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설
Ⅱ. 팔레스타인 분쟁의 역사적 원인
1. 팔레스타인 분쟁의 역사적 배경
2. 팔레스타인 분쟁의 전개
1) 문제의 본질
2) 분쟁의 전개
(1)제1차 전쟁 (팔레스타인 전쟁)
(2) 2차 전쟁 (수에즈 전쟁)(3) 3차 전쟁 (6일 전쟁)
(4) 4차 전쟁(욤 키푸르 전쟁)
Ⅲ. 인티파다 (제1차 인티파다)
Ⅳ. 팔레스타인 자치 최종지위협상 결과
Ⅴ. 알-아크사 인티파다(제2차 인티파다)
Ⅵ. 이스라엘의 무력 강경대응
Ⅶ. 팔레스타인 분쟁을 둘러싼 난제들
Ⅷ. 글을 맺으며...
Ⅱ. 팔레스타인 분쟁의 역사적 원인
1. 팔레스타인 분쟁의 역사적 배경
2. 팔레스타인 분쟁의 전개
1) 문제의 본질
2) 분쟁의 전개
(1)제1차 전쟁 (팔레스타인 전쟁)
(2) 2차 전쟁 (수에즈 전쟁)(3) 3차 전쟁 (6일 전쟁)
(4) 4차 전쟁(욤 키푸르 전쟁)
Ⅲ. 인티파다 (제1차 인티파다)
Ⅳ. 팔레스타인 자치 최종지위협상 결과
Ⅴ. 알-아크사 인티파다(제2차 인티파다)
Ⅵ. 이스라엘의 무력 강경대응
Ⅶ. 팔레스타인 분쟁을 둘러싼 난제들
Ⅷ. 글을 맺으며...
본문내용
이다.
1948년 이스라엘의 독립과 함께 일어났던 1차 중동전쟁이 끝난 후 동예루살렘은 아랍 사람들이, 서
예루살렘은 이스라엘 사람들이 관할하는 구역이 되었다. 정치적으로 동예루살렘은 소위 요단강 서안
지역(West Bank)의 일부가 되었고 서예루살렘은 이스라엘 국토에 속하게 된 것이다. 이렇게 예루살
렘은 동서로 확연히 분할되고 서로 왕래조차 금지된 상태가 1967년까지 계속되었다.
동과 서로 구분된 예루살렘에는 제3의 구역이 되는 구 예루살렘이 있다. 구 예루살렘이야말로 예루
살렘 전체에서 그 핵심이 되는 부분이다. 구 예루살렘은 높이가 14m에 달하는 견고한 성벽으로 둘러
싸여 있어 고도(古都) 예루살렘의 풍모를 엿보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이 성벽은 3000년 역사를 간직하
고 있는 예루살렘으로서는 그리 오래된 것도 아니다. 지금으로부터 약 460년전이 되는 1540년 오스만
튀르크의 술레이만 황제 때 축성된 것으로 성의 총 길이는 4㎞ 정도 이다. 성벽으로 둘러싸인 구 예
루살렘의 면적은 1㎢밖에 되지 않아 오늘날 예루살렘 전체 면적의 1%도 채 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곳
이 바로 구약시대 다윗왕이 이스라엘 왕국의 수도로 정했던 역사적 예루살렘으로 그 후 파란만장한
역사가 펼쳐졌던 역사의 무대이다. 지금은 이스라엘 총리가 된 샤론의 방문으로 세계의 이목이 집중
되었던 성전산도 구 예루살렘에 위치하고 있다. 그런데 구 예루살렘은 지리적으로 동 예루살렘에 속
해 있어 오늘날 정치적으로 민감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예루살렘의 지리적 배경을 염두에 두고 왜 예루살렘이 오늘날 중동문제 태풍의 핵이 되는지
를 살펴보면1948년 이스라엘이 독립하고 1차 중동전쟁이 끝난 후 이스라엘은 예루살렘을 수도로 정했
다. 그러나 당시 예루살렘은 동과 서로 분리되어 있어 이스라엘의 주권은 서예루살렘 지역에 제한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이스라엘의 염원은 동서 예루살렘을 통합하는 것이었다.
