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유래와 개념
Ⅱ. 특징 및 증상
1. 행동적 특성
2. 정서적 특성
3. 인지적 특성
4. 대인관계의 특성
Ⅲ. 원 인
1. 정신역동적 이론
2. 인지행동적 이론
Ⅳ. 치 료
1. 정신역동적 치료방법
2. 인지행동적 치료방법
3. 밀론의 치료방법
Ⅴ. 사례 분석-1
1. 첫 번째 사례
2. 두 번째 사례
Ⅵ. 사례 분석-2
1. 아메리칸 사이코(American Psycho)
Ⅶ. 참고 도서
Ⅱ. 특징 및 증상
1. 행동적 특성
2. 정서적 특성
3. 인지적 특성
4. 대인관계의 특성
Ⅲ. 원 인
1. 정신역동적 이론
2. 인지행동적 이론
Ⅳ. 치 료
1. 정신역동적 치료방법
2. 인지행동적 치료방법
3. 밀론의 치료방법
Ⅴ. 사례 분석-1
1. 첫 번째 사례
2. 두 번째 사례
Ⅵ. 사례 분석-2
1. 아메리칸 사이코(American Psycho)
Ⅶ. 참고 도서
본문내용
보호하고 도와주어야 한다고 했던 것과는 달리 동양인 세탁소 주인에게 욕을 하며 윽박지르고 더 나아가서는 길거리에서 우연히 마주친 부랑자를 살해한다.
<세탁소 장면 : 얼룩을 빼지 못했다며 동양인 세탁소 주인에게 윽박지르는 모습>
패트릭 : 이게 얼마나 비싼 건데 세탁하나 제대로 못해. 아가리 안 닥치면 죽여버리겠어. 20분후에 점심 약속이 있어. 오후까지는 깨끗이 해놔.
(세탁소 주인이 패트릭이 알 수 없는 언어로 뭐라 말을 한다)
패트릭 : 그만좀 해. 못 알아듣겠어. 밥통 같은 것들 속터져 미치겠네. 죽고싶어?
<패트릭이 퇴근하던 길에 노숙자를 살해하는 장면>
패트릭 : 이봐 도와줄까? 먹을 것 좀 줄까? 여긴 너무 춥지? 힘을 내 내가 도와줄게.
노숙자 : 고마우신 분이군요. 여긴 너무 춥고 배가 고파요.
패트릭 : 냄새가 심하군. 더러운 자식. 주제를 알아. 미안하군. 아무래도 안되겠어. 우린 너무나 달라.
(무언가를 주는 척 하다 칼로 노숙자를 살해함.)
패트릭 : (쓰러진 시체를 발로차며) 쓰레기 같은 자식.
또한 그는 주위에 수두룩한 자신보다 우월한 존재 역시 참아낼 수 없다. 이는 사소한 명함의 디자인이나 예약하기 힘든 레스토랑에 자신을 제치고 테이블을 예약한 것이라도 마찬가지이다. 어쩌면 그는 단지 물려받은 지위와 재산밖에는 없는 실제로는 매우 무능력한 인간일지도 모른다. 그래서인지 그가 느끼는 열등감이란 그런 사소한 것들에 한정된다. 역시 그는 이러한 상황 혹은 인간을 살인을 통해 제거해 버린다. 그에게 있어 살인과 섹스는 자신의 우월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편이기도 하다. 거리에서 산 여자들에게 자신이 좋아하는 록그룹에 대한 설교를 늘어놓으며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최대한 음미하면서 그룹섹스를 즐긴다.
<패트릭이 친구들에게 명함을 보여주는 장면>
패트릭 : 새로 했어. 어때?
친구 1 : 죽여주는데.
패트릭 : 볼줄 아는군. 실리안 레일이야.
친구 2 : 이건 아무것도 아냐. (자신의 명함을 내밀며) 달걀 껍질을 박아넣었어.
패트릭 : (못마땅하다는 듯이) 멋지군.
친구 3 : 내 건 어때? 입체식이야. 테두리도 있고.
패트릭 : 멋져. 폴 알렌 것은 어떻지?
(다른 친구가 폴 알렌의 명함을 보여준다)
패트릭 : (독백) 환상적인 색채. 글자체도 두껍고. 이럴 수가 무늬까지 있어....
