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Ⅱ. 가족의 의미
1. 가족의 개념 정의
2. 형태적 측면에서의 의미
3. 기능적 측면에서의 의미
4. 각 이론적 관점에서의 의미
Ⅲ. 한국가족의 성격
1. 전통적 가족 가치관
2. 가족주의와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
3. 현대 한국의 가족
Ⅳ. 마르셀의 가족과 우리 가족
1. 서랍 속에서 우연히 찾은 유년기의 자화상
2. 마르셀과 우리가족의 세계관
Ⅴ. 나오며
Ⅱ. 가족의 의미
1. 가족의 개념 정의
2. 형태적 측면에서의 의미
3. 기능적 측면에서의 의미
4. 각 이론적 관점에서의 의미
Ⅲ. 한국가족의 성격
1. 전통적 가족 가치관
2. 가족주의와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
3. 현대 한국의 가족
Ⅳ. 마르셀의 가족과 우리 가족
1. 서랍 속에서 우연히 찾은 유년기의 자화상
2. 마르셀과 우리가족의 세계관
Ⅴ. 나오며
본문내용
살아오신 나의 어머니, 아버지께 '어머니, 아버지의 영광'을 소리높이 외치고 싶어진다.
이 영화를 보면서 생각해보건대 일과 놀이는 삶의 두 기둥이 아닐까? 인간이 생존을 위해 일해야 한다면 일할 수 있는 힘을 만들어 주는 것이 바로 놀이이다. 놀이는 '일상적인 인간의 행동이나 일에 해당되는 활동을 제외한 모든 활동'이다. 놀이는 무엇인가를 꼭 이뤄야 한다는 목적이나 그 활동을 통해 무엇인가를 획득해야 한다는 이해관계를 떠나 즐거움과 흥겨움을 주는 활동이다. 낮이 없다면 밤이라는 개념도 생겨나지 않았을 것이다. 낮의 노동이 없다면 밤의 휴식도 무의미할 것이다. 일하지 않은 사람에게 휴식이 달콤할 리 없다. 놀이와 일이 조화를 이룰 때 인간은 삶의 보람을 느끼며 놀이의 기능이 제대로 발휘된다. 우리는 '마르셀의 여름과 추억'에서 참된 의미의 놀이를 발견한다. 우리 삶의 한 축인 놀이의 바른 기능이 무엇인지를 깨닫는다. 놀이는 일을 완성한 사람, 고된 노동을 마친 사람에게 주어지는 것이다.
"일하라 땀 흘리라 대지가 너희를 기다린다."
영화 첫 부분, 교실에서 선생님과 아이들은 이와 같은 글을 낭독한다. 참된 놀이의 의미를 가능할 수 있게 하는 말이다. 놀이란 일을 전제로 했을 때 그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잘 아는 개미와 배짱이의 우화는 일하는 사람만이 진정한 휴식을 누릴 수 있다는 교훈을 전해 준다. 놀이는 또한 삶의 피로를 풀어주고 새로운 기운을 주며, 성숙한 삶을 가능 하게 한다. 공부에서 벗어나 마음껏 뛰놀던 소년 마르셀은 놀이 속에서 그저 재미만 느낀 것이 아니었다. 자연 속에서 자유로움 속에서 학교공부에서 배울 수 없는 삶의 지혜를 배웠고, 가족에 대한 사랑을 새삼 확인할 수 있었고, 다시 자신의 일에 뛰어들 수 있는 힘을 얻은 것이다. 휴가가 끝날 무렵 떠나기 싫어하는 마르셀에게 아버지는 "재미가 인생의 전부는 아니다."고 말한다. 새로운 학기가 기다리고 있노라고. 이처럼 놀이는 재충전이며 새로운 도약의 발판이 된다.
Ⅴ. 나 오 며
젊은 날 우리에게 아버지는 무엇이었을까 .
"우리 아빠는 키가 크다. 아빠에게 할 이야기가 있으면 꼭대기까지 올라가야 한다. 꼭대기까지의 길은 정말 멀다. 특히 허리띠부터 턱까지는 보통 힘든 길이 아니다. 아빠의 귀 언저리에 다다를 때쯤엔 완전히 녹초가 되어 버린다." "도둑을 한 손으로 때려잡을 수 있고 모르는 것도 없다." "아빠가 내뿜는 담배 연기는 성을 닮았다." 네덜란드 어린이 문학상 수상자가 톤 텔러헨의 '우리 아빠'에나오는 구절이다. 어린 아들에게 아빠는 그야말로 영웅이 되는 것이다. 요즘은 심심찮게 "누구 아들이 부모를 상습폭행 했다", "누가 부모를 죽이는 패륜을 저질렀다. 는 등의 보도를 신문지상을 통해 흔히 접할 수 있다. 예전 같으면 사회적으로 큰 논란이 되었을 텐데, 사람들은 크게 관심을 두지 않는 듯싶다.
