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프로이드에 대한 이해
2. 상담이론의 적용
2. 상담이론의 적용
본문내용
하는 것을 말한다. 프로이드는 환자가 분석가에 대해 갖는 감정이 긍정적이건 부정적이건 간에, 감정적 반응 전체를 분석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수단으로 생각하였다.
*** 역전이 (counter- transference):
전이와는 반대로 치료자가 환자에 대해 느끼는 반응을 역전이라고 한다. 치료자는 자신의 역전이가 내담자의 기대와 일치하는지 자문해본 후 앞으로의 분석을 위한 단서를 찾든가 자기이해(분석)를 위한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다.
4) 정신분석학의 단기적 상담과 장기적 상담
① 단기적 상담 : 대체로 주 1-3회 50분 정도로 15회정도하는 상담
- 상담목표의 명확한 제시
- 시간제한에 대해 사전합의하고 현실적 문제 및 최초의 목표에 초점을 맞춘다.
- 상담자는 확신을 가지고 상담효과를 인식시키면서 낙관적 태도로 상담에 임하며 되도록 융통성 있는 면접빈도를 가진다.
- 단기상담은 갈등이 심층적이지 않은 사람, 현실판단능력이 양호한 사람의 경우에 적용하도록 한다.
② 장기적 상담
- 내담자가 갈등과 감정을 토로하며 상담장면에서 내담자가 신경증적 증세를 보인다.
- 상담자는 자유연상 등을 통해 내담자의 갈등을 탐색한다.
- 상담자가 내담자의 언어내용에서 갈등의 핵심주제내용과 관련된 행동을 추리하며 상담자는 전이현상에서 내담자의 갈등이 표면화되도록 한다.
- 상담자는 내담자의 저항적 언어반응을 해석하며 상담자는 해석에 대한 내담자의 반응 및 수용을 격려한다.
- 상담자의 통찰이 이루어지고 갈등이 해소되며 상담의 종결을 생각한다. 정신분석학적 상담이론 적용의 문제 정신분석적 접근의 상담이론이 가지는 유용한 개념적 도구에도 불구하고 상담에의 적용을 어렵게하는 요인들로 다음과 같은 것을 생각해 볼 수 있겠다.
첫째, 치료에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 정신분석을 통해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으려면 (통찰의 획득과 증상의 사라짐), 주 3-4회의 만남을 2-5년씩 가져야할 때도 있다.
둘째, 필요이상으로 억압된 것을 표면화시킴으로써 실제 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루지 않을 수 있다.
- 초기경험이나 성을 지나치게 강조한다.
셋째, 꿈의 해석이나 저항과 전이의 분석 등은 상담자의 상당한 훈련을 요한다.
넷째, 몇몇 종류의 내담자에게만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해 현대의 정신분석학자들은 단기간에 부적응자들을 상담하는 기법을 발전시켰으며, Freud이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여러 다양한 분파(신정신분석학파 :바로 다음 주에 배울 Adler 등이 속한다)가 생겨났다. 그리고 많은 상담가들이 정신분석의 기술을 훈련하지 않고 그 전제를 받아들이지 않는다고 공언할지라도, 여전히 정신분석이론의 틀은 가족상담 . 집단상담 . 직업상담 등에서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그 적용가능성은 여전히 밝다 하겠다.
정신분석 상담연습
다음에는 한 내담자의 사례가 제시되어 있습니다.
내담자의 문제나 성장과정, 주변환경에 대한 정보는 다소 부족할지도 모르지만, 당신이 앞에서 공부한 정신분석학적 상담이론을 사용하는 상담자라고 가정하고, 정신분석학적 상담이론을 적용하여 다음 내담자의 문제와 상담방향을 설정하여 상담해 주세요.. ~~~~~~~~~~~~~~~~~~~~~~~~~~~~~~~~~~~~~~~~~~~~~~~~~~~~~~
안녕하세요?
저는 16세의 남자 중학생입니다.
제가 갖고 있는 문제는 바로 불안이라는 것입니다.