<여자 둘과 변태적 그룹섹스를 하기 전 자신의 음악적 취향을 설교하는 장면>
패트릭 : 위트니 휴스턴의 1집은 그냥 위트니 휴스턴이었지. 넘버원 싱글이 4곡이나 나왔어. 워낙 좋은 곡이 많지만 'The greatest love of all'이 최고야. 파워풀하지. 자가 보호와 존엄에 대한 거지. 국경을 초월한 보편적 메시지를 조금씩 전해주지. 더 나은 우리를 만들기에 늦지 않았다고... 왜냐하면 타인과의 공감이 불가능하거든. 자신에게 동화할 뿐이지. 중요한 메시지야. 잔인하긴 하지만. 앨범에선 아름답게 표현했어.
이러한 장면들은 자기애적 성향과 더불어 그러한 성격장애가 반사회적이고 공격적 행동으로 변화함을 잘 나타내준다. 패트릭은 자신의 우월 의식이 깨짐과 동시에 심각한 정서적 혼란 및 불안을 느끼게 되어 동료인 폴 알렌을 죽이는 등의 폭력적 행위에 탐닉하게 된다. 마치 그러한 폭력 행위를 통해서 자신의 존재적 의미를 찾으려고 하는 것처럼 보이는데, 이것은 성격장애 자체가 하나의 분리된 장애가 아니라 서로가 영향을 주고받는 상호연관적 관계임을 알 수 있게 해준다.
<패트릭 베이트만이 자신의 살인욕구를 느끼며 한 나래이션 부분>
패트릭 베이트만 : 난 인간의 면모를 고루 갖췄다. 육체, 피, 피부, 털. 다만 이렇다할 감정이 없다. 탐욕과 혐오감만 있을 뿐. 끔찍한 변화가 일고 있지만 이유는 알 수 없다. 피를 향한 욕망이 날 뒤흔든다. 참을 수 없는 광분 상태로 이성의 경계를 넘으려 한다.
그가 계속되는 살인과 좁혀지는 수사망에도 불구하고 발각되지 않는 이유는 영화의 마지막에서야 밝혀진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 패트릭이 변호사를 붙들고 자신이 친구 폴을 죽였다고 말하는데 변호사가 며칠 전 자신과 폴이 같이 식사한 이야기를 해주며 그는 죽지 않았다고 말한다. 그 때 패트릭은 진실을 깨닫게 되고 관객 역시 알게 된다. 수십명의 사람들을 죽이고 뇌와 내장을 꺼내 요리를 해먹었다는 패트릭의 이야기는 자기애적 성격장애로 인해 참을 수 없는 살인욕구를 해소하고자 하는 패트릭의 병리적인 상상이었던 것이다. 그의 비서 질이 발견한 패트릭의 다이어리 속의 엽기적인 살인 낙서들과 글들은 그의 병리적인 정신이상이 어느 정도인지를 잘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영화 '아메리칸 사이코'는 자기애적 성격장애를 지닌 사람의 심리적 상태 및 그 장애의 끝이 반사회적이고 자신을 파괴시키는 행동으로 나타나며, 다른 심리적 장애(반사회적 성격장애, 정신 분열증 등)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잘 드러내 주는 영화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주인공 패트릭 베이트만의 마지막 대사를 통해 자기애적 성격장애를 마무리 짓는 것이 좋을 듯 하다.
"모든건 그대로이다. 내 주변의 일상은 변함이 없고, 위선과 교만으로 무장한 인간들은 내게 아무런 관심이 없을뿐더러 알려 하지도 않는다. 용솟음치는 분노를 억누를 수 없다. 그들 중 어느 하나라도 나를 앞지른다면 또다시 죽이고 싶도록 증오를 느낀다. 누구도 예외일 순 없다. 하지만 어차피 카타르시스는 없다. 엽기적인 욕구는 계속 나를 짖누를 것이며 나자신조차 통제할 수 없다. 이제 진짜 살인을 저지를 지 모른다. 욕망의 끝을 보기위해."
