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회복지협의회의 기능
(1) 지역복지 추진의 중심조직으로서 사회복지협의회의 일반
적 기능
(2) 시,군,구 사회복지협의회의 기능
2. 사회복지협의회의 사업
(1) 시,군,구 사회복지협의회의 사업
(2) 시,군,구 사협의 중점사업
(3) 특히 지역의 공동체를 위해 조직화하기 위한 중점사업
(4) 더욱이 지역 주민들이 지역문제에 인식을 하며 복지의식
을 가지게하는 다음 단계의 복지조직화에 관한 중점사업
(5) 시,군,구 사협에 있어 중점사업
(6) 한국사회복지협의회의 조직
(7) 일반적 기능에 근거한 사업의 문제점
3. 한국사회복지협의회의 발전전략 및 과제
(1) 전문사업 개발
(2) 예산소스(source)의 다양화
(3) 관계, 역할정립
(1) 지역복지 추진의 중심조직으로서 사회복지협의회의 일반
적 기능
(2) 시,군,구 사회복지협의회의 기능
2. 사회복지협의회의 사업
(1) 시,군,구 사회복지협의회의 사업
(2) 시,군,구 사협의 중점사업
(3) 특히 지역의 공동체를 위해 조직화하기 위한 중점사업
(4) 더욱이 지역 주민들이 지역문제에 인식을 하며 복지의식
을 가지게하는 다음 단계의 복지조직화에 관한 중점사업
(5) 시,군,구 사협에 있어 중점사업
(6) 한국사회복지협의회의 조직
(7) 일반적 기능에 근거한 사업의 문제점
3. 한국사회복지협의회의 발전전략 및 과제
(1) 전문사업 개발
(2) 예산소스(source)의 다양화
(3) 관계, 역할정립
본문내용
과제
이창호는 [한국사회복지협의회 장기발전 계획(안)]에서 한국사회복지협의회의 현황과 문제점을 (1) 예산의 지나친 정부의존성. (2) 시설장 중심의 폐쇄성, (3) 지역자원 유치의 답보, (4) 전문 성 부족, (5) 자원봉사 사업의 미진, (6) 직능단체들과의 업무마찰, (7) 對국민 프로그램의 부재, (8) 중앙과 지방간의 연계부족, (9) 정부 종속적 위치로 보고 있다.
장 단기계획으로 (1) 전문 프로그램(사업)의 개발 (2) 예산소스의 다양화 (3) 직능단체와의 관계 및 역할정립을 들고 있다.
(1) 전문사업 개발
1) 전문적 기술로 국민과의 직접 연결시키는 사업과 프로그램이 좋다. 즉 정보제공 및 자원봉사 는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현행 [자원봉사정보안재센터]를 확충하는 것으로 국민들이 손쉽 게 전화만 걸면 필요한 모든 사회복지서비스의 정보를 제공해주는 전산망 체제를 구축하는 일이다. 또한 사회복지복지신문 발간, 계간 사회복지 발간, 출판업무와 홍보사업을 더욱 확 충하는 일이다.
2) 자원봉사사업
협의회가 직접 국민에게 직접사업을 할 수 있는 부문이 자원봉사사업이다. 즉 자원봉사자 모집, 배치, 교육과 같은 중간집단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3) 연구사업
협의회 내 [사회복지연구소]를 설치하여 사회복지실태조사, 정책건의, 자료발간을 담당한다. 한편 기획실 보강사업이다. 협의회 장단기 발전기획만을 전담하는 사업이 필요하다.
4) 재교육사업
민간 사회복지사들의 재교육 및 자원봉사자교육을 전담한다.
(2) 예산소스(source)의 다양화
협의회의 예산소스는 자체수입, 정부지원, 외부 민간자금이다. 될 수 있으면 정부지원 보다는 자체수입과 민간자금의 유치가 바람직하다.
1) 회관 건축
건물 임대료 수입으로 협의회의 경제적 자립을 기대할 수 있다.
2) 민간자원 유치
지역유지들을 협의회 이사, 대의원으로 영입하는 일이다. 지방협의회를 독립법인화하여 지방 의 재력가 등 유력인사 영입이다. 지역공동모금에서의 배분이다.
(3) 관계, 역할정립
1) 독립법인인 지방협의회와 시군구 협의회와의 관계정립이다. 즉 중앙협의회는 장차 연맹, 연 방제(federation)의 모습일 것이다. 중앙과 지방은 상호 협력관계로 맺어져야 한다.
