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다는 것에 반감을 표시 할 수 이다는 것이다.
네비게이션은 분병한 시각적 메시지를 제공해야 한다.
Joins의 네비게이션 자체는 전체적으로 텍스트를 기반으로 설계되어졌다. 그래서 그런지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부분이 거의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어떤 텍스트는 마우스가 올려졌을때 밑줄이 그어지면서 이것은 링크가 되어있다고 표시되고 그렇지 않으면 그냥 아무런 반응이 없게 된다. 또한 그림처럼 Joins 아이콘을 누르면 홈으로 페이지가 이동된다든지 시각적인 메시지를 제공하는 부분에서는 크게 문제 될 것이 없다고 본다.
그러나 꼭 먼가를 추가해 주고 싶다면 이런 이미지의 아이콘들에 마우스가 올려졌을때 이 아이콘이 무슨 기능을 하는지 정도의 안내 메시지를 제공해 주면 더욱더 편리한 <홈으로가기나 마우스 roll over> 사이트가 될 것 같다.
네비게이션은 명확한 레이블을 제공해야 한다.
Joins는 최대한 사용자를 편리하게 해주기위해 많은 부분 노력한 흔적이 보인다. 그러날 몇 군데 그런 노력이 약간의 흠으로 표시된 곳이 있다. 바로 아이콘을 사용하는데서 오는 것이다.
사용자가 자신이 원한 기사를 찾아 읽고 있다. 그런데 아래 그림과 같은 아이콘 4개가 나타난다. 그럼 사용자는 이 아이콘이 무슨 기능을 하는지 알고 싶어 한다. 그러나 이 아이콘이 무슨 기능을 하는 것인지 전혀 나타나 있지 않다는 것이다.
'+' 아이콘 같은 경우는 기사의 글자를 크게 키워주는 것이고, '-' 이 아이콘은 반대로 글자를 작게 표현해 주는 것이다. 또한 옆에 있는 두 아이콘은 한단으로 기사를 읽을 것이가 아님 두단으로 기사를 읽을 것인가를 사용자가 정하게 해 주는 아이콘이다.
<레이블이 없다. 무엇을 하는 아이콘들인가?>
그러나 이러한 아이콘의 어떠한 레이블로 명시되어 있지 않다. 그러면 사용자는 "어! 이게 머쥐?"라는 의구심이 들것이고 한번 정도는 눌러봐야 알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영영 모르고 넘어가거나 아니면 그냥 자신들이 생각하는 어떠한 기능을 하는 것이겠지 하고 생각할 것이다.
만약 후자처럼 어떠한 기능을 하는 것이겠지 하고 생각하고 아이콘을 클릭했을때 자신의 생각과 전혀 다른 기능을 제공해 준다면 사용자는 혼란에 빠질것이고 절망할 지도 모른다.
네비게이션은 사이트의 목적에 적합해야 한다.
사용자들이 Joins 웹 페이지를 들어오는 가장 큰 목적은 어떠한 기사를 검색하고 기사 내용을 보기 위함이다. 그러나 Joins의 경우 이러한 기능들은 모두 가지고 있다. 그러나 몇 군데 전혀 기사와 관련이 없는 메뉴들 혹은 광고들이 있다.
특히 인물정보(그림 참조)같은 경우 Joins 에서는 전국의 주요 인물들의 프로필 제공한다. 그러나 이것이 기사와 크게 관련이 있다라고는 볼 수없다. 인물 검색은 다른 여타의 사이트에서도 가능한 일이기 때문이다.
또한 쇼핑/세일, 자동차, 건강등의 메뉴들이 있다. 이는 사용자의 요구와는 약간 상반되는 메뉴들인 것 같다.
<사이트 목적과 연관이 있는가?>
이러한 것들은 여타 다른 웹 페이지를 검색해도 충분히 볼 수 있고, 사용할 수 있는 것들이다. 이런 메뉴들을 함께 사용하는 것은 사용자가 내가 지금 어느 사이트에 와 있는거지 라는 착각을 불러 일으킬 수 있는 요인이 된다.
네비게이션은 사용자들의 목적과 행동을 지원해야 한다.
Joins의 경우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기사가 있을 경우 이를 따로 저장 관리를 할 수 있게 돼있다. 이는 사용자가 차후에라도 그 기사를 다시 사용하게 될 경우 유용하게 사용 할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의 목적과 행동을 이해하고 사용자들이 원하는 것을 서비스함으로서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이요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네비게이션은 분병한 시각적 메시지를 제공해야 한다.
Joins의 네비게이션 자체는 전체적으로 텍스트를 기반으로 설계되어졌다. 그래서 그런지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부분이 거의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어떤 텍스트는 마우스가 올려졌을때 밑줄이 그어지면서 이것은 링크가 되어있다고 표시되고 그렇지 않으면 그냥 아무런 반응이 없게 된다. 또한 그림처럼 Joins 아이콘을 누르면 홈으로 페이지가 이동된다든지 시각적인 메시지를 제공하는 부분에서는 크게 문제 될 것이 없다고 본다.
