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1.스타벅스는 어떤 회사인가
본론
1.스타벅스의 성공요인
2.하워드 슐츠
3.하워드 슐츠의 원칙
4.하워드 슐츠의 주위사람들
5.부하직원들에게 어떻게 영향을 주었는가?
1) 보상과 혜택 - 급여와 의료보험 혜택
2) 빈스톡(Bean Stock)의 도입
3) 끊임없는 자기 개혁
6.의사결정시의 리더십
1)독단성과 융통성 사이에서
2) 프렌차이즈
7.위기상황 때의 리더십
8.성공을 이루었을 때의 리더십
결론
1.하워드 슐츠의 리더십에서 배울점
2.리더십의 문제점
1.스타벅스는 어떤 회사인가
본론
1.스타벅스의 성공요인
2.하워드 슐츠
3.하워드 슐츠의 원칙
4.하워드 슐츠의 주위사람들
5.부하직원들에게 어떻게 영향을 주었는가?
1) 보상과 혜택 - 급여와 의료보험 혜택
2) 빈스톡(Bean Stock)의 도입
3) 끊임없는 자기 개혁
6.의사결정시의 리더십
1)독단성과 융통성 사이에서
2) 프렌차이즈
7.위기상황 때의 리더십
8.성공을 이루었을 때의 리더십
결론
1.하워드 슐츠의 리더십에서 배울점
2.리더십의 문제점
본문내용
보여주곤 했다. 가장 큰 예로 처음 스타벅스를 인수하기 위해 투자를 유치하는 과정에서 한 투자자가 "우리는 당신에게 일생의 기회를 주었습니다. 우리는 당신이 아무 것도 아닐 때 당신에게 투자를 했습니다. 그런데 당신은 지금도 역시 보잘 것 없는 존재입니다. 지금 당신은 스타벅스를 살 수 있는 기회를 갖고 있지만 그것은 우리의 돈이고 우리의 아이디어입니다. 그것은 우리의 비즈니스입니다. 이것을 이제 우리는 바로 당신과 함께, 혹은 당신 없이 하려고 하는 것입니다. 만일 당신이 이 거래를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이 도시에서 다시는 일을 하지 못할 것입니다. 당신은 한 푼도 더 자금을 얻지 못할 것입니다. 당신은 개고기 신세가 될 것입니다." 라고 말했다.
하워드 슐츠는 이 자리에서 침착하거나 당당한 태도가 아닌 떨리는 목소리로 "이것은 내 일생의 기회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나의 아이디어입니다. 내가 그것을 당신에게 가지고 왔습니다. 따라서 당신은 그것을 가져갈 수 없습니다. 우리가 스스로 자금을 유치할 것입니다. 당신과 함께 혹은 당신 없이!"라고 화를 내며 말하고는 걸어나와 눈물을 흘렸다.
이러한 사례에서 보면 그는 리더가 갖추어야 할 요건 중의 하나인 냉정하고 합리적인 판단을 해야함에도 불구하고 감정적인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태도는 회사를 이끌고 가야하는 CEO의 입장에서 보여주지 말아야 할 행동이었다. 어려운 시기일수록 투자자들을 잘 설득하고 자신이 내세우는 비전을 좀더 확실히 그들에게 제시했더라면 더 좋은 결과를 이끌 수 있었을 것이다. 책을 읽으면서 가끔씩 보여지는 그의 감정적인 모습에서 인간적인 면을 느낄 수 있었으나, 최고경영자로서는 좀더 냉철해야 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두 번째, 지속적인 성장세만을 믿고 과도한 체인점 확장과 문어발식 사업확장을 하는 것은 전문경영인으로서 지양해야될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스타벅스는 전 세계 약 2600개 정도의 체인점을 가지고 있고, 또 얼마 전 시애틀커피를 인수하였다.
