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들어가며
2.단원별 소감
3.문제제기
4.닫으며...
2.단원별 소감
3.문제제기
4.닫으며...
본문내용
또한 반드시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4.닫으며...
-나의 삶에서,,,
얼마전 남북정상회담이 치러졌다. 많은 사람이 북한이라고 생각하면, 우리와는 도저히 이야기할 수 없는 나라. 그리고 김정일이라고 하면 인간의 탈을 쓴 괴물 정도로 생각해 왔던 것도 사실이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것은 약20년이 될 만큼이나 반공교육 속에 살아온 나도 마찬가지였다. 그런데, 사실은 북한도 우리와 똑같이 생긴 사람이 살아가는 우리나라의 땅이었고, 김정일 국방위원장 또한 서방세계에 알려진바와 같음 모습이 아니었다.
하지만, 이 '오래된 미래-라다크로부터 배운다.'를 읽고나서 생각해 보니, 우리가 북한에 대해 너무 일률적인 기준으로 접근한 것이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한 예를 들더라도 북한은 분명 사회주의 국가이고 우리나라는 자본주의 국가임에도 말이다. 우리가 자본주의 국가에 살고 있다고 하여서, 북한마저도 이러한 자본주의적인 기준으로 판단하지 않았을까?라는 반성이 들었다.
또 다른 대상을 존중하는 것은 다름이 아닐 듯 하다. 바로 그들이 살고 있는 상황과 조건을 기반으로 판단하는것! 하지만 우리는 우리의 기준에 나 이외의 대상을 억지로 짜맞추어서 판단하는 것에 익숙하지 않았나 생각해 보았다.
통일을 생각하게 되는 시기에, 통일을 진정으로 원한다면 우리 남과 북이 진정으로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바로 서로를 존중하는것 현실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어설프게 나의 기준으로 그들을 판단하려 하지 말고 말이다.
다른 대상은 다른 기준으로! 바로 이 '오래된 미래'가 나에게 가르쳐준 조언이다.
4.닫으며...
-나의 삶에서,,,
얼마전 남북정상회담이 치러졌다. 많은 사람이 북한이라고 생각하면, 우리와는 도저히 이야기할 수 없는 나라. 그리고 김정일이라고 하면 인간의 탈을 쓴 괴물 정도로 생각해 왔던 것도 사실이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것은 약20년이 될 만큼이나 반공교육 속에 살아온 나도 마찬가지였다. 그런데, 사실은 북한도 우리와 똑같이 생긴 사람이 살아가는 우리나라의 땅이었고, 김정일 국방위원장 또한 서방세계에 알려진바와 같음 모습이 아니었다.
하지만, 이 '오래된 미래-라다크로부터 배운다.'를 읽고나서 생각해 보니, 우리가 북한에 대해 너무 일률적인 기준으로 접근한 것이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한 예를 들더라도 북한은 분명 사회주의 국가이고 우리나라는 자본주의 국가임에도 말이다. 우리가 자본주의 국가에 살고 있다고 하여서, 북한마저도 이러한 자본주의적인 기준으로 판단하지 않았을까?라는 반성이 들었다.
또 다른 대상을 존중하는 것은 다름이 아닐 듯 하다. 바로 그들이 살고 있는 상황과 조건을 기반으로 판단하는것! 하지만 우리는 우리의 기준에 나 이외의 대상을 억지로 짜맞추어서 판단하는 것에 익숙하지 않았나 생각해 보았다.
통일을 생각하게 되는 시기에, 통일을 진정으로 원한다면 우리 남과 북이 진정으로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바로 서로를 존중하는것 현실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어설프게 나의 기준으로 그들을 판단하려 하지 말고 말이다.
다른 대상은 다른 기준으로! 바로 이 '오래된 미래'가 나에게 가르쳐준 조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