전 다른 사람과 함께 있으면 어디다 시선을 두어야 할지 두렵고 답답하고 비참한 기분을 느낍니다.
가족도 예외는 아닙니다. 인생을 살아가기엔 전 너무 나약한가 봅니다. 왜 전 당당하고 용감하게 삶을 살아가지 못하는 걸까요?
혼자라는 기분은 나를 절망 속에 빠뜨리고 무가치하고 쓸모없는 인간이라고 생각하게 하고 점점 뒷걸음 치게 만듭니다.
지금껏 사람들은 나를 두려움에 떨게 만들었고 고립되고 겁쟁이가 되도록 몰아갔어요.
아니 15년 넘는 세월을 혼란 속에서 보낸 제 자신이 저주스럽고 앞으로도 계속 그럴 것이다 라는 절망은 아무 것에도 도전하지 못하게 쇠사슬에 묶인 노예로 만들어요.
당장 해야 할 일은 산더미처럼 많은데 불안과 외로움에 묻혀 일을 하지 못할 때면 더욱더 내가 한심하고 결국은 슬픔과 우울증에 빠져요. 이젠 이런 불안과 두려움에서 벗어나고 싶어요.
차분하고 자신감있게 사람들과 지내고 싶어요.
사람들을 겁주고 괴롭히는 폭력은 왜 없어지지 않는거죠?
왜 나약한 사람은 패배하여야 하고 또 비참함을 느껴야 하는 거죠?
*** 역전이 (counter- transference):
전이와는 반대로 치료자가 환자에 대해 느끼는 반응을 역전이라고 한다. 치료자는 자신의 역전이가 내담자의 기대와 일치하는지 자문해본 후 앞으로의 분석을 위한 단서를 찾든가 자기이해(분석)를 위한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다.
4) 정신분석학의 단기적 상담과 장기적 상담
① 단기적 상담 : 대체로 주 1-3회 50분 정도로 15회정도하는 상담
- 상담목표의 명확한 제시
- 시간제한에 대해 사전합의하고 현실적 문제 및 최초의 목표에 초점을 맞춘다.
- 상담자는 확신을 가지고 상담효과를 인식시키면서 낙관적 태도로 상담에 임하며 되도록 융통성 있는 면접빈도를 가진다.
- 단기상담은 갈등이 심층적이지 않은 사람, 현실판단능력이 양호한 사람의 경우에 적용하도록 한다.
② 장기적 상담
- 내담자가 갈등과 감정을 토로하며 상담장면에서 내담자가 신경증적 증세를 보인다.
- 상담자는 자유연상 등을 통해 내담자의 갈등을 탐색한다.
- 상담자가 내담자의 언어내용에서 갈등의 핵심주제내용과 관련된 행동을 추리하며 상담자는 전이현상에서 내담자의 갈등이 표면화되도록 한다.
- 상담자는 내담자의 저항적 언어반응을 해석하며 상담자는 해석에 대한 내담자의 반응 및 수용을 격려한다.
- 상담자의 통찰이 이루어지고 갈등이 해소되며 상담의 종결을 생각한다. 정신분석학적 상담이론 적용의 문제 정신분석적 접근의 상담이론이 가지는 유용한 개념적 도구에도 불구하고 상담에의 적용을 어렵게하는 요인들로 다음과 같은 것을 생각해 볼 수 있겠다.
첫째, 치료에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 정신분석을 통해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으려면 (통찰의 획득과 증상의 사라짐), 주 3-4회의 만남을 2-5년씩 가져야할 때도 있다.
둘째, 필요이상으로 억압된 것을 표면화시킴으로써 실제 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루지 않을 수 있다.
- 초기경험이나 성을 지나치게 강조한다.
셋째, 꿈의 해석이나 저항과 전이의 분석 등은 상담자의 상당한 훈련을 요한다.