"체인소매업 한계…도매 눈돌려
끝이 없어보이던 스타벅스의 성장세가 한계에 도달했나. 세계 최대의 커피체인점 스타벅스가 시애틀 커피를 인수한데 대한 시장의 반응이 묘하다.
스타벅스는 파파이스 치킨 등을 운영하는 국제적 프랜차이즈 업체인 AFC 엔터프라이즈로부터 시애틀 커피를 현금 7천2백만달러에 인수하기로 합의했다고 지난달 16일 발표했다.
이에 따라 스타벅스는 시애틀 커피가 미국과 캐나다에서 운영하고 있는 1백29개 '시애틀스 베스트 커피' 체인점과 21개 '토레파지오네 이탈리아' 커피 체인점을 인수하게 됐다.
경쟁업체 인수는 대금을 지나치게 비싸게 치르지 않는 한 몸집을 키운다는 점에서 좋은 평가를 받게 마련이다. 그러나 인수 발표 후 스타벅스에 대한 시장의 평가는 오히려 냉정한 편이다. 스타벅스 체인점이 이젠 포화상태에 달했음을 보여주는 신호등이 아니냐는 것이다. 소매 판매인 체인점 사업이 더 커지기 힘들다고 판단해 커피 도매 판매 쪽으로 눈을 돌리려는 게 이번 인수의 핵심이라는 평가다.
실제로 스타벅스가 인수한 시애틀 커피는 소매 부문이 있긴 하지만 도매 판매 비중이 큰 회사다. 도매를 많이 하다 보니 마진율도 적다. 시애틀 커피의 2001년 커피 매출은 9천4백만달러인데 영업이익은 6백20만달러에 그쳐 영업이익률이 6.5%에 불과했다. 스타벅스의 2002년 소매부문 영업이익률(16.7%)을 크게 밑도는 수준이다.
미국 격주간 경제지인 포브스는 최근 인터넷판에서 스타벅스의 시애틀 커피 인수는 고수익을 내던 스타벅스의 소매 체인점 사업이 시들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보도했다. 지난해 33억달러를 기록한 스타벅스의 매출 가운데 77%가 스타벅스 북미지역 체인점에서 나왔을 정도로 스타벅스의 소매 비중은 높다."
문어발식 확장은 다른 기업 사례에서도 알 수 있듯이 종래에는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오기 마련이다. 커피 관련 사업이 포화상태에 이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애틀 커피를 인수한 것은 아직 드러나진 않았지만 장기적으로 볼 때 스타벅스에 문제점을 가져 올 수 있다.
이러한 결정은 CEO가 현재 커피시장의 상태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미래의 커피시장을 너무 낙관하고 있는 듯 하다. 커피시장의 도·소매업 양쪽을 장악함으로써 가져올 수 있는 이익도 물론 크겠지만 시장이 퇴보될 경우 겪게될 손해는 매우 클 것이다.
그러므로 스타벅스가 지금까지 추구해왔던 품질경영과 고객만족경영에 더욱더 큰 비중을 두고 사업을 영위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김영사, 하워드 슐츠·도리존슨 홍순명 옮김, 2003. 01. 30, 스타벅스, 커피 한 잔에 담긴 성공신화
- [속보, 사설/칼럼] 2003년 04월 30일 (수) 11:45 문화일보
- 중앙일보 2003-05-08 18:26:43)
- [매일경제 창간37] "커피 보다는 편안한 공간을 판다"
- [속보, 경제, 산업/기업, 사설/칼럼] 2003년 03월 25일 (화) 16:51
- 머니투데이 [증권, 종목정보] 2003.04.30 (수) 12:45, 한국경제 2003.04.25 (금) 17:13
- 매일경제 [속보, 세계] 2003.04.17 (목) 15:00 , 연합뉴스 [속보, 증권, 세계] 2003.04.17 (목)
- 인터넷 중앙일보 '국제' 2003.05.08 18:26
- http://www.orphe.com/main15a-1.htm
- http://www.istarbucks.co.kr/ "스타벅스 코리아"
- http://www.korealink.co.kr/whan/200208/w2002080217033361510.htm
- http://mail.koreaedunet.pe.kr/coffee/coffee9.htm
- http://www.i-soccer.co.kr/section-007009000/2001/007009000200101120007051.html
-http://life.joins.com/life/program/life_article/0,2017,aid%257C167183%257Cservcode%257C20 10101,00.html(중알일보 LIFE 참조)
하워드 슐츠는 이 자리에서 침착하거나 당당한 태도가 아닌 떨리는 목소리로 "이것은 내 일생의 기회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나의 아이디어입니다. 내가 그것을 당신에게 가지고 왔습니다. 따라서 당신은 그것을 가져갈 수 없습니다. 우리가 스스로 자금을 유치할 것입니다. 당신과 함께 혹은 당신 없이!"라고 화를 내며 말하고는 걸어나와 눈물을 흘렸다.