1967년 6일전쟁(3차 중동전쟁)이 발발했을 때 이스라엘측의 제일 목표는 동예루살렘을 차지하는 것
이었다. 6일전쟁은 이스라엘의 완승으로 끝났고 이스라엘측은 즉시 동예루살렘을 이스라엘 국토에
합병한다고 선언했다. 그리고 이를 기정사실화하기 위해서 동예루살 렘에 길로, 라못과 같은 대규모
단위의 유대인 정착촌을 건설하고 이스라엘 사람들을 동예루살렘에 들어가 살게 했다.
6일전쟁에서 이스라엘이 군사적으로 점령한 지역은 계속해서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간 갈등의 요인
이 되었고 결국 1980년 유엔 총회는 이스라엘에 6일전쟁에서 점령한 지역으로부터 모두 철수하라고
결의했다. 이 유엔결의에 따르면 이스라엘은 동예루살렘을 포기 하고 그곳으로부터 철수해야 했다. 이
스라엘은 강력하게 반발했고 이스라엘 의회는 즉 각 동서 예루살렘을 합한 전체가 이스라엘의 수도라
고 선포했다. 이러한 이스라엘측의 입장은 지금도 변함없이 고수 되고 있다. 한편 팔레스타인인들의
꿈은 그들의 독립국가를 수립하는 것이요 나아가 앞으로 수립될 팔레스타인 독립국가의 수도는 동예
루살렘이라고 확정 해놓고 있다. 이러한 팔레스타인의 입장도 확고부동하다. 예루살렘 문제가 이스라
엘과 팔레스타인 사이의 화합과 평화공존에 있어서 가장 큰 걸림돌이 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Ⅷ. 글을 맺으며...
오늘날 중동 영토 분쟁의 불씨가 되는 시나이 반도. 지중해쪽의 가자, 요르단과의 경계인 요단 강 서안. 시리아의 베카 계곡이나 골란 고원을 이스라엘이 점령했다. 유엔안전보장이사회는 이스라엘의 점령지 즉각 철수를 위한 결의안을 채택했으나, 그 결의안은 30여년이 지난 오늘날까지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거의 지켜지지 않고 있다.
최근들어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과 아리엘 샤론 이스라엘 총리, 마흐무드 압바스 팔레스타 인 자치정부 총리는 2003년 6월 4일 오후 요르단의 홍해 휴양지 아카바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중동 평화 로드맵을 본격 논의했다. 부시 대통령은 이라크 전쟁 승리의 여세를 몰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 인 양측에 폭력 종식과 테러 차단을 주문하고 2005년까지 요르단강 서안과 가자지구에 팔레스타인 국가를 수립하도록 한 평화안의 순조로운 실행을 촉구했다. 또한 부시 대통령은 3일 이집트의 샤름 알 셰이크에서 이집트, 사우디 아라비아, 요르단, 바레인 정상들과 회담하고 '테러와 폭력 반대', '테러 단체 자금 지원 중단', '로드맵 지지'를 끌어냈다. 하지만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자치정부가 중동평화 로드맵에 합의한 지 이틀 만인 2003년 6월 6일 팔레스타인 무장 조직인 하마스가 마흐무드 압바스 팔레스타인 총리와 벌여온 대이스라엘 테러 중지 협상을 중단한다고 하였다.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의 관계는 양국의 공동 현안인 수자원 문제와 동예루살렘에 대한 근본적인 합의가 없이는 양측 중 어느 일방도 수긍할 수 없으며 전쟁과 테러, 그리고 억압의 과정은 계속 반복될 것이다. 정치와 종교, 그리고 인종 문제가 얽혀있는 이 지역의 문제는 하나의 과제로 남아 있으며, 이 과정이 계속되는 한 평화라는 단어는 그 속에서 고통받는 사람들에게 멀고 먼 일일 것이다.
참고문헌
이종택. 2000. 미국의 아랍-이스라엘 분쟁에 대한 정책, 한국중동학회논총, 21(1)호,
1-24.
장경룡. 2000. 최근 이스라엘/PLO분쟁의 장기갈등이론적 분석, 한국국제정치학회
2000년도 연례학술회의 논문집, 1-27.
