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개요
2.QAM
3.CAP
4.DMT
5.마치며
2.QAM
3.CAP
4.DMT
5.마치며
본문내용
M이 사용되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 각각의 톤에는 자신의 대역에서 사용 가능한 최대한의 QAM Size가 선정되어 통신하며 이 각각의 신호가 독립적으로 작동되므로 신호가 약하게 되더라도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 4KHz의 대역폭을 가진 256개의 서브채널이 존재하며 이 서브체널들은 자신의 전송 주파수를 가지게 된다.
● 다음 그림은 이들을 나타낸다.
POTS
4 KHz
32 QAM
Bits/Tone
crosstalk
외부환경요인
사용
불가
Tone
frequancy
● DTM은 이렇게 사용 주파수 대역을 고속 푸리에 전환(FFT)를 이용하여 여러개의
부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고 각 부 주파수 대역별로 각각의 데이터를 변조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
○ 참고 : 고속 푸리에 변환( FFT : Fast Fourier Transform )
- DFT ( Direct Fourier Transform ) 매우 빠른 속도로 계산할수 있는 알고리즘
● 각 톤은 회선의 상태에 많은 영향을 받으나 현재 DMT기술의 발전에 의해 영향을 덜
받고 있다.
● DMT에서는 각각의 톤을 구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그 방법으로는 각각의 톤을
전송한 후 톤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일정한 신호를 보내는 방식을 채택한다. 각각의
톤을 자동적으로 찾아준다면 좋겟지만 아직은 기술적으로 부족하다.
● DMT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 다양한 회선에 따라 다양한 속도의 서비스가 가능하다.
○ 각각의 톤은 독립적이므로 모뎀간 설정시 각 구간마다의 파워의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QAM Size의 적절한 선택으로 속도를 제공한다.
● DMT의 단점은 다음과 같다.
○ 기술적으로 복잡하다.
○ 초기 모뎀간의 설정 시간이 오래 걸린다.
○ 에러 체크가 복잡하다.
■ 마치며...
● 이상으로 ADSL의 변조 방식에 대해서 기술해 보았다.
● 조사결과 따로이 복조 시스템에 대해 자세히 언급된 문헌은 찾기가 어려웠으며,
여기서도 어렴풋이 변조의 반대로 복구한다고 생각하고 그 자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 여기서는 단순히 ADSL의 이론적 변조 방식들만을 기술 하였고, 각각에 대한 System
분석 및 서술은 하지 않았다.
● 끝으로 조사한 문헌에 대해 100% 이해를 하지 못하여 생략한 부분도 있고, 또 대략
기술만 한것도 있으나 이번 조사를 통해 꼭 ADSL 변조 방식이 아닌 전체적인 디지털
변조 방식의 지식을 넓히는데 도움이 되었다.
● 각각의 톤에는 자신의 대역에서 사용 가능한 최대한의 QAM Size가 선정되어 통신하며 이 각각의 신호가 독립적으로 작동되므로 신호가 약하게 되더라도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 4KHz의 대역폭을 가진 256개의 서브채널이 존재하며 이 서브체널들은 자신의 전송 주파수를 가지게 된다.
● 다음 그림은 이들을 나타낸다.
POTS
4 KHz
32 QAM
Bits/Tone
crosstalk
외부환경요인
사용
불가
Tone
frequancy
● DTM은 이렇게 사용 주파수 대역을 고속 푸리에 전환(FFT)를 이용하여 여러개의
부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고 각 부 주파수 대역별로 각각의 데이터를 변조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
○ 참고 : 고속 푸리에 변환( FFT : Fast Fourier Transform )
- DFT ( Direct Fourier Transform ) 매우 빠른 속도로 계산할수 있는 알고리즘
● 각 톤은 회선의 상태에 많은 영향을 받으나 현재 DMT기술의 발전에 의해 영향을 덜
받고 있다.
● DMT에서는 각각의 톤을 구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그 방법으로는 각각의 톤을
전송한 후 톤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일정한 신호를 보내는 방식을 채택한다. 각각의
톤을 자동적으로 찾아준다면 좋겟지만 아직은 기술적으로 부족하다.
● DMT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 다양한 회선에 따라 다양한 속도의 서비스가 가능하다.
○ 각각의 톤은 독립적이므로 모뎀간 설정시 각 구간마다의 파워의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QAM Size의 적절한 선택으로 속도를 제공한다.
● DMT의 단점은 다음과 같다.
○ 기술적으로 복잡하다.
○ 초기 모뎀간의 설정 시간이 오래 걸린다.
○ 에러 체크가 복잡하다.
■ 마치며...
● 이상으로 ADSL의 변조 방식에 대해서 기술해 보았다.
● 조사결과 따로이 복조 시스템에 대해 자세히 언급된 문헌은 찾기가 어려웠으며,
여기서도 어렴풋이 변조의 반대로 복구한다고 생각하고 그 자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 여기서는 단순히 ADSL의 이론적 변조 방식들만을 기술 하였고, 각각에 대한 System
분석 및 서술은 하지 않았다.
● 끝으로 조사한 문헌에 대해 100% 이해를 하지 못하여 생략한 부분도 있고, 또 대략
기술만 한것도 있으나 이번 조사를 통해 꼭 ADSL 변조 방식이 아닌 전체적인 디지털
변조 방식의 지식을 넓히는데 도움이 되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