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머리글
2.`되다` 동사
3.`받다` 동사
4.`당하다` 동사
5.`되다`, `받다`, `당하다`의 피동성
6. 맺음말
2.`되다` 동사
3.`받다` 동사
4.`당하다` 동사
5.`되다`, `받다`, `당하다`의 피동성
6. 맺음말
본문내용
개념인 능동을 표현한다. 왜냐하면 주어의 능동적 의지와 행동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편 '받다'와 어울리는 작용성 명사는 타동성 명사로 제한되므로 이런 용례들의 경 우 피동 표현이 되기에 충분하다.
그 친구가 병역 면제를 받았다.
우리학회도 똑같은 공격을 받았다.
⑶ '당하다'의 경우:
동사 '당하다'의 어원적 의미는 피동과 무관하다. (當하다 : 닿아서 만나다, 처하다-동아 새국어 사전) 그러나 '당하다'는 본질적으로 능동성이 결여되어 있고 이 점에서 피동과 유사하다.
오과장은 제안서를 그대로 반려당했다.
여기에서 '당하다'는 그 비능동성으로 말미암아 피동주가 주어로 실현되고 이에 따라 이들은 분명한 피동 표현이 된다.
6. 맺음말 -p.163
지금까지 살펴본 '되다, 받다, 당하다' 세 동사는 기본 의미 그 자체는 피동이 될 수 없으나 일정한 성격의 타동성 체언과 함께 쓰일 경우 이들 체언의 의미와 세 동사의 의미가 서로 어울림으로써 피동이 표현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 내용을 다음의 표로 요약하여 나타냄으로써 글을 맺는다.
기본 의미
작용성 체언 제약 및 주어제약
피동성과의 관계
인물주어
사물주어
1.되다
일정 상태의
완성
결과상을 나타내는 체언과만 결합가능
제약 발견 안됨
타동성을 나타내는 체언과 결합할 경우 피동성이 성립
2.받다
외부로부터 영향이 미쳐옴
작용성 체언의 경우 타동성 체언과만 결합 가능
불가
타동성을 나타내는 체언과만 결합해 피동 성이 성립
3.당하다
원치 않는 상황에 직면함
기본 의미 제약 외 제약 없음
불가
타동성을 나타내는 체언과 결합할 경우 피동성이 성립
그러나 한편 '받다'와 어울리는 작용성 명사는 타동성 명사로 제한되므로 이런 용례들의 경 우 피동 표현이 되기에 충분하다.
그 친구가 병역 면제를 받았다.
우리학회도 똑같은 공격을 받았다.
⑶ '당하다'의 경우:
동사 '당하다'의 어원적 의미는 피동과 무관하다. (當하다 : 닿아서 만나다, 처하다-동아 새국어 사전) 그러나 '당하다'는 본질적으로 능동성이 결여되어 있고 이 점에서 피동과 유사하다.
오과장은 제안서를 그대로 반려당했다.
여기에서 '당하다'는 그 비능동성으로 말미암아 피동주가 주어로 실현되고 이에 따라 이들은 분명한 피동 표현이 된다.
6. 맺음말 -p.163
지금까지 살펴본 '되다, 받다, 당하다' 세 동사는 기본 의미 그 자체는 피동이 될 수 없으나 일정한 성격의 타동성 체언과 함께 쓰일 경우 이들 체언의 의미와 세 동사의 의미가 서로 어울림으로써 피동이 표현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 내용을 다음의 표로 요약하여 나타냄으로써 글을 맺는다.
기본 의미
작용성 체언 제약 및 주어제약
피동성과의 관계
인물주어
사물주어
1.되다
일정 상태의
완성
결과상을 나타내는 체언과만 결합가능
제약 발견 안됨
타동성을 나타내는 체언과 결합할 경우 피동성이 성립
2.받다
외부로부터 영향이 미쳐옴
작용성 체언의 경우 타동성 체언과만 결합 가능
불가
타동성을 나타내는 체언과만 결합해 피동 성이 성립
3.당하다
원치 않는 상황에 직면함
기본 의미 제약 외 제약 없음
불가
타동성을 나타내는 체언과 결합할 경우 피동성이 성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