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하여 서술
1)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의 의미
2)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의 중요성
2. 엔젤투자자, 액셀러레이터(창업기획자) 및 벤처캐피털(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에 대하여 서술
1) 엔젤투자자
2) 액셀러레이터(창업기획자)
3) 벤처캐피털(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
Ⅲ. 결 론
참고문헌
Ⅰ. 서 론
Ⅱ. 본 론
1.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하여 서술
1)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의 의미
2)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의 중요성
2. 엔젤투자자, 액셀러레이터(창업기획자) 및 벤처캐피털(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에 대하여 서술
1) 엔젤투자자
2) 액셀러레이터(창업기획자)
3) 벤처캐피털(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
Ⅲ.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를 하거나 액셀러레이터가 만드는 개인조합 펀드에 출자를 한다. 하지만 액셀러레이터투자는 주체가 법인이고, 개인과 법인의 자금을 바탕으로 조합을 결성하여 펀드를 운용하며, 투자를 한다.
<표1> 엔젤과 액셀러레이터 차이
구분
엔젤투자
액셀러레이터
투자 주체
개인
법인
성격
재무적 투자
재무적 투자
라운드
Pre-seed
Seed
방법
직접투자, 간접투자
개인과 벤처투자조합 운용
종류
보통주
보통주
서비스
성공한 창업가에 한하여 관련 조언
전문적인 육성 프로그램 운영
부가수익
X
오픈 이노베이션 등 프로그램 운영
3) 벤처캐피털(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
벤처캐피털은 쉽게 말하여 유망한 스타트업에 자본을 조달하고, 그 기업의 주식가치가 올랐을 때 판매를 하여 차익을 얻는 법인을 말한다. 벤처캐피털는 기본적으로 스타트업의 주식을 구매하지만 대출과 투자 사이의 성격인 메자닌 투자도 하기 때문에 단순하게 주식투자라고 볼 수 없다.
벤처캐피털은 주로 한국벤처투자의 모태펀드나 다른 대기업의 자본 등을 활용해서 벤처투자조합을 결성하고 이를 운용한다. 각 기관마다 운용하는 편드의 수나 규모도 다르다. 펀드의 수, 규모가 클수록 그 기관을 높게 평가한다. 왜냐하면 LP들에게 자금을 모집하는 것은 정말 어려운 일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표2> 엔젤과 액셀러레이터, 벤처캐피털의 차이
구분
엔젤투자
액셀러레이터
벤처캐피털
투자주체
개인
법인
법인
투자성격
재무적 투자
재무적 투자
기관에 따라서 재무적 또는 전략적
투자라운드
Pre-seed
Seed
Seed~Pre-IPO
조합 운용
개인투자조합
개인+벤처투자조합
벤처투자조합
투자종류
보통주 위주
보통주 위주
보통주, 우선주, 메자닌
서비스
성공한 창업자에 한하여 창업 관련 조언
전문적인 육성 프로그램 운영
주로 투자에 집중
부가수익
X
오픈 이노베이션 등 프로그램 운영
주로 투자에 집중
Ⅲ. 결 론
중소기업의 설립과 성장 과정에 있어 창업자금 조달은 창업가의 중요한 과제이자 역할이다. 회사의 경영은 경영자의 자질과 능력에 따라서 좌우가 되는 만큼 경영자의 경영 능력을 강조해도 부족하지 않다. 누구나 회사를 잘 운영해서 그 회사가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하고 싶은 것은 경영자의 이상이고, 꿈이라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김종재, 현대 중소기업경영론, 1998, 박영사
문영복, 중소기업론, 2000, 청록출산사.
박춘엽, 박영배, 중소기업경영론, 1998. 학문사.
<표1> 엔젤과 액셀러레이터 차이
구분
엔젤투자
액셀러레이터
투자 주체
개인
법인
성격
재무적 투자
재무적 투자
라운드
Pre-seed
Seed
방법
직접투자, 간접투자
개인과 벤처투자조합 운용
종류
보통주
보통주
서비스
성공한 창업가에 한하여 관련 조언
전문적인 육성 프로그램 운영
부가수익
X
오픈 이노베이션 등 프로그램 운영
3) 벤처캐피털(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
벤처캐피털은 쉽게 말하여 유망한 스타트업에 자본을 조달하고, 그 기업의 주식가치가 올랐을 때 판매를 하여 차익을 얻는 법인을 말한다. 벤처캐피털는 기본적으로 스타트업의 주식을 구매하지만 대출과 투자 사이의 성격인 메자닌 투자도 하기 때문에 단순하게 주식투자라고 볼 수 없다.
벤처캐피털은 주로 한국벤처투자의 모태펀드나 다른 대기업의 자본 등을 활용해서 벤처투자조합을 결성하고 이를 운용한다. 각 기관마다 운용하는 편드의 수나 규모도 다르다. 펀드의 수, 규모가 클수록 그 기관을 높게 평가한다. 왜냐하면 LP들에게 자금을 모집하는 것은 정말 어려운 일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표2> 엔젤과 액셀러레이터, 벤처캐피털의 차이
구분
엔젤투자
액셀러레이터
벤처캐피털
투자주체
개인
법인
법인
투자성격
재무적 투자
재무적 투자
기관에 따라서 재무적 또는 전략적
투자라운드
Pre-seed
Seed
Seed~Pre-IPO
조합 운용
개인투자조합
개인+벤처투자조합
벤처투자조합
투자종류
보통주 위주
보통주 위주
보통주, 우선주, 메자닌
서비스
성공한 창업자에 한하여 창업 관련 조언
전문적인 육성 프로그램 운영
주로 투자에 집중
부가수익
X
오픈 이노베이션 등 프로그램 운영
주로 투자에 집중
Ⅲ. 결 론
중소기업의 설립과 성장 과정에 있어 창업자금 조달은 창업가의 중요한 과제이자 역할이다. 회사의 경영은 경영자의 자질과 능력에 따라서 좌우가 되는 만큼 경영자의 경영 능력을 강조해도 부족하지 않다. 누구나 회사를 잘 운영해서 그 회사가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하고 싶은 것은 경영자의 이상이고, 꿈이라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김종재, 현대 중소기업경영론, 1998, 박영사
문영복, 중소기업론, 2000, 청록출산사.
박춘엽, 박영배, 중소기업경영론, 1998. 학문사.
추천자료
2023년 2학기 방송통신대 중소기업창업론 중간과제물)창업기업의 설립과 성장 과정에서 창업...
2023년 2학기 중소기업창업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부트스트래핑, 엔젤투자자, 벤처캐피털)
[경영, 경제2 중소기업창업론]창업기업의 설립과 성장 과정에서 창업자금 조달은 창업가의 매...
중소기업창업론_중간과제
중소기업창업론) 창업기업 설립 초기 내부자금 조달 원천 중 하나인 부트스트래핑(bootstrapp...
창업기업 성장 단계별 주요 외부 자금 조달 원천인 엔젤투자자, 액셀러레이터(창업기획자) 및...
창업기업 설립 초기 내부자금 조달 원천 하나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의 의미와 중요성...
중소기업창업론) 창업기업 설립 초기 내부자금 조달 원천 중 하나인 부트스트래핑(bootstrapp...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