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육법 (Education Act 1944)
2) 사회교육규정 (Further Education Regulation 1975)
3) 사회교육행정 구조
(1) 교육과학부의 지원
(2) 지방교육당국의 사회교육행정
4) 사회교육기관 및 단체
(1) 기술대학 또는 연장 교육대학
(2) 지역사회 대학 또는 성인교육대학
(3) 기숙제 성인대학
(4) 대학의 교외교육부
(5) 근로자 교육협회 (WEA)
(6) 민간사회교육센터 (Education Center)
2) 사회교육규정 (Further Education Regulation 1975)
3) 사회교육행정 구조
(1) 교육과학부의 지원
(2) 지방교육당국의 사회교육행정
4) 사회교육기관 및 단체
(1) 기술대학 또는 연장 교육대학
(2) 지역사회 대학 또는 성인교육대학
(3) 기숙제 성인대학
(4) 대학의 교외교육부
(5) 근로자 교육협회 (WEA)
(6) 민간사회교육센터 (Education Center)
본문내용
. WEA의 지역지부는 각 지회의 성인교실을 위한 강사를 배정해주며 각 지회는 성인학생을 조직하여 학급과 강의제목을 정하여 지역지부에 신청한다. WEA가 주관하는 성인교실은 한 강좌로 1년 내지 2년의 기간을 계속하는 것이 보통이며, 교육의 방법은 강의와 토론과 강사가 지도하는 개별학습 등이다. 1주일에 1회씩 모이는 이 강좌에서는 강사가 성인학생들에게 과제를 주고 평가하기도 하지만 학점이나 증서나 다른 자격을 주지는 않는다. 다만 학생들이 스스로 배움으로써 자기 자신의 자아실현과 생활향상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WEA의 교육내용은 직업 준비나 기술훈련이 아닌 순수한 인문교육을 그 특징을 한다.
(6) 민간사회교육센터 (Education Center)
영국의 민주주의는 각 지역사회 또는 이웃사회를 단위로 하는 주민들의 자원적인 교육활동에 의해서 발달하였다. 그 대표적인 기관 및 단체가 각 지역사회의 여러 형태의 주민교육센터들이다. 이들 교육센터들의 연합으로 된 전국교육센터협회가 있으며, 이 협회에 등록된 지방 교육센터가 현재 118개가 된다. 이들 교육센터의 이름은 제각기 다르며, Leisure Centre, Community Centre, Adult Education Centre, Community 또는 Adult College 등 여러 가지이다.
참고문헌 ----------------------------------------------
1. 최일섭, 류진석(1996). 지역사회복지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 김영주 역(2001), 지역사회교육과 평생교육, 서울 : 서민사.
(6) 민간사회교육센터 (Education Center)
영국의 민주주의는 각 지역사회 또는 이웃사회를 단위로 하는 주민들의 자원적인 교육활동에 의해서 발달하였다. 그 대표적인 기관 및 단체가 각 지역사회의 여러 형태의 주민교육센터들이다. 이들 교육센터들의 연합으로 된 전국교육센터협회가 있으며, 이 협회에 등록된 지방 교육센터가 현재 118개가 된다. 이들 교육센터의 이름은 제각기 다르며, Leisure Centre, Community Centre, Adult Education Centre, Community 또는 Adult College 등 여러 가지이다.
참고문헌 ----------------------------------------------
1. 최일섭, 류진석(1996). 지역사회복지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 김영주 역(2001), 지역사회교육과 평생교육, 서울 : 서민사.
추천자료
사회과(사회과교육) 탐구학습의 정의와 조건, 사회과(사회과교육) 탐구학습의 기본과정과 적...
사회과(사회과교육) 통합교육과정의 개념과 필요성, 사회과(사회과교육) 통합교육과정의 논의...
고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의 성격과 목표, 고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의 교육과정 변천...
초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의 교육과정 변천, 초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의 내용, 초등학...
초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의 성격과 성취기준, 초등학교 4학년 사회과(사회과교육)의 내용...
초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의 목표, 초등학교 3학년 사회과(사회과교육) 목표, 초등학교 4...
초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 시대변천과 성격, 초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 편제와 시간배...
초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의 경향, 초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의 내용선정, 초등학교 사...
초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의 특성과 목표, 초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의 새로운 동향, ...
초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의 내용체계, 초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 수업형태, 초등학교 ...
초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의 영역별목표, 초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의 지리영역교육과 ...
성인학습(사회교육, 성인교육)의 특징과 원리, 성인학습(사회교육, 성인교육) 참여율, 성인학...
[통일교육][사회통일교육][남북통일교육][남북관계]통일교육의 정의, 통일교육의 중요성, 사...
[교육 사회학] 교육사회학의 학문적 성격과 교육사회학의 성립과 발전 과정(한국 교육사회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