Ⅶ. 참고 도서
유시주, <거꾸로 읽는 그리스 로마 신화>, 푸른나무, 1996
Thedore Millon,, Philadephia : Saunders, 1969
Theodore Millon, S. Everly, Jr George,, New York : Wiley, 1985
권석만 외, <자기애성 성격장애>, 학지사, 2000
아윈 사라손, 바바라 사라손 공저, <이상심리학>, 학지사, 2001사, 2001
<세탁소 장면 : 얼룩을 빼지 못했다며 동양인 세탁소 주인에게 윽박지르는 모습>
패트릭 : 이게 얼마나 비싼 건데 세탁하나 제대로 못해. 아가리 안 닥치면 죽여버리겠어. 20분후에 점심 약속이 있어. 오후까지는 깨끗이 해놔.
(세탁소 주인이 패트릭이 알 수 없는 언어로 뭐라 말을 한다)
패트릭 : 그만좀 해. 못 알아듣겠어. 밥통 같은 것들 속터져 미치겠네. 죽고싶어?
<패트릭이 퇴근하던 길에 노숙자를 살해하는 장면>
패트릭 : 이봐 도와줄까? 먹을 것 좀 줄까? 여긴 너무 춥지? 힘을 내 내가 도와줄게.
노숙자 : 고마우신 분이군요. 여긴 너무 춥고 배가 고파요.
패트릭 : 냄새가 심하군. 더러운 자식. 주제를 알아. 미안하군. 아무래도 안되겠어. 우린 너무나 달라.
(무언가를 주는 척 하다 칼로 노숙자를 살해함.)
패트릭 : (쓰러진 시체를 발로차며) 쓰레기 같은 자식.
또한 그는 주위에 수두룩한 자신보다 우월한 존재 역시 참아낼 수 없다. 이는 사소한 명함의 디자인이나 예약하기 힘든 레스토랑에 자신을 제치고 테이블을 예약한 것이라도 마찬가지이다. 어쩌면 그는 단지 물려받은 지위와 재산밖에는 없는 실제로는 매우 무능력한 인간일지도 모른다. 그래서인지 그가 느끼는 열등감이란 그런 사소한 것들에 한정된다. 역시 그는 이러한 상황 혹은 인간을 살인을 통해 제거해 버린다. 그에게 있어 살인과 섹스는 자신의 우월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편이기도 하다. 거리에서 산 여자들에게 자신이 좋아하는 록그룹에 대한 설교를 늘어놓으며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최대한 음미하면서 그룹섹스를 즐긴다.
<패트릭이 친구들에게 명함을 보여주는 장면>
패트릭 : 새로 했어. 어때?
친구 1 : 죽여주는데.
패트릭 : 볼줄 아는군. 실리안 레일이야.
친구 2 : 이건 아무것도 아냐. (자신의 명함을 내밀며) 달걀 껍질을 박아넣었어.
패트릭 : (못마땅하다는 듯이) 멋지군.
친구 3 : 내 건 어때? 입체식이야. 테두리도 있고.
패트릭 : 멋져. 폴 알렌 것은 어떻지?
(다른 친구가 폴 알렌의 명함을 보여준다)
패트릭 : (독백) 환상적인 색채. 글자체도 두껍고. 이럴 수가 무늬까지 있어....
<여자 둘과 변태적 그룹섹스를 하기 전 자신의 음악적 취향을 설교하는 장면>
패트릭 : 위트니 휴스턴의 1집은 그냥 위트니 휴스턴이었지. 넘버원 싱글이 4곡이나 나왔어. 워낙 좋은 곡이 많지만 'The greatest love of all'이 최고야. 파워풀하지. 자가 보호와 존엄에 대한 거지. 국경을 초월한 보편적 메시지를 조금씩 전해주지. 더 나은 우리를 만들기에 늦지 않았다고... 왜냐하면 타인과의 공감이 불가능하거든. 자신에게 동화할 뿐이지. 중요한 메시지야. 잔인하긴 하지만. 앨범에선 아름답게 표현했어.
이러한 장면들은 자기애적 성향과 더불어 그러한 성격장애가 반사회적이고 공격적 행동으로 변화함을 잘 나타내준다. 패트릭은 자신의 우월 의식이 깨짐과 동시에 심각한 정서적 혼란 및 불안을 느끼게 되어 동료인 폴 알렌을 죽이는 등의 폭력적 행위에 탐닉하게 된다. 마치 그러한 폭력 행위를 통해서 자신의 존재적 의미를 찾으려고 하는 것처럼 보이는데, 이것은 성격장애 자체가 하나의 분리된 장애가 아니라 서로가 영향을 주고받는 상호연관적 관계임을 알 수 있게 해준다.