왜 그럴까? 너무 자주 일어나는 일이어서 일까? 아님 소수의 특유한 일이라고 치부하고 마는 개인주의적 무관심의 발로 때문일까? 생각해 보건데, 이는 환경오염이나 핵 위협보다도 더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한 개인의 성장과 인격형성의 근간이 되는 가족! 우린 그 안에서 누구보다도 충분하게 사랑받고 또 남을 사랑하는 법을 배워야 하며 더 나아가 그 사랑을 사회 속에서 실천해 나가야 하기 때문이다. 해서 가족이 무너진다는 것은 크게 나아가 사회가 무너지는 것이며, 궁극적으로 사랑이 존립할 수 있는 기반이 없어지는 것이다. 해서 우린 가족의 사랑을 되새겨 볼 필요가 있다.
참고 문헌
1. 여성한국사회연구회 편저, 『가족과 한국사회』, 서울: 경문사, 1995.
2. 가족·환경연구회, 『가족과 환경』, 서울: 교문사, 1990.
3. 민경배, 『신세대를 위한 사회학 나들이』, 서울: 퇴설당, 1994.
4. 한국가족관계학회 편저, 『한국 가족의 현재와 미래』, 서울: 도서출판 하우, 1996.
5. 톤 텔러헨,『우리 아빠』, 비룡소, 2000.
목 차
Ⅰ. 들어가며 2
Ⅱ. 가족의 의미 2
1. 가족의 개념 정의 2
2. 형태적 측면에서의 의미 2
3. 기능적 측면에서의 의미 3
4. 각 이론적 관점에서의 의미 4
Ⅲ. 한국가족의 성격 5
1. 전통적 가족 가치관 5
2. 가족주의와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 5
3. 현대 한국의 가족 6
Ⅳ. 마르셀의 가족과 우리 가족 7
1. 서랍 속에서 우연히 찾은 유년기의 자화상 7
2. 마르셀과 우리가족의 세계관 8
Ⅴ. 나오며 9
참고 문헌
이 영화를 보면서 생각해보건대 일과 놀이는 삶의 두 기둥이 아닐까? 인간이 생존을 위해 일해야 한다면 일할 수 있는 힘을 만들어 주는 것이 바로 놀이이다. 놀이는 '일상적인 인간의 행동이나 일에 해당되는 활동을 제외한 모든 활동'이다. 놀이는 무엇인가를 꼭 이뤄야 한다는 목적이나 그 활동을 통해 무엇인가를 획득해야 한다는 이해관계를 떠나 즐거움과 흥겨움을 주는 활동이다. 낮이 없다면 밤이라는 개념도 생겨나지 않았을 것이다. 낮의 노동이 없다면 밤의 휴식도 무의미할 것이다. 일하지 않은 사람에게 휴식이 달콤할 리 없다. 놀이와 일이 조화를 이룰 때 인간은 삶의 보람을 느끼며 놀이의 기능이 제대로 발휘된다. 우리는 '마르셀의 여름과 추억'에서 참된 의미의 놀이를 발견한다. 우리 삶의 한 축인 놀이의 바른 기능이 무엇인지를 깨닫는다. 놀이는 일을 완성한 사람, 고된 노동을 마친 사람에게 주어지는 것이다.
"일하라 땀 흘리라 대지가 너희를 기다린다."
영화 첫 부분, 교실에서 선생님과 아이들은 이와 같은 글을 낭독한다. 참된 놀이의 의미를 가능할 수 있게 하는 말이다. 놀이란 일을 전제로 했을 때 그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잘 아는 개미와 배짱이의 우화는 일하는 사람만이 진정한 휴식을 누릴 수 있다는 교훈을 전해 준다. 놀이는 또한 삶의 피로를 풀어주고 새로운 기운을 주며, 성숙한 삶을 가능 하게 한다. 공부에서 벗어나 마음껏 뛰놀던 소년 마르셀은 놀이 속에서 그저 재미만 느낀 것이 아니었다. 자연 속에서 자유로움 속에서 학교공부에서 배울 수 없는 삶의 지혜를 배웠고, 가족에 대한 사랑을 새삼 확인할 수 있었고, 다시 자신의 일에 뛰어들 수 있는 힘을 얻은 것이다. 휴가가 끝날 무렵 떠나기 싫어하는 마르셀에게 아버지는 "재미가 인생의 전부는 아니다."고 말한다. 새로운 학기가 기다리고 있노라고. 이처럼 놀이는 재충전이며 새로운 도약의 발판이 된다.
