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화요소의 왜곡에서 오는 현대 한국사회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통문화요소의 왜곡에서 오는 현대 한국사회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현대한국 사회문제의 원인
1. 전통문화의 특징
1) 가족공동체
2) 상하 위계질서적 문화
3) 정(情)의 문화
4) 전통문화요소의 긍정적 측면
2. 전통문화요소의 왜곡
1) 배타적 집단의식--타인을 배려하지 않음
2) 혈연-가족 이기주의
가. 고아수출국 1위
나. 망가진 교육환경
A) 사교육비의 증가
B) 촌지문제
3) 情의 왜곡-응석과 떼쓰기, 이성적 문화의 부재
4) 왜곡된 위계질서-권위주의
3. 산업사회와 자본주의의 왜곡
1) 산업사회의 특징
2) 자본주의의 왜곡-천민자본주의
4. 열악한 역사환경

Ⅱ. 문제해결의 방향
1. 정의로운 법질서의 강력한 집행
2. 시민의식제고를 위한 교육
3. 우리의 전통윤리의 우량측면을 보존

본문내용

민들이 최소한도로 지켜야할 '최소도덕'적 윤리이다.
민주국가의 법은 어떤 개인 또는 특정 집단의 목적이나 이익을 위한 것이 아니라 모든 국민의 안녕과 복지를 위한 공평한(fair) 법이다. 이러한 정의로운(just) 법을 지키는 사람이 바로 '바람직한 시민'의 모습이다.
2. 시민의식제고를 위한 교육
요즘 우리 사회 전반에 감도는 도덕적 위가감에 당면할 때 진부한 감은 있으나 '敎育立國'이라는 말의 중요성을 다시금 실감하게 된다. 구석마다 오염되고 부패된 사회를 청소해 내기 위해서는 교육이라는 장기적 대안에 의존할 수밖에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미 그릇된 관행에 오랫동안 젖어온 사람이 하루 아침에 의식을 바꾼다는 것은 기대하기 어려운 일이며 대체로 기성세대들은 지금까지 살아온 게임의 규칙과 관행을 그대로 유지할 공산이 보다 클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기성세대는 교육의 대상으로서 보다 법치 내지는 법적 제재의 대상으로 보는 것이 좋으리라 생각된다.
시민교육의 내용이 반드시 포함해야할 것은 1. 법의 준수는 전체의 안녕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가르쳐야하는데 이는 법의 도덕적 정당성을 인지적으로 이해하게하는 것이다. 2. 법의 준수는 개인의 장기적 이익에도 부합한다는 것을 가르칠 필요가 있다. 이는 법의 준수는 타산적인 측면에서도 정당화될수있다는 것을 인지시키는 것이다. 3. 법을 준수하는 습관을 기르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배양된 습관은 시민사회의 덕(德)이된다.
따라서 우리의 그릇된 구조와 제도를 척결, 개혁하는 과제는 결국 정의로운 인간, 올바른 민주시민의 자질을 갖춘 국민이 이 사회의 주도세력이 될 때 자연스럽게 해결되리라고 생각되며 우리의 2세들을 그러한 시민으로 양성하는데 실패할 경우 우리의 미래는 기대할 바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런데 오늘날 우리의 교육현실은 썩 만족스럽지 못하다. 중고등학교의 교육은 대학입시라는 좁은 관문을 빠져나가기 위한 격전장으로 황폐화되고있고 초등학교 내지 유치원 교육까지 원격조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학교교육은 도덕교육이나 시민교육과는 거리가 멀 뿐이고 학생들은 비리가 만연된 사회환경속에 그대로 노출되고 방치되어 있는 셈이다. 결국 초중등학교의 대폭적인 혁신, 입시제도의 혁명, 철학있는 인간교육의 계획수립없이는 우리 사회의 도덕적 혼탁은 백년하청일 것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현방법은 우리가 앞으로 고민해야할 문제이다.
3. 우리의 전통윤리의 우량측면을 보존
우리의 전통윤리에는 대단히 긍정적인 요소들을 많이 갖고 있다. 더불어 사는 공동체 문화, 정의 윤리, 이웃에 대한 배려 등등은 매우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이는 법의 준수를 주로하는 최소윤리로서의 시민윤리를 넘어서서 법적 의무의 준수를 넘어서는 자비로운 인간의 육성과 이러한 인간이 모여사는 사회를 지향한다. (자선, 봉사, 자기희생은 시민윤리에서 강제되지 않는다) 이는 '최대도덕'을 지향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이상이 실현될 수 있도록 지혜를 모아야할 것이다.
참고문헌 ----------------------------------------------
1. 고영복 편. 『현대 사회문제』. 사회문화연구소, 1991.
2. 김영모 편. 『현대사회문제론』. 한국복지정책연구소, 1981.
3. 최일섭, 최성재 편.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나남, 2000.
4. 최선화 외.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양서원, 1999.
5. 한완상, 권태환 편. 『전환기 한국의 사회문제』. 민음사, 1997.
6. 한국사회학회 편. 『현대한국사회문제론』. 한국복지정책연구소, 1991.
7. 홍금자 외.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인간과 복지, 2000.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4.01.28
  • 저작시기200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23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