그러나 꼭 먼가를 추가해 주고 싶다면 이런 이미지의 아이콘들에 마우스가 올려졌을때 이 아이콘이 무슨 기능을 하는지 정도의 안내 메시지를 제공해 주면 더욱더 편리한 <홈으로가기나 마우스 roll over> 사이트가 될 것 같다.
네비게이션은 명확한 레이블을 제공해야 한다.
Joins는 최대한 사용자를 편리하게 해주기위해 많은 부분 노력한 흔적이 보인다. 그러날 몇 군데 그런 노력이 약간의 흠으로 표시된 곳이 있다. 바로 아이콘을 사용하는데서 오는 것이다.
사용자가 자신이 원한 기사를 찾아 읽고 있다. 그런데 아래 그림과 같은 아이콘 4개가 나타난다. 그럼 사용자는 이 아이콘이 무슨 기능을 하는지 알고 싶어 한다. 그러나 이 아이콘이 무슨 기능을 하는 것인지 전혀 나타나 있지 않다는 것이다.
'+' 아이콘 같은 경우는 기사의 글자를 크게 키워주는 것이고, '-' 이 아이콘은 반대로 글자를 작게 표현해 주는 것이다. 또한 옆에 있는 두 아이콘은 한단으로 기사를 읽을 것이가 아님 두단으로 기사를 읽을 것인가를 사용자가 정하게 해 주는 아이콘이다.
<레이블이 없다. 무엇을 하는 아이콘들인가?>
그러나 이러한 아이콘의 어떠한 레이블로 명시되어 있지 않다. 그러면 사용자는 "어! 이게 머쥐?"라는 의구심이 들것이고 한번 정도는 눌러봐야 알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영영 모르고 넘어가거나 아니면 그냥 자신들이 생각하는 어떠한 기능을 하는 것이겠지 하고 생각할 것이다.
만약 후자처럼 어떠한 기능을 하는 것이겠지 하고 생각하고 아이콘을 클릭했을때 자신의 생각과 전혀 다른 기능을 제공해 준다면 사용자는 혼란에 빠질것이고 절망할 지도 모른다.
네비게이션은 사이트의 목적에 적합해야 한다.
사용자들이 Joins 웹 페이지를 들어오는 가장 큰 목적은 어떠한 기사를 검색하고 기사 내용을 보기 위함이다. 그러나 Joins의 경우 이러한 기능들은 모두 가지고 있다. 그러나 몇 군데 전혀 기사와 관련이 없는 메뉴들 혹은 광고들이 있다.
특히 인물정보(그림 참조)같은 경우 Joins 에서는 전국의 주요 인물들의 프로필 제공한다. 그러나 이것이 기사와 크게 관련이 있다라고는 볼 수없다. 인물 검색은 다른 여타의 사이트에서도 가능한 일이기 때문이다.
또한 쇼핑/세일, 자동차, 건강등의 메뉴들이 있다. 이는 사용자의 요구와는 약간 상반되는 메뉴들인 것 같다.
<사이트 목적과 연관이 있는가?>
이러한 것들은 여타 다른 웹 페이지를 검색해도 충분히 볼 수 있고, 사용할 수 있는 것들이다. 이런 메뉴들을 함께 사용하는 것은 사용자가 내가 지금 어느 사이트에 와 있는거지 라는 착각을 불러 일으킬 수 있는 요인이 된다.
네비게이션은 사용자들의 목적과 행동을 지원해야 한다.
Joins의 경우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기사가 있을 경우 이를 따로 저장 관리를 할 수 있게 돼있다. 이는 사용자가 차후에라도 그 기사를 다시 사용하게 될 경우 유용하게 사용 할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의 목적과 행동을 이해하고 사용자들이 원하는 것을 서비스함으로서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이요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옥션 사이트 분석
컴퓨터 사이트의 비교 분석
인터넷 사이트의 고객구축에 관한 조사와 분석-사례 중심으로
[e비즈니스]게임아이템거래사이트 ItemBey 분석
[인터넷검색엔진][정보검색][검색사이트]인터넷검색엔진 정의, 기능, 분류와 인터넷검색엔진 ...
G마켓 사이트 분석
e-MP(무역거래알선사이트)에서의 전자무역 정보서비스 활용수준의 만족도 및 성과분석
[MP3][MP3 압축방법][MP3 대표적인 사이트][MP3 시장전망][MP3문제 대책방안]MP3의 정의, MP3...
[P2P][P2P 의미][P2P 특성][P2P 등장원인][P2P 유료화][P2P 결제사이트][P2P 쟁점][P2P문제]P...
사이버공간 불건전정보 인터넷매매춘, 사이버공간 불건전정보 인터넷도박, 사이버공간 불건전...
SNS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역사 및 국내외SNS사이트 이용현황분석(페이스북,트위터,MSN)
[사회복지 프로그램평가]사회복지 프로그램평가의 개념, 사회복지 프로그램평가의 관련사이트...
SNS는 무엇인가,대표적인 SNS(싸이월드,트위터,페이스북),소셜미디어 사이트,싸이월드와 페이...
원격교육론)인터넷 교육 사이트 분석(1개 교육 사이트를 분석하고, 반드시 원격교육 사이트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