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대류권과 성층권의 특성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고, 대기 오염분야에서 주로 이 두 권역에 대하여 관심을 두고 대기의 질을 모니터링 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 하시오.
2. 25℃, 1기압(atm)의 대기 중 이산화 질소(NO2)의 농도가 61 PPb일 때 20m3의 공간에 존재 하는 NO2의 질량(mg)을 구하는 과정을 자세히 기술 하시오.
3. 이탈리아 세베소(Seveso)에서 발생된 다이옥신(Dioxin) 유출 사건의 원인과 경과 및 피해에 대해 기술하시오.
참고문헌
1. 대류권과 성층권의 특성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고, 대기 오염분야에서 주로 이 두 권역에 대하여 관심을 두고 대기의 질을 모니터링 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 하시오.
2. 25℃, 1기압(atm)의 대기 중 이산화 질소(NO2)의 농도가 61 PPb일 때 20m3의 공간에 존재 하는 NO2의 질량(mg)을 구하는 과정을 자세히 기술 하시오.
3. 이탈리아 세베소(Seveso)에서 발생된 다이옥신(Dioxin) 유출 사건의 원인과 경과 및 피해에 대해 기술하시오.
참고문헌
본문내용
않았다.
이탈리아 북부 롬바르디아주에 위치한 도시인 세베소의 스위스의 제약회사인 익메사 공장에서는 트리클로페놀이라는 화학물질을 의료용 비누 생산을 위해 생산했습니다. 1976년에 이 익메사의 공장에서 반응기 내부의 과도한 압력으로 인하여 안전 벨브가 열리고 말았다. 그리고 반응기 내부에 있었던 많은 유독성 화학물질은 대기로 방출되었다. 누출되었던 유독가스 중에는 굉장히 위험한 염소가스가 많은 양 포함되어 있었다. 이뿐만 아니라 다이옥신 2kg도 함유되어 있었다. 이러한 다이옥신과 염소가스 등의 화학물질의 누출은 냉각시설이 작동되기 전까지 계속되었다. 이 누출은 한 시간이 넘었으며 이로 인한 독성 구름이 세베소와 그 인근 지역 5킬로미터 이내의 총 11개의 마을로 퍼져 나갔다. 누출되었던 화학물질 속에 함유되어 있었던 염소 가스는 인근 주민들에게 화상을 입히고 심각한 피부병을 걸리게 했다. 이 사고로 인하여 3만 명이 넘는 어린이들을 조사한 결과 180명이 넘는 어린이들이 염소가스로 인하여 피부병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건 발생한 후에는 지금의 EU의 전신인 EC에서 1982년에 세베소지침을, 1996년에는 위험물질이 포함되는 주요한 사고 피해 통제에 관한 지침을 만들기 시작했다. 세베소 지침이란 공정상 잠재 위험지역을 확인하여 사고가 발생 했을 시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대형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할 수 있는 모든 조치를 하도록 정해 놓은 기준을 일컫는다. 유럽연합에서는 이러한 이탈리아 세베소 누출사고를 계기로 세베소지침을 1984년에 제정하였다. 그 후 1988년까지 이 규정이 EU의 각 나라에서 자국의 법에 반영이 되도록 제도화 하는 것을 의무화했다. 하지만 세베소지침이 제도화 된 이후에도 중대산업 사고는 300건이 넘게 발생하였다. 따라서 세베소 지침을 업그레이드 한 세베소지침 II을 만들었다.
C) 피해 및 영향
피해 영향으로 사망자는 없었으나 약 200명이 경상을 입었고 특히 어린이가 피해를 입었는데 염소가스로 화상을 입은 것과 같은 피부병에 감염되었다. 약 1천 8백 ha에 이르는 지역이 오염되고, 가축 8만 3천 마리를 도살 시켰다. 이 사고에 의한 직접적인 경제적 손실은 약 2억 5천만 달러로 추산되었다. 누출이 시작된 지 6일 만에 12명이 어린이가 입원하였으며, 그 후 3만 2000여명의 어린이를 조사한 결과 187명이 염소가스로 화상을 입은 것과 같은 피부병(chloracne)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누출 후 처음 1년간 135건의 피해가 보고되고, 누출된 화학물질 속에 포함된 다이옥신 때문에 1,800헥타르의 토양이 60cm 깊이까지 오염되어, 직접적인 재산 피해는 약 2억 5,000만 달러로 추산되고 있다.