정상률. 2000. 팔레스타인 지역의 갈등사, 갈등구조 및 평화적 공존방안, 한국중동학회
논총, 21(1)호, 103-132.
최창모. 1994. 이스라엘사, 대한교과서.
손주영. 김상태. 1999. 중동의 새로운 이해, 오름사 258-289
최진영. 1999. 중동의 팔레스타인 민족분쟁, 중동연구, 제18-2권
인 터 넷 자 료
건국대학교 희브리학과 중동평화 연구모임
최영철.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간의 평화과정
최영철.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분쟁
최영철. 오슬로 평화협정의 집행 경과와 그 전망 2001.5. 19 한국중동학회 춘계 학술대회 발표논문
최영철. 이-팔 평화과정과 예루살렘 문제 (2001.10.27.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 번역본)
1948년 이스라엘의 독립과 함께 일어났던 1차 중동전쟁이 끝난 후 동예루살렘은 아랍 사람들이, 서
예루살렘은 이스라엘 사람들이 관할하는 구역이 되었다. 정치적으로 동예루살렘은 소위 요단강 서안
지역(West Bank)의 일부가 되었고 서예루살렘은 이스라엘 국토에 속하게 된 것이다. 이렇게 예루살
렘은 동서로 확연히 분할되고 서로 왕래조차 금지된 상태가 1967년까지 계속되었다.
동과 서로 구분된 예루살렘에는 제3의 구역이 되는 구 예루살렘이 있다. 구 예루살렘이야말로 예루
살렘 전체에서 그 핵심이 되는 부분이다. 구 예루살렘은 높이가 14m에 달하는 견고한 성벽으로 둘러
싸여 있어 고도(古都) 예루살렘의 풍모를 엿보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이 성벽은 3000년 역사를 간직하
고 있는 예루살렘으로서는 그리 오래된 것도 아니다. 지금으로부터 약 460년전이 되는 1540년 오스만
튀르크의 술레이만 황제 때 축성된 것으로 성의 총 길이는 4㎞ 정도 이다. 성벽으로 둘러싸인 구 예
루살렘의 면적은 1㎢밖에 되지 않아 오늘날 예루살렘 전체 면적의 1%도 채 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곳
이 바로 구약시대 다윗왕이 이스라엘 왕국의 수도로 정했던 역사적 예루살렘으로 그 후 파란만장한
역사가 펼쳐졌던 역사의 무대이다. 지금은 이스라엘 총리가 된 샤론의 방문으로 세계의 이목이 집중
되었던 성전산도 구 예루살렘에 위치하고 있다. 그런데 구 예루살렘은 지리적으로 동 예루살렘에 속
해 있어 오늘날 정치적으로 민감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예루살렘의 지리적 배경을 염두에 두고 왜 예루살렘이 오늘날 중동문제 태풍의 핵이 되는지
를 살펴보면1948년 이스라엘이 독립하고 1차 중동전쟁이 끝난 후 이스라엘은 예루살렘을 수도로 정했
다. 그러나 당시 예루살렘은 동과 서로 분리되어 있어 이스라엘의 주권은 서예루살렘 지역에 제한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이스라엘의 염원은 동서 예루살렘을 통합하는 것이었다.
1967년 6일전쟁(3차 중동전쟁)이 발발했을 때 이스라엘측의 제일 목표는 동예루살렘을 차지하는 것
이었다. 6일전쟁은 이스라엘의 완승으로 끝났고 이스라엘측은 즉시 동예루살렘을 이스라엘 국토에
합병한다고 선언했다. 그리고 이를 기정사실화하기 위해서 동예루살 렘에 길로, 라못과 같은 대규모
단위의 유대인 정착촌을 건설하고 이스라엘 사람들을 동예루살렘에 들어가 살게 했다.
