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결핵 Tuberculosis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정의

Ⅱ. Incidence

Ⅲ. Etiology

Ⅳ. Pathogenesis

Ⅴ. Transmission

Ⅵ. Pathology

Ⅶ. Mode of spread

Ⅷ. Classification

Ⅸ. Primary tuberculosis (childhood Tbc)

Ⅹ. Reactivation Tuberculosis
...

본문내용

하는 데 그 원인으로는 약제 투여가 불규칙적 하거나 감수성 약제로 대치하여야한다.
일반적으로 3개월이상 객담배양 양성이면 치료 실패를 의미하고 3개월후 객담결핵균 배양 음성, 도말 양성이면 사멸된 결핵균이 검출됨을 시사해주며, 치료 5개월 후에도 도말 양성이면 치료 실패를 의미한다.
치료완료후 치유판정은 객담 검사에 의하여 확인되어야 하고 재발은 대부분 치료완료후 6-12개월 이내에 대개 1-2%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6개월 간격으로 2회 추적검사가 필요하다.
또한 일단 균음전후 치유된 것으로 판정된 환자가 재발할 때는 대개는 감수성 균이기 때문에 과거에 사용하였던 약제를 다시 투여한다.
대부분의 폐결핵환자는 발열, 기침과 객담, 피로, 체중감소, 식욕감퇴를 나타내는데 효과적인 화학요법으로 1개월 이내에 증상의 개선을 보일 수 있으나 때로는 발열이 3개월이나 계속되는 경우도 있다.
항결핵요법의 효과를 판정하는 흉부 X-선 소견은 객담검사보다는 덜 중요하다. 그러나 적어도 3개월 간격으로 추적 관찰이 필요하고 임상상태의 변화가 있을 때와 치료완료시 흉부X-선 촬영을 해야한다. 3개월 치료후 흉부 X-선상 개선을 보일 때에는 현재 활동성 결핵을 의미하고 예정된 치료기간을 완료하여야 한다.
항결핵 요법을 시행중인 환자의 병변이 흉부X-선상 더 악화될 때에는 결핵이외의 다른 원인을 고려해 보아야 한다.
5. 결론
다약제 내성환자의 치유율이 낮으므로 폐결핵 환자의 치료는 초치료가 결핵치료의 성패를 좌우한다. 초치료시에 6개월-9개월 단기요법을 철저히 시행함으로써 내성균 환자의 발생을 방지하여 치료효율을 높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ⅩⅣ. Atypical mycobacteria
Nontuberculous mycobacteria (NTM)
Mycobacteria other than Tubercle bacilli (MOTT)
Potentially pathogenic environmental mycobacteria (PPEM)
비결핵 마이코박테리움의 분류
지연발육 병원성균(slowly growing potential pathogens)
1. M. kansasii
2. M. avium-intracellulare
3. M. scrofulaceum MAIS complex
4. M. xenopi
5. M. marium
6. M. szulgai
7. M. simiae
지연발육 비병원성균(slowly growing non-pathogens)
1. M. gordonae
2. M. gostri
3. M. terrae complex
4. M. flavescens
신속발육 병원성균(rapidly growing potential pathogens)
1. M. fortuitum
2. M. chelonei fortuitum complex
신속발육 병원성균(rapidly growing non-pathogens)
1. M. smegmatis
2. M. vaccae
3. M. parafortuitum complex
1. Microbiology
Timpe and Runyon
(1) slower grower (> 7 days)
Photochromogens (groups Ⅰ) : light 後 yellow or orange
Scotochromogens (groups Ⅱ) : dark or light pigmented
Nonchromogens (Group Ⅲ) : grow slowly and lack pigment
(or nonphotochromogens)
(2) Rapid grower (group IV) : 3-5 day 이내에 growing
2. Epidemiology
· isolated from ground or tap water, soil, house dust, domestic and wild animals, birds
· Infection from inhalation, direct inoculation, ingestion
Not contagious
Person-to-person transmission - extremely rare
3. Pathophysiology
· Less virulent
· Tissue invasion with impaired local or systemic host defenses
· Slowly progressive
· Histopathologic findings - Tbc와 비슷
· Highly resistant to conventional antituberculous drugs
4. Diagnosis
1) NTM disease in cavitary infiltrate on CXR
(1) 2 or more sputum - smear positive for AFB
(2) excluded fungal disease. Tbc, malignancy
(3) bronchial hygiene 이나 2 weeks의 antiTbc Tx 에도 sputum culture 가 negative로 안될 때
2) Extrapulmonary or disseminated disease에서 organism이 isolate될 때
Mycobacterium avium-intracellulare or M. avium complex (MAC)
M. avium
M. intracellulare
MAC : 80% of NTM lymphadenitis(cervical)
M. scrofulaceum : 20% of cervical lymphadenitis
Tx. : excisional therapy (95%)
Extrapulm. or disseminated disease - 40% of AIDS
AIDS : CD+4 T cell < 100 cells → Rifabutin (300mg daily)
Symptoms
fever, weight loss, abdominal pain, diarrhea, hepatosplenomegaly
generalized LAP with mediastinal LAP
M. Kansasii
Photochromogen
Second among NTM
INH, RIF, EMB - 어느 정도 effect

키워드

lung,   결핵,   전염,   항결핵,   주사,   화학
  • 가격1,5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4.03.07
  • 저작시기2004.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41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