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계 질병이 있는 아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간호과정

2. mental retardation 정신지체

3. Down syndrome 다운 증후군

4. cerebral palsy 뇌성마비

5. hydrocephalus 뇌수종

7. seizure disorder 간질

본문내용

안 의식이 있느냐 아니면 의식이 혼미해지느냐에 따라 나눌 수 있다.
- 단순 부분 발작(simple partial seizures): 경련하는 동안 의식이 있으면서 얼굴 표정의 위축이나 손을 끄덕인다든지 하는 경련
- 복잡 부분 발작(complex partial seizures): 경련하는 동안 의식이 혼탁한 상태로 고개가 돌아간다든지 하는 경련
- 2차성 전범화 발작(partial seizures evolving to secondarily generalized seizures):
경련의 처음은 부분발작으로 시작하였으나 점차 진행하여 전신발작의 모양으로 바뀌는 경련
② 전신 발작(generalized seizures): 비정상적으로 방출되는 전기 에너지가 뇌의 한 부분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고 뇌전반에 걸쳐 한꺼번에 발생되어 경련의 증상을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경련하는 모양이나 뇌파의 소견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여러 가지 형으로 나눈다.
- 결신 발작(absence seizures): 잠깐 동안 의식이 소실되는 경련으로 멍하게 눈을 뜨고 있거나 눈을 깜박이며 소발작이라고도 한다. 하루에 10번 이상 일어날 수 있으며 10-30초 동안 지속된다.
- 근간대성 발작(myoclonic seizures): 사지 몸통이 깜짝놀란 듯 끔쩍되는 모양을 보이는 경련
- 강직, 간대, 강직-간대 발작(tonic, clonic, tonic-clonic seizures): 정신을 잃은 상태에서 전신이 굳어지거나 사지가 힘이 들어갔다가 풀렸다가 하는 모양이 반복되며 대발작이 라고도 한다.
- 탈력, 부동, 무동 발작(atonic seizures): 갑자기 전신의 힘이 빠지면서 쓰러지거나 고개 를 떨어뜨리고 소운동발작이라고도 한다. 호흡곤란 없으며 몇 초간 지속된다.
3. 원인: 감염, 뇌손상, 산염기 불균형, 알러지, 저혈당
4. 진단: EEG
5. 치료: 항경련제
6. 간호과정
사정: Seizure의 과거력, 최근의 에피소드, 전조증상(이상한 느낌, 의식 손실), seizure 후 행동, 항경련제 사용(부작용, 효과)
목표1: 아동은 적절한 호흡기능을 유지하고 seizure동안 손상을 예방한다.
수행1
① 낮은 장소에 앉히거나 눕힌다.
② 기도유지
③ 산소공급과 가능하다면 suction
④ 입안으로 아무것도 넣지 않는다.
⑤ 억제하지 않고 하도록 둔다.
⑥ 위험한 물건 치운다. 침대의 side rail에 pad를 댄다.
⑦ 꽉 끼는 옷은 느슨하게 한다.
⑧ 조심스럽게 간질 상태를 관찰한다.
⑨ 항경련제 처방
목표2: 아동과 가족은 seizure와 관련된 장기간의 문제에 대처하는 법을 배운다.
수행2
① 적절한 수면과 영양섭취, 운동을 격려한다.
② seizure, 약물에 대한 설명
③ 항경련제를 갑자기 끊으면 안된다는 것을 설명한다.
④ 두려움, 불안, 걱정에 대해 이야기하도록 격려한다.
⑤ seizure을 유발시키는 것(술, 생리, 스트레스 등)을 피한다.
⑥ Medic Alert bracelet
⑦ 지역사회 지지 그룹에 대한 정보를 제공
  • 가격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01.03
  • 저작시기200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14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