6일전쟁에서 이스라엘이 군사적으로 점령한 지역은 계속해서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간 갈등의 요인
이 되었고 결국 1980년 유엔 총회는 이스라엘에 6일전쟁에서 점령한 지역으로부터 모두 철수하라고
결의했다. 이 유엔결의에 따르면 이스라엘은 동예루살렘을 포기 하고 그곳으로부터 철수해야 했다. 이
스라엘은 강력하게 반발했고 이스라엘 의회는 즉 각 동서 예루살렘을 합한 전체가 이스라엘의 수도라
고 선포했다. 이러한 이스라엘측의 입장은 지금도 변함없이 고수 되고 있다. 한편 팔레스타인인들의
꿈은 그들의 독립국가를 수립하는 것이요 나아가 앞으로 수립될 팔레스타인 독립국가의 수도는 동예
루살렘이라고 확정 해놓고 있다. 이러한 팔레스타인의 입장도 확고부동하다. 예루살렘 문제가 이스라
엘과 팔레스타인 사이의 화합과 평화공존에 있어서 가장 큰 걸림돌이 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Ⅷ. 글을 맺으며...
오늘날 중동 영토 분쟁의 불씨가 되는 시나이 반도. 지중해쪽의 가자, 요르단과의 경계인 요단 강 서안. 시리아의 베카 계곡이나 골란 고원을 이스라엘이 점령했다. 유엔안전보장이사회는 이스라엘의 점령지 즉각 철수를 위한 결의안을 채택했으나, 그 결의안은 30여년이 지난 오늘날까지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거의 지켜지지 않고 있다.
최근들어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과 아리엘 샤론 이스라엘 총리, 마흐무드 압바스 팔레스타 인 자치정부 총리는 2003년 6월 4일 오후 요르단의 홍해 휴양지 아카바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중동 평화 로드맵을 본격 논의했다. 부시 대통령은 이라크 전쟁 승리의 여세를 몰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 인 양측에 폭력 종식과 테러 차단을 주문하고 2005년까지 요르단강 서안과 가자지구에 팔레스타인 국가를 수립하도록 한 평화안의 순조로운 실행을 촉구했다. 또한 부시 대통령은 3일 이집트의 샤름 알 셰이크에서 이집트, 사우디 아라비아, 요르단, 바레인 정상들과 회담하고 '테러와 폭력 반대', '테러 단체 자금 지원 중단', '로드맵 지지'를 끌어냈다. 하지만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자치정부가 중동평화 로드맵에 합의한 지 이틀 만인 2003년 6월 6일 팔레스타인 무장 조직인 하마스가 마흐무드 압바스 팔레스타인 총리와 벌여온 대이스라엘 테러 중지 협상을 중단한다고 하였다.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의 관계는 양국의 공동 현안인 수자원 문제와 동예루살렘에 대한 근본적인 합의가 없이는 양측 중 어느 일방도 수긍할 수 없으며 전쟁과 테러, 그리고 억압의 과정은 계속 반복될 것이다. 정치와 종교, 그리고 인종 문제가 얽혀있는 이 지역의 문제는 하나의 과제로 남아 있으며, 이 과정이 계속되는 한 평화라는 단어는 그 속에서 고통받는 사람들에게 멀고 먼 일일 것이다.
참고문헌
이종택. 2000. 미국의 아랍-이스라엘 분쟁에 대한 정책, 한국중동학회논총, 21(1)호,
1-24.
장경룡. 2000. 최근 이스라엘/PLO분쟁의 장기갈등이론적 분석, 한국국제정치학회
2000년도 연례학술회의 논문집, 1-27.
정상률. 2000. 팔레스타인 지역의 갈등사, 갈등구조 및 평화적 공존방안, 한국중동학회
논총, 21(1)호, 103-132.
최창모. 1994. 이스라엘사, 대한교과서.
손주영. 김상태. 1999. 중동의 새로운 이해, 오름사 258-289
최진영. 1999. 중동의 팔레스타인 민족분쟁, 중동연구, 제18-2권
인 터 넷 자 료
건국대학교 희브리학과 중동평화 연구모임
최영철.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간의 평화과정
최영철.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분쟁
최영철. 오슬로 평화협정의 집행 경과와 그 전망 2001.5. 19 한국중동학회 춘계 학술대회 발표논문
최영철. 이-팔 평화과정과 예루살렘 문제 (2001.10.27.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 번역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