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에서 노동으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복지에서 노동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복지에서 노동으로

Ⅲ. 노동-복지에 대한 주요 이론적 관점
1. 신자유주의
2. 사민주의
3. 제3의 길

Ⅳ. 노동중심적 복지정책의 유형

Ⅴ. 노동중심적 복지국가의 가능성과 한계

Ⅵ. 결론 - 남한 사회에 대한 고찰과 노동중심적 복지국가의 전망에 관한 단상

본문내용

를 근본적으로 인정하고 있기 때문에 항상 딜레마에 빠질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저자가 제시하고 있는 제3체계라는 것도 다소 불분명한 대안이라고 보인다. 시민사회의 자율성을 통한 새로운 고용창출 시스템을 제시하고 있지만 시민사회의 담론 형성이 신자유주의라는 강력한 지배 이데올로기로 인해 제대로 기능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우리 주변을 보더라도 모든 것이 '경제(자본)' 논리로 환원된다. 도덕성, 연대성과 같은 개념들은 현실을 모르는 이상주의자들의 꿈 같은 이야기로 치부되어 버리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자유주의가 득세하는 이 돈 세상을 뒤엎을 수 있는 가능성을 광화문 촛불시위와 미국의 명분없는 이라크 전쟁을 반대하기 위해 거리로 뛰어나온 수천만명의 사람들로부터 찾을 수 있다. 현실사회주의의 붕괴를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의 대결에서 자본주의가 승리했다고 단언하는 후쿠야마와 같은 학자의 견해에 동의할 수 없다. 공부가 부족해서 자신 있게 말할 수 없지만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노동으로부터 소외되지 않고 행복하게 살 수 있는 세상' 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 희미하지만 놓칠 수 없는 희망을 되새기며 '복지에서 노동으로' 리포트를 마무리하고자 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4.01.09
  • 저작시기200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17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