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청조의 한인 및 만인에 대한 정책
2.청의 통치정책
3.정치제도 및 통치 조직
4.열하일기 중 청의 대내 정치
5.주변 제 민족에 대한 청의 대외 정책에 관한 정책
6. 열하일기 중 청의 대외 정책에 대한 관찰
2.청의 통치정책
3.정치제도 및 통치 조직
4.열하일기 중 청의 대내 정치
5.주변 제 민족에 대한 청의 대외 정책에 관한 정책
6. 열하일기 중 청의 대외 정책에 대한 관찰
본문내용
있다.
라. <審勢編>에서도 연암은 청조의 대내외 정치적 상황을 살폈는데, 강희제가 중원의 안정을 위해 여섯 번이나 남방을 巡狩하여 은근히 청조에 반감을 품은 호걸들을 억제하였고, 지금 황제도 다섯 번이나 순수한 사실을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천하의 우환은 항상 북쪽의 오랑캐에 있으므로 열하에 몽고의 대군을 주둔시켰고, 서번이 굳세고 사납지만 황교를 몹시 두려워하는지라 황제가 황교의 풍습을 좇아 몸소 그 법사를 맞아다가 왕으로 봉하여 그 세력을 분산시켰으니 이것은 청인이 사방을 제어하는 교묘한 술책이라고 하였다. 겉으로 볼 때 청나라는 안정된 사회를 구가하고 있는 듯하지만, 그 내면을 들여다보면 이렇게 외민족의 침입에 대한 걱정, 한인과 만인의 갈등, 도덕적인 타락 등에 대해 청조의 근심이 큰 것을 연암은 직시하였다.
<참고>
※토번
-7세기 초에서 9세기 중엽까지 활동한 티베트왕국 및 티베트인(人)에 대한 당(唐) ·송(宋)나라 때의 호칭.
티베트인들은 스스로를 보에(Bod)라고 불렀으나 중국 사람들은 이들을 토번이라 칭했으며 이 호칭은 티베트왕국이 망한 후에도 14세기 무렵까지 사용되었다.
※후이족 [ 回族(회족) ]
-중국 내에 거주하며 이슬람교를 신봉하는 소수민족.
인구 약 862만(1990). 7세기경부터 중국에 들어간 아라비아인이 오랫동안 한족(漢族)과 혼혈되어, 한어(漢語)를 전적으로 쓰게 되어 한화도(漢化度)가 높은 이슬람교를 믿는 집단을 형성하였다. 생활 전체를 규제하는 엄격한 계율을 가진 이슬람교 신앙 때문에 한족과 구별되어 회회(回回) ·회자(回子) ·회민(回民) 등으로 불렸다.
라. <審勢編>에서도 연암은 청조의 대내외 정치적 상황을 살폈는데, 강희제가 중원의 안정을 위해 여섯 번이나 남방을 巡狩하여 은근히 청조에 반감을 품은 호걸들을 억제하였고, 지금 황제도 다섯 번이나 순수한 사실을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천하의 우환은 항상 북쪽의 오랑캐에 있으므로 열하에 몽고의 대군을 주둔시켰고, 서번이 굳세고 사납지만 황교를 몹시 두려워하는지라 황제가 황교의 풍습을 좇아 몸소 그 법사를 맞아다가 왕으로 봉하여 그 세력을 분산시켰으니 이것은 청인이 사방을 제어하는 교묘한 술책이라고 하였다. 겉으로 볼 때 청나라는 안정된 사회를 구가하고 있는 듯하지만, 그 내면을 들여다보면 이렇게 외민족의 침입에 대한 걱정, 한인과 만인의 갈등, 도덕적인 타락 등에 대해 청조의 근심이 큰 것을 연암은 직시하였다.
<참고>
※토번
-7세기 초에서 9세기 중엽까지 활동한 티베트왕국 및 티베트인(人)에 대한 당(唐) ·송(宋)나라 때의 호칭.
티베트인들은 스스로를 보에(Bod)라고 불렀으나 중국 사람들은 이들을 토번이라 칭했으며 이 호칭은 티베트왕국이 망한 후에도 14세기 무렵까지 사용되었다.
※후이족 [ 回族(회족) ]
-중국 내에 거주하며 이슬람교를 신봉하는 소수민족.
인구 약 862만(1990). 7세기경부터 중국에 들어간 아라비아인이 오랫동안 한족(漢族)과 혼혈되어, 한어(漢語)를 전적으로 쓰게 되어 한화도(漢化度)가 높은 이슬람교를 믿는 집단을 형성하였다. 생활 전체를 규제하는 엄격한 계율을 가진 이슬람교 신앙 때문에 한족과 구별되어 회회(回回) ·회자(回子) ·회민(回民) 등으로 불렸다.
추천자료
미국통상정책
중국의 외교정책과 외교
중국의 동북아정책과 우리의 대응
1980년대 북한의 개혁.개방정책
블레어의 정책과 이념, 그것을 실현해 나가는 방식과 현재 영국과 세계를 이끌어나가는 지도...
[중국경제][중국의 경제][중국 경제발전 특징][중국 경제발전전략][중국경제 현황][중국 경제...
개혁개방시기 중국의 대 한반도정책과 한국의 대응전략
제1공화국의 외교정책
주요국의 통상정책과 우리나라 대응방안
중국 5세대 지도부, 세대별 지도부의 흐름, 전망, 보시라이의 추락, 정책방향, 대외관계, 전...
한국사 정리 - 근대사편
미국의 지역주의 정책과 국제통상관계의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