제든지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였다.
9. 대상자, 보호자 임의로 변비약을 복용하거나 관장을 시행하지 않고 처방된 약만 복용하도록 하며 필요시 의료진과 상의하도록 교육하였다.
대상자는 주로 점심 이후에 배변을 보는 습관이 있다고 하여 평소 습관대로 규칙적으로 배변 보기를 시도하도록 하였다: 매일 점심 식후 배변 시도하는 모습 관찰함.
10. 처방에 따라 약물을 투약하고 부작용 및 주의사항을 교육하였다.
마그밀정
[ Magmil Tab.]
TC
500mg
1일 3회
설사, 고마그네슘혈증
둘코락스에스장용정
[ Dulcolax-S Enteric-Coated Tablet ]
HS
5mg
1일 1회
발진, 가려움, 복통, 설사, 복부불쾌감, 탈수, 항문의 불쾌감, 어지러움 등
<장기 목표>
1. 퇴원시까지 대상자는 투약 없이 규칙적으로 1~2일마다 배변을 할 것이다.
=> 달성
2. 퇴원시까지 대상자가 변비 예방, 완화를 위한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하루 2회 이상 관찰할 수 있을 것이다.
=> 달성
<단기 목표>
1. 대상자는 1일 안에 배변을 할 것이다.
=> 달성
2. 1일 안에 복부팽만이 호전되고 대상자는 불편감이 나아지거나 없다고 말한다.
=> 달성
3. 교육 후 대상자, 보호자는 변비 예방을 위한 방법에 대해 2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 달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