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장기이식 관리체계의 개요
2. 적용대상 장기의 종류
3. 적출 및 이식의 제한
4. 장기매매 금지
5. 살아있는 자로부터의 장기적출
6. 뇌사자 및 사망한 자로부터의 장기적출
7. 이식대상자의 선정
8. 생명윤리 위원회
9. 국립 장기 이식 관리기관
10. 장기이식 등록기관
11. 장기이식 의료기관
12. 뇌사 판정기관
2. 적용대상 장기의 종류
3. 적출 및 이식의 제한
4. 장기매매 금지
5. 살아있는 자로부터의 장기적출
6. 뇌사자 및 사망한 자로부터의 장기적출
7. 이식대상자의 선정
8. 생명윤리 위원회
9. 국립 장기 이식 관리기관
10. 장기이식 등록기관
11. 장기이식 의료기관
12. 뇌사 판정기관
본문내용
뇌사판정기관은 뇌사판정에 필요한 인력·시설·장비를 갖추고 뇌사판정위원회를 구성한 후 국립장기이식관리기관장에게 통보하고 업무를 수행.
뇌사판정위원회는 전문의 3인 이상을 포함한 7인∼10인의 위원으로 구성하고, 전문의 2인 이상을 포함한 재적의원 2/ 3이상 출석과 출석위원 전원 찬성으로 뇌사판정을 의결하며,뇌사판정의 공정성 확보를 위해 회의에는 의료인이 아닌 위원이 반드시 1인 이상 출석하여야 함.
뇌사판정은 가족(가족이 없는 경우는 진료 담당의사)의 신청에 의해 절차가 개시되며, 전문의사와 진료를 담당한 의사가 뇌사조사를 한 후 뇌사판정위원회에서 최종 판정을 함.
장기이식관리의 총괄기구로 국립의료원에 국립장기이식관리센타를 설치(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 KONOS)
국립장기이식관리센타는 장기를 이식받을 사람을 선정하고, 장기기증자 및 장기이식대기자에 관한 자료를 종합관리하며, 뇌사판정기관, 장기이식등록기관 및 장기이식의료기관에 대한 지도·감독업무를 수행.
장기이식에 관한 홍보 및 조사·연구, 정보·통계의 관리를 통해 장기기증의 활성화와 장기이식관리의 적정화를 추구한다.
뇌사판정위원회는 전문의 3인 이상을 포함한 7인∼10인의 위원으로 구성하고, 전문의 2인 이상을 포함한 재적의원 2/ 3이상 출석과 출석위원 전원 찬성으로 뇌사판정을 의결하며,뇌사판정의 공정성 확보를 위해 회의에는 의료인이 아닌 위원이 반드시 1인 이상 출석하여야 함.
뇌사판정은 가족(가족이 없는 경우는 진료 담당의사)의 신청에 의해 절차가 개시되며, 전문의사와 진료를 담당한 의사가 뇌사조사를 한 후 뇌사판정위원회에서 최종 판정을 함.
장기이식관리의 총괄기구로 국립의료원에 국립장기이식관리센타를 설치(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 KONOS)
국립장기이식관리센타는 장기를 이식받을 사람을 선정하고, 장기기증자 및 장기이식대기자에 관한 자료를 종합관리하며, 뇌사판정기관, 장기이식등록기관 및 장기이식의료기관에 대한 지도·감독업무를 수행.
장기이식에 관한 홍보 및 조사·연구, 정보·통계의 관리를 통해 장기기증의 활성화와 장기이식관리의 적정화를 추구한다.
추천자료
노인장기요양보험법, 노인장기요양제도에 대해 정리해서 보고서 작성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개요 및 독일의 장기요양보험제도를 통해서 본 문제점과 개선방안
노인장기요양법 및 노인장기요양제도 분석
[사회복지정책론]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현황과 문제점(우리나라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장기 기증 & 장기 매매에 대한 나의 생각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의 목적과 장기요양급여의 종류를 정리해보고, 순기능과 역기능에 대한 자...
[사회복지법제론]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해 논하시오 (장기요양)
[인간행동과사회환경] 노인장기요양보험서비스가 노인자신과 가족에게 미치는 긍정적, 부정...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해 설명하고, 향후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
우리나라 노인장기요양보험제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고 현행 장기요양보험제의 장점과 단점...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우리나라 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한 평가와 앞으로의 개선방향에 대하...
[노인복지]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도입배경과 현황, 기능과 역할을 정리해 보고, 현재 노인장...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하여 사회복지정책 분석틀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제도의 문제점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