<패트릭 베이트만이 자신의 살인욕구를 느끼며 한 나래이션 부분>
패트릭 베이트만 : 난 인간의 면모를 고루 갖췄다. 육체, 피, 피부, 털. 다만 이렇다할 감정이 없다. 탐욕과 혐오감만 있을 뿐. 끔찍한 변화가 일고 있지만 이유는 알 수 없다. 피를 향한 욕망이 날 뒤흔든다. 참을 수 없는 광분 상태로 이성의 경계를 넘으려 한다.
그가 계속되는 살인과 좁혀지는 수사망에도 불구하고 발각되지 않는 이유는 영화의 마지막에서야 밝혀진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 패트릭이 변호사를 붙들고 자신이 친구 폴을 죽였다고 말하는데 변호사가 며칠 전 자신과 폴이 같이 식사한 이야기를 해주며 그는 죽지 않았다고 말한다. 그 때 패트릭은 진실을 깨닫게 되고 관객 역시 알게 된다. 수십명의 사람들을 죽이고 뇌와 내장을 꺼내 요리를 해먹었다는 패트릭의 이야기는 자기애적 성격장애로 인해 참을 수 없는 살인욕구를 해소하고자 하는 패트릭의 병리적인 상상이었던 것이다. 그의 비서 질이 발견한 패트릭의 다이어리 속의 엽기적인 살인 낙서들과 글들은 그의 병리적인 정신이상이 어느 정도인지를 잘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영화 '아메리칸 사이코'는 자기애적 성격장애를 지닌 사람의 심리적 상태 및 그 장애의 끝이 반사회적이고 자신을 파괴시키는 행동으로 나타나며, 다른 심리적 장애(반사회적 성격장애, 정신 분열증 등)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잘 드러내 주는 영화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주인공 패트릭 베이트만의 마지막 대사를 통해 자기애적 성격장애를 마무리 짓는 것이 좋을 듯 하다.
"모든건 그대로이다. 내 주변의 일상은 변함이 없고, 위선과 교만으로 무장한 인간들은 내게 아무런 관심이 없을뿐더러 알려 하지도 않는다. 용솟음치는 분노를 억누를 수 없다. 그들 중 어느 하나라도 나를 앞지른다면 또다시 죽이고 싶도록 증오를 느낀다. 누구도 예외일 순 없다. 하지만 어차피 카타르시스는 없다. 엽기적인 욕구는 계속 나를 짖누를 것이며 나자신조차 통제할 수 없다. 이제 진짜 살인을 저지를 지 모른다. 욕망의 끝을 보기위해."
Ⅶ. 참고 도서
유시주, <거꾸로 읽는 그리스 로마 신화>, 푸른나무, 1996
Thedore Millon,
Theodore Millon, S. Everly, Jr George,
권석만 외, <자기애성 성격장애>, 학지사, 2000
아윈 사라손, 바바라 사라손 공저, <이상심리학>, 학지사, 2001사, 2001
추천자료
강박성 성격장애
정신건강론, 정신장애의 원인과 성격장애의 종류 증상 치료, 정신 치료의 정의와 목적
[최신A+우수자료]반사회적 성격장애[사이코 패스]의 개념 및 정의[반사회적인격장애의 원인 ...
[목회자][전문성][인격][소명][가정][영성][평신도 훈련][성격장애]목회자 전문성, 목회자 인...
[목회자][설교][교회][예배][목회자 개념][목회자 직무][목회자 설교][목회자 인간관계][목회...
[장애인복지시설]장애인복지시설의 종류, 장애인복지시설의 성격, 장애인복지시설의 원리, 장...
신경전달물질이 성격장애에 미치는 과정
히스트로닉 성격장애 유형
부적응적 인간과계와 성격장애에 대해 기술하시오
정신분열성 성격장애와 정신분열형 성격장애를 구분하는 주된 특징
정신건강 A+ 방어기제 억압억제 차이점 및 정신분열성과 정신분열형 성격장애 구분
★★평가우수자료★★[경계선 성격 장애의 치료] 경계선 사이에서의 끝없는 헤메임 - 경계선 성격...
[노년기 정신장애] 노년기의 심리적 부적응(노년기 불안장애, 정신분열증, 우울증, 성격장애,...
[노년기의 심리적 부적응] 노년기 정신건강 문제(불안장애, 우울증, 성격장애, 정신분열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