넷째, 몇몇 종류의 내담자에게만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해 현대의 정신분석학자들은 단기간에 부적응자들을 상담하는 기법을 발전시켰으며, Freud이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여러 다양한 분파(신정신분석학파 :바로 다음 주에 배울 Adler 등이 속한다)가 생겨났다. 그리고 많은 상담가들이 정신분석의 기술을 훈련하지 않고 그 전제를 받아들이지 않는다고 공언할지라도, 여전히 정신분석이론의 틀은 가족상담 . 집단상담 . 직업상담 등에서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그 적용가능성은 여전히 밝다 하겠다.
정신분석 상담연습
다음에는 한 내담자의 사례가 제시되어 있습니다.
내담자의 문제나 성장과정, 주변환경에 대한 정보는 다소 부족할지도 모르지만, 당신이 앞에서 공부한 정신분석학적 상담이론을 사용하는 상담자라고 가정하고, 정신분석학적 상담이론을 적용하여 다음 내담자의 문제와 상담방향을 설정하여 상담해 주세요.. ~~~~~~~~~~~~~~~~~~~~~~~~~~~~~~~~~~~~~~~~~~~~~~~~~~~~~~
안녕하세요?
저는 16세의 남자 중학생입니다.
제가 갖고 있는 문제는 바로 불안이라는 것입니다.
전 다른 사람과 함께 있으면 어디다 시선을 두어야 할지 두렵고 답답하고 비참한 기분을 느낍니다.
가족도 예외는 아닙니다. 인생을 살아가기엔 전 너무 나약한가 봅니다. 왜 전 당당하고 용감하게 삶을 살아가지 못하는 걸까요?
혼자라는 기분은 나를 절망 속에 빠뜨리고 무가치하고 쓸모없는 인간이라고 생각하게 하고 점점 뒷걸음 치게 만듭니다.
지금껏 사람들은 나를 두려움에 떨게 만들었고 고립되고 겁쟁이가 되도록 몰아갔어요.
아니 15년 넘는 세월을 혼란 속에서 보낸 제 자신이 저주스럽고 앞으로도 계속 그럴 것이다 라는 절망은 아무 것에도 도전하지 못하게 쇠사슬에 묶인 노예로 만들어요.
당장 해야 할 일은 산더미처럼 많은데 불안과 외로움에 묻혀 일을 하지 못할 때면 더욱더 내가 한심하고 결국은 슬픔과 우울증에 빠져요. 이젠 이런 불안과 두려움에서 벗어나고 싶어요.
차분하고 자신감있게 사람들과 지내고 싶어요.
사람들을 겁주고 괴롭히는 폭력은 왜 없어지지 않는거죠?
왜 나약한 사람은 패배하여야 하고 또 비참함을 느껴야 하는 거죠?
추천자료
상담이론의 주요개념과 상담기법 정리
상담이론의 발달역사 기술, 각 이론의 문제점을 기술
상담이론에서 설명한 심리적 문제 발생원인과 대표적인 상담기법
[진로상담이론] 파슨스(파슨즈/Parsons)의 특성-요인이론의 개요 및 평가
[진로상담이론] 수퍼(Super)의 진로발달이론의 이해와 한국 내담자에 대한 적용 가능성
[진로상담이론] 크롬볼츠(Krumboltz)의 사회학습이론의 이해와 한국 내담자에 대한 적용 가능성
[진로進路상담이론] Krumboltz의 사회학습이론의 개관 - 진로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네 가지 ...
[진로進路상담이론] 직업적응이론의 이해와 한국 내담자에 대한 적용 가능성
인간중심적 상담이론에서 상담자와 내담자와의 관계 형성에 필요한 3가지 태도에 대해 각각 2...
[사람중심상담이론]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에서 배운 이론 중에 자신이 가장 자신 있는 모델 한...
인간중심적 상담이론에서 상담자와 내담자와의 관계형성에 필요한 3가지 태도에 대해 2문장 ...
아동상담이론 중 학습자가 3개를 선정하여 각 이론을 비교하여 보시오.
인간중심상담이론에 대해 설명하고 치료 촉진적 상담자의 역할에 대하여 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