Ⅴ. 나 오 며
젊은 날 우리에게 아버지는 무엇이었을까 .
"우리 아빠는 키가 크다. 아빠에게 할 이야기가 있으면 꼭대기까지 올라가야 한다. 꼭대기까지의 길은 정말 멀다. 특히 허리띠부터 턱까지는 보통 힘든 길이 아니다. 아빠의 귀 언저리에 다다를 때쯤엔 완전히 녹초가 되어 버린다." "도둑을 한 손으로 때려잡을 수 있고 모르는 것도 없다." "아빠가 내뿜는 담배 연기는 성을 닮았다." 네덜란드 어린이 문학상 수상자가 톤 텔러헨의 '우리 아빠'에나오는 구절이다. 어린 아들에게 아빠는 그야말로 영웅이 되는 것이다. 요즘은 심심찮게 "누구 아들이 부모를 상습폭행 했다", "누가 부모를 죽이는 패륜을 저질렀다. 는 등의 보도를 신문지상을 통해 흔히 접할 수 있다. 예전 같으면 사회적으로 큰 논란이 되었을 텐데, 사람들은 크게 관심을 두지 않는 듯싶다.
왜 그럴까? 너무 자주 일어나는 일이어서 일까? 아님 소수의 특유한 일이라고 치부하고 마는 개인주의적 무관심의 발로 때문일까? 생각해 보건데, 이는 환경오염이나 핵 위협보다도 더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한 개인의 성장과 인격형성의 근간이 되는 가족! 우린 그 안에서 누구보다도 충분하게 사랑받고 또 남을 사랑하는 법을 배워야 하며 더 나아가 그 사랑을 사회 속에서 실천해 나가야 하기 때문이다. 해서 가족이 무너진다는 것은 크게 나아가 사회가 무너지는 것이며, 궁극적으로 사랑이 존립할 수 있는 기반이 없어지는 것이다. 해서 우린 가족의 사랑을 되새겨 볼 필요가 있다.
참고 문헌
1. 여성한국사회연구회 편저, 『가족과 한국사회』, 서울: 경문사, 1995.
2. 가족·환경연구회, 『가족과 환경』, 서울: 교문사, 1990.
3. 민경배, 『신세대를 위한 사회학 나들이』, 서울: 퇴설당, 1994.
4. 한국가족관계학회 편저, 『한국 가족의 현재와 미래』, 서울: 도서출판 하우, 1996.
5. 톤 텔러헨,『우리 아빠』, 비룡소, 2000.
목 차
Ⅰ. 들어가며 2
Ⅱ. 가족의 의미 2
1. 가족의 개념 정의 2
2. 형태적 측면에서의 의미 2
3. 기능적 측면에서의 의미 3
4. 각 이론적 관점에서의 의미 4
Ⅲ. 한국가족의 성격 5
1. 전통적 가족 가치관 5
2. 가족주의와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 5
3. 현대 한국의 가족 6
Ⅳ. 마르셀의 가족과 우리 가족 7
1. 서랍 속에서 우연히 찾은 유년기의 자화상 7
2. 마르셀과 우리가족의 세계관 8
Ⅴ. 나오며 9
참고 문헌
추천자료
보건교육A형-아동/지역노인의 가정 내 안전사고예방교육, 선택대상에 대한 인구사회적특성 기...
영어권국가의이해A형 (방송통신대 2018) Brexit와 스코틀랜드 민족주의(the Scottish Nationa...
보건교육A형 (방송통신대 2018) 아동지역노인의 가정 내 안전사고예방교육 선택대상의 인구사...
보건교육C형 (방송통신대 2018) 직장남성여성의 직무스트레스예방교육 선택대상의 인구사회적...
영어권국가의이해D형 - Margaret Thatcher와 영국의 노동 개혁 (방송통신대 2018학년도) 영어...
보건교육B형 (방송통신대 2018) 중년 여성남성의 운동증진교육 선택대상의 인구사회적특성 그...
보건교육A형-아동지역노인의 가정 내 안전사고예방교육선택대상에 대한 인구사회적 특성그린...
보건교육B형 - 중년 여성남성의 운동증진교육 선택대상에 대한 인구사회적 특성 그린의 PRECE...
보건교육A형-아동지역노인의 가정 내 안전사고예방교육 선택대상 인구사회적 특성 기술 그린...
보건교육C형- 직장남성여성의 직무스트레스예방교육 선택대상 인구사회적 특성 기술 그린의 P...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