이러한 사례에서 보면 그는 리더가 갖추어야 할 요건 중의 하나인 냉정하고 합리적인 판단을 해야함에도 불구하고 감정적인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태도는 회사를 이끌고 가야하는 CEO의 입장에서 보여주지 말아야 할 행동이었다. 어려운 시기일수록 투자자들을 잘 설득하고 자신이 내세우는 비전을 좀더 확실히 그들에게 제시했더라면 더 좋은 결과를 이끌 수 있었을 것이다. 책을 읽으면서 가끔씩 보여지는 그의 감정적인 모습에서 인간적인 면을 느낄 수 있었으나, 최고경영자로서는 좀더 냉철해야 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두 번째, 지속적인 성장세만을 믿고 과도한 체인점 확장과 문어발식 사업확장을 하는 것은 전문경영인으로서 지양해야될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스타벅스는 전 세계 약 2600개 정도의 체인점을 가지고 있고, 또 얼마 전 시애틀커피를 인수하였다.
"체인소매업 한계…도매 눈돌려
끝이 없어보이던 스타벅스의 성장세가 한계에 도달했나. 세계 최대의 커피체인점 스타벅스가 시애틀 커피를 인수한데 대한 시장의 반응이 묘하다.
스타벅스는 파파이스 치킨 등을 운영하는 국제적 프랜차이즈 업체인 AFC 엔터프라이즈로부터 시애틀 커피를 현금 7천2백만달러에 인수하기로 합의했다고 지난달 16일 발표했다.
이에 따라 스타벅스는 시애틀 커피가 미국과 캐나다에서 운영하고 있는 1백29개 '시애틀스 베스트 커피' 체인점과 21개 '토레파지오네 이탈리아' 커피 체인점을 인수하게 됐다.
경쟁업체 인수는 대금을 지나치게 비싸게 치르지 않는 한 몸집을 키운다는 점에서 좋은 평가를 받게 마련이다. 그러나 인수 발표 후 스타벅스에 대한 시장의 평가는 오히려 냉정한 편이다. 스타벅스 체인점이 이젠 포화상태에 달했음을 보여주는 신호등이 아니냐는 것이다. 소매 판매인 체인점 사업이 더 커지기 힘들다고 판단해 커피 도매 판매 쪽으로 눈을 돌리려는 게 이번 인수의 핵심이라는 평가다.
실제로 스타벅스가 인수한 시애틀 커피는 소매 부문이 있긴 하지만 도매 판매 비중이 큰 회사다. 도매를 많이 하다 보니 마진율도 적다. 시애틀 커피의 2001년 커피 매출은 9천4백만달러인데 영업이익은 6백20만달러에 그쳐 영업이익률이 6.5%에 불과했다. 스타벅스의 2002년 소매부문 영업이익률(16.7%)을 크게 밑도는 수준이다.
