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와 봉건사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독교와 봉건사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들어가는말
1.18∼19세기 조선의 시대상황과 사상의 흐름
2.서학·천주교의 도입
①서학·천주교의 성격
②봉건사회의 대응과 사상간의 갈등 및 대립
3.동학의 등장
①동학의 성격
②동학의 전개 및 봉건정부의 대응
③농민들의 수용

Ⅱ.맺음말

본문내용

을 띤 것이며 민중의 공격심을 한곳으로 집중시키기 위해 외국세력에 대한 배타적인 구호는 무엇보다도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교조 최제우는 기독교를 비판하였지만 배타적인 감정을 드러낸 바는 없으며 합리적이고 주체적인 입장에서 수용하려는 관용을 보였다. 그리하여 기독교와의 갈등은 없었고, 그 배후에 있는 서구 세력을 자극하지 않았다.
최제우가 민중을 휘어잡을 수 있었던 원인을 요약하면 첫째로 민중의 전통적지지 기반인 토착 신앙과 주술을 메시지화한 점, 둘째로 민중의 정신적 공동을 포착하고 체계화한 토착 신앙을 그 자리에 메워 넣은 점, 셋째로 원초적이고 잠재적인 외국세력에 대한 혐오감을 공격 지향의 배외(排外)감정으로 상승케 하는 메시지를 발한 점을 들 수가 있겠다.
최제우는 사회 변혁의 당위성이 제기되는 조선 사회의 실정을 너무나 잘 이해하고 있어 단순한 도당적(徒黨的)성격의 저항운동이 아닌, 범민중의 수준에서 전개되는 사회 개혁의 요청이 불가피함을 포괄적인 사상 체계로 구성하였다.
제2세 교주 최시형은 정규적인 학문 수학의 배경을 갖기 못하여 학문의 영역이 한정되어있었다. 그러나 그가 동학 교단을 지도한 후부터는 원시동학의 형태를 벗어나 교리나 조직면에서 많은 발전이 있었다.
동학의 세력을 신장하는데 있어 최시형은 원시동학의 사도(使徒)적 방황 시대에서 조직 종교로, 동학도를 조직 종교로 정비하고 제도화하였다. 이는 이전의 잠정적인 대중 집회 성격에서 탈피하여 수도적 사명을 띤 종교 공동체로 발전하게 하는 것이며, 갑오동학혁명의 엄청난 동원력의 에너지를 축적하게 되고 최시형은 폭력적인, 혹은 대중 운동으로 조직이 노출되어 괴멸당하는 것을 우려하여 지하의 비밀 집회를 위주로 세력을 육성해 나갔다.
Ⅱ.맺음말
우리는 위에서 조선 후기 사회모순으로 인해 도입·발생된 서학·천주교, 동학으로 인하여 그당시 사회에 불러일으킨 사상동향을 살펴보았다.
18세기와 19세기에 걸친 조선의 구조적인 사회체제의 모순으로 말미암아 사회에 대한 비판과 새로운 사회모색을 위한 실학이 등장하게 되고 실학의 등장은 곧 서학·천주교의 도입을 가져왔다. 대외위기와 함께 신앙적인 차원으로 발전한 천주교의 교세확대는 정부에게 서양열강에 대한 위기의식을 가져오게 되고 이로 인해서 정부는 천주교를 사학으로 판단하고 탄압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양선의 출몰과 더불어 서양에 대한 민중의 반감은 동학의 등장을 가져온다. 동학은 서학을 비판하면서 농민이 수용하기 쉬운 민간사상을 수용함으로서 농민에게 큰 반향을 일으키면서 급속도로 교세가 확장하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동학은 정치적인 색채를 띠면서 농민운동의 성격을 띠면서 정치적운동을 시도하지만 지도층의 분열로 실패하게 된다.
서학·천주교, 동학은 신분제에 대해서 비판하는 평등사상을 내세웠다는 점에서 일맥상통하며, 시학도 비록 초기에는 유교적 입장으로 서학을 이해하지만 후에 평등사상을 내세웠따. 하지만 서학·천주교는 전통사회 민중사이에 만연해 있는 주술성을 거부하여 군중심리를 동원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다소 차이가 있다.
어쨌든 천주교의 포교활동이나 동학운동은 변혁기라는 당대의 사회적 조건속에서 활발히 전개된 일종의 민중의 신앙운동으로서 다음시대의 종교운동의 향방을 결정짓는 선구자적 역할을 담당하였다.
참 고 문 헌
황선명, 「신앙운동으로서의 서학과 동학」『민중종교운동사』 제9장 종로서적
한우근, 「동학의 성격과 동학교도의 운동」 『한국사』17 국사편찬위위회
김태웅, 「서구자본주의의 침투와 위기의식의 고양」 『한국사』10 한길사
박찬승, 「'근대'와 '제국'-그 도전과 대응」
(한국역사연구회, 『한국사상사의 과학적이해를 위하여』 청년사)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3.12.23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02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