D) 사고 이후 제도형성
긴급대피 조치로 주민들은 이 지역을 떠났고 대기가 회복된 후에도 토양에 잔류하
는 다이옥신의 독성 때문에 이 지역에 대한 접근이 금지되었다.그 후 대대적인 정
화작업이 이루어진 후 일부 주민들은 복귀하였으나 세베소는 여전히 폐쇄된 마을로
남아있다. 이 사건 후 1년 후인 1977년 과일이나 곡식에서 다이옥신의 오염농도를 조사한 결과 검출되지는 않았으나, 과일의 껍질에서는 100pg/g정도로 검출된 바 있다. 이 사고로 사고피해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여러 가지 행정적, 기술적 조치를 취하였으며 EU의 경우 세베소 지침(SEVESO Directive)을 마련하였다.세베소지침에 대해서는 외국의 안전관리제도에서 자세하게 다룰 예정이다. 이 제도는 환경보호를 위해 위험물질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고, 인간과 환경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참고문헌
대기오염관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이탈리아 북부 롬바르디아주에 위치한 도시인 세베소의 스위스의 제약회사인 익메사 공장에서는 트리클로페놀이라는 화학물질을 의료용 비누 생산을 위해 생산했습니다. 1976년에 이 익메사의 공장에서 반응기 내부의 과도한 압력으로 인하여 안전 벨브가 열리고 말았다. 그리고 반응기 내부에 있었던 많은 유독성 화학물질은 대기로 방출되었다. 누출되었던 유독가스 중에는 굉장히 위험한 염소가스가 많은 양 포함되어 있었다. 이뿐만 아니라 다이옥신 2kg도 함유되어 있었다. 이러한 다이옥신과 염소가스 등의 화학물질의 누출은 냉각시설이 작동되기 전까지 계속되었다. 이 누출은 한 시간이 넘었으며 이로 인한 독성 구름이 세베소와 그 인근 지역 5킬로미터 이내의 총 11개의 마을로 퍼져 나갔다. 누출되었던 화학물질 속에 함유되어 있었던 염소 가스는 인근 주민들에게 화상을 입히고 심각한 피부병을 걸리게 했다. 이 사고로 인하여 3만 명이 넘는 어린이들을 조사한 결과 180명이 넘는 어린이들이 염소가스로 인하여 피부병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건 발생한 후에는 지금의 EU의 전신인 EC에서 1982년에 세베소지침을, 1996년에는 위험물질이 포함되는 주요한 사고 피해 통제에 관한 지침을 만들기 시작했다. 세베소 지침이란 공정상 잠재 위험지역을 확인하여 사고가 발생 했을 시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대형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할 수 있는 모든 조치를 하도록 정해 놓은 기준을 일컫는다. 유럽연합에서는 이러한 이탈리아 세베소 누출사고를 계기로 세베소지침을 1984년에 제정하였다. 그 후 1988년까지 이 규정이 EU의 각 나라에서 자국의 법에 반영이 되도록 제도화 하는 것을 의무화했다. 하지만 세베소지침이 제도화 된 이후에도 중대산업 사고는 300건이 넘게 발생하였다. 따라서 세베소 지침을 업그레이드 한 세베소지침 II을 만들었다.
C) 피해 및 영향
피해 영향으로 사망자는 없었으나 약 200명이 경상을 입었고 특히 어린이가 피해를 입었는데 염소가스로 화상을 입은 것과 같은 피부병에 감염되었다. 약 1천 8백 ha에 이르는 지역이 오염되고, 가축 8만 3천 마리를 도살 시켰다. 이 사고에 의한 직접적인 경제적 손실은 약 2억 5천만 달러로 추산되었다. 누출이 시작된 지 6일 만에 12명이 어린이가 입원하였으며, 그 후 3만 2000여명의 어린이를 조사한 결과 187명이 염소가스로 화상을 입은 것과 같은 피부병(chloracne)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누출 후 처음 1년간 135건의 피해가 보고되고, 누출된 화학물질 속에 포함된 다이옥신 때문에 1,800헥타르의 토양이 60cm 깊이까지 오염되어, 직접적인 재산 피해는 약 2억 5,000만 달러로 추산되고 있다.
D) 사고 이후 제도형성
긴급대피 조치로 주민들은 이 지역을 떠났고 대기가 회복된 후에도 토양에 잔류하
는 다이옥신의 독성 때문에 이 지역에 대한 접근이 금지되었다.그 후 대대적인 정
화작업이 이루어진 후 일부 주민들은 복귀하였으나 세베소는 여전히 폐쇄된 마을로
남아있다. 이 사건 후 1년 후인 1977년 과일이나 곡식에서 다이옥신의 오염농도를 조사한 결과 검출되지는 않았으나, 과일의 껍질에서는 100pg/g정도로 검출된 바 있다. 이 사고로 사고피해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여러 가지 행정적, 기술적 조치를 취하였으며 EU의 경우 세베소 지침(SEVESO Directive)을 마련하였다.세베소지침에 대해서는 외국의 안전관리제도에서 자세하게 다룰 예정이다. 이 제도는 환경보호를 위해 위험물질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고, 인간과 환경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참고문헌
대기오염관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추천자료
대기오염관리 ) ‘대기오염관리’ 동영상 강의 1~6강에 대하여 각 강의에서 한 가지 주제를 선정
2021년 중간과제물 대기오염관리
대기오염관리
실내공기오염관리] 1. ‘이상 기체 방정식’의 의미를 설명하고 관련 연습 문제 한 개를 만든 ...
대기오염관리 시정 장애를 램버트-비어 법칙과 연관지어 설명하시오
대기오염관리 우리나라 환경정책기본법의 대기환경기준에 명시된 가스상 오염물질에 대하여 ...
대기오염관리] 1. 25℃, 1기압(atm)의 대기 중 이산화 탄소()의 농도가 400ppm일 때, 의 공간...
[보건환경] 3학년 대기오염관리 중간과제물
방통대중간 대기오염관리 대류권과 성층권의 특성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고 대기 오염 분야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