미국 격주간 경제지인 포브스는 최근 인터넷판에서 스타벅스의 시애틀 커피 인수는 고수익을 내던 스타벅스의 소매 체인점 사업이 시들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보도했다. 지난해 33억달러를 기록한 스타벅스의 매출 가운데 77%가 스타벅스 북미지역 체인점에서 나왔을 정도로 스타벅스의 소매 비중은 높다."
문어발식 확장은 다른 기업 사례에서도 알 수 있듯이 종래에는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오기 마련이다. 커피 관련 사업이 포화상태에 이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애틀 커피를 인수한 것은 아직 드러나진 않았지만 장기적으로 볼 때 스타벅스에 문제점을 가져 올 수 있다.
이러한 결정은 CEO가 현재 커피시장의 상태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미래의 커피시장을 너무 낙관하고 있는 듯 하다. 커피시장의 도·소매업 양쪽을 장악함으로써 가져올 수 있는 이익도 물론 크겠지만 시장이 퇴보될 경우 겪게될 손해는 매우 클 것이다.
그러므로 스타벅스가 지금까지 추구해왔던 품질경영과 고객만족경영에 더욱더 큰 비중을 두고 사업을 영위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김영사, 하워드 슐츠·도리존슨 홍순명 옮김, 2003. 01. 30, 스타벅스, 커피 한 잔에 담긴 성공신화
- [속보, 사설/칼럼] 2003년 04월 30일 (수) 11:45 문화일보
- 중앙일보 2003-05-08 18:26:43)
- [매일경제 창간37] "커피 보다는 편안한 공간을 판다"
- [속보, 경제, 산업/기업, 사설/칼럼] 2003년 03월 25일 (화) 16:51
- 머니투데이 [증권, 종목정보] 2003.04.30 (수) 12:45, 한국경제 2003.04.25 (금) 17:13
- 매일경제 [속보, 세계] 2003.04.17 (목) 15:00 , 연합뉴스 [속보, 증권, 세계] 2003.04.17 (목)
- 인터넷 중앙일보 '국제' 2003.05.08 18:26
- http://www.orphe.com/main15a-1.htm
- http://www.istarbucks.co.kr/ "스타벅스 코리아"
- http://www.korealink.co.kr/whan/200208/w2002080217033361510.htm
- http://mail.koreaedunet.pe.kr/coffee/coffee9.htm
- http://www.i-soccer.co.kr/section-007009000/2001/007009000200101120007051.html
-http://life.joins.com/life/program/life_article/0,2017,aid%257C167183%257Cservcode%257C20 10101,00.html(중알일보 LIFE 참조)
추천자료
(주)홍진 HJC의 마케팅 전략 및 해외진출 성공전략에 관한 조사
유니클로의 마케팅 전략 및 해외진출 전략
[국제마케팅]KC 코트렐의 해외진출 사례조사
[국제마케팅]LG생활건강의 해외진출 사례분석
[국제마케팅] 매일유업 해외진출 분석
[국제마케팅론]아모레퍼시픽의 해외진출사례
[국제마케팅]아가방의 해외진출 전략분석
[국제마케팅]현대자동차 해외진출 성공요인
[A+]피자헛(pizzahut) 마케팅전략/서론/자사분석/시장환경분석/고객만족경영/해외진출전략/경...
SK telecom [ SKT의 해외진출 실패 ] - skt해외진출실패사례,SKT의 중국과 미국 실패,이동통...
삼다수의 유럽진출 방안,삼다수,삼다수마케팅,삼다수마케팅전략,삼다수분석,삼다수기업분석,...
한국타이어, 글로벌 기업성공사례, 한국타이어 마케팅전략, 한국타이어 글로벌성공전략, 해외...
LG전자 백색가전 해외진출 마케팅전략분석과 LG전자 해외시장 성공요인분석 및 시사점 - 글로...
하이얼 Haier 해외진출전략분석과 하이얼의 글로벌 마케팅전략분석및 하이얼 미래전략제안및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