2) 정부와의 관계정립에서는 정부의 지원과 감독은 받되 종속적이어서는 안 된다. 종속관계가 안되려면 재정자립이 필수적이다. 앞으로의 정부와 협의회의 관계는 민관의 파트너쉽에 의 해 이루어져야 한다.
한국사회복지협의회의 발전방안으로서는 1. 공동모금회의 활성화 2. 지역의 시군구협의회 조직 3. 사회복지전문인력의 기능강화 4. 사회복지기획단구성-특별기구를 조직하여 [한사협비젼21]을 구성하게 한다.
참고문헌
2001년 사회복지협의회 직원연수교육 자료
최일섭, 류진석 {지역사회복지론} 서울대출판부 1996
송정부, 류만희 [신 사회복지협의회기본요항] {사회복지} 제126호, 제127호 한국사회복지협의회 1995.
송정부 {사회복지학연구} 법지사 1999
서울시사회복지협의회 {지역사회복지 조직 운영 매뉴얼} 2000
이창호는 [한국사회복지협의회 장기발전 계획(안)]에서 한국사회복지협의회의 현황과 문제점을 (1) 예산의 지나친 정부의존성. (2) 시설장 중심의 폐쇄성, (3) 지역자원 유치의 답보, (4) 전문 성 부족, (5) 자원봉사 사업의 미진, (6) 직능단체들과의 업무마찰, (7) 對국민 프로그램의 부재, (8) 중앙과 지방간의 연계부족, (9) 정부 종속적 위치로 보고 있다.
장 단기계획으로 (1) 전문 프로그램(사업)의 개발 (2) 예산소스의 다양화 (3) 직능단체와의 관계 및 역할정립을 들고 있다.
(1) 전문사업 개발
1) 전문적 기술로 국민과의 직접 연결시키는 사업과 프로그램이 좋다. 즉 정보제공 및 자원봉사 는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현행 [자원봉사정보안재센터]를 확충하는 것으로 국민들이 손쉽 게 전화만 걸면 필요한 모든 사회복지서비스의 정보를 제공해주는 전산망 체제를 구축하는 일이다. 또한 사회복지복지신문 발간, 계간 사회복지 발간, 출판업무와 홍보사업을 더욱 확 충하는 일이다.
2) 자원봉사사업
협의회가 직접 국민에게 직접사업을 할 수 있는 부문이 자원봉사사업이다. 즉 자원봉사자 모집, 배치, 교육과 같은 중간집단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3) 연구사업
협의회 내 [사회복지연구소]를 설치하여 사회복지실태조사, 정책건의, 자료발간을 담당한다. 한편 기획실 보강사업이다. 협의회 장단기 발전기획만을 전담하는 사업이 필요하다.
4) 재교육사업
민간 사회복지사들의 재교육 및 자원봉사자교육을 전담한다.
(2) 예산소스(source)의 다양화
협의회의 예산소스는 자체수입, 정부지원, 외부 민간자금이다. 될 수 있으면 정부지원 보다는 자체수입과 민간자금의 유치가 바람직하다.
1) 회관 건축
건물 임대료 수입으로 협의회의 경제적 자립을 기대할 수 있다.
2) 민간자원 유치
지역유지들을 협의회 이사, 대의원으로 영입하는 일이다. 지방협의회를 독립법인화하여 지방 의 재력가 등 유력인사 영입이다. 지역공동모금에서의 배분이다.
(3) 관계, 역할정립
1) 독립법인인 지방협의회와 시군구 협의회와의 관계정립이다. 즉 중앙협의회는 장차 연맹, 연 방제(federation)의 모습일 것이다. 중앙과 지방은 상호 협력관계로 맺어져야 한다.
2) 정부와의 관계정립에서는 정부의 지원과 감독은 받되 종속적이어서는 안 된다. 종속관계가 안되려면 재정자립이 필수적이다. 앞으로의 정부와 협의회의 관계는 민관의 파트너쉽에 의 해 이루어져야 한다.
한국사회복지협의회의 발전방안으로서는 1. 공동모금회의 활성화 2. 지역의 시군구협의회 조직 3. 사회복지전문인력의 기능강화 4. 사회복지기획단구성-특별기구를 조직하여 [한사협비젼21]을 구성하게 한다.
참고문헌
2001년 사회복지협의회 직원연수교육 자료
최일섭, 류진석 {지역사회복지론} 서울대출판부 1996
송정부, 류만희 [신 사회복지협의회기본요항] {사회복지} 제126호, 제127호 한국사회복지협의회 1995.
송정부 {사회복지학연구} 법지사 1999
서울시사회복지협의회 {지역사회복지 조직 운영 매뉴얼} 200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