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기 전에...깨끗한 물이 건강을 지켜줍니다.
2. `물 쓰듯` 쓸 수 없는 물 `귀중한 자원`
3. 수질오염이란...
4. 수질오염을 줄이기 위한 작은 실천
2. `물 쓰듯` 쓸 수 없는 물 `귀중한 자원`
3. 수질오염이란...
4. 수질오염을 줄이기 위한 작은 실천
본문내용
120
240
오렌지주스
62500
78100
1530
260
마쪼니
114000
124100
7200
570
5) 하천에서는 세차를 하거나 오물을 버리지 맙시다.
일반적으로 물은 깨끗한 정도에 따라 등급이 나누어 집니다. 열목어, 버들치등 이름도 아름다운 물고기들이 헤엄쳐 다니고, 우리들이 안심하고 식수로 쓸 수 있도록 우리의 강물을 맑게 지켜야 합니다.
1등급은 BOD가 1㎎/ 이하인 물로서 바닥의 모래알이나 자갈까지 잘 들여다 보입니다. 열목어 산천어 버들치 금강모치 등이 살며 바닥에 해감(물 속에 가라앉은 찌꺼기)이 없습니다.
2등급은 BOD가 3㎎/ 이하인 물로서 미역을 감을 수 있는 물이며, 냄새가 나지 않습니다. 해감이 없고 은어 피라미 쏘가리 다슬 기가 많이 살고 있습니다. 그러나 열목어는 살기가 곤란하지요.
3등급은 BOD가 6㎎/ 이하인 물로서 냄새는 나지만 심하지 않으며 누런색의 해감이 있습니다. 붕어 잉어 미꾸라지 메기 뱀장어 등이 살고 있습니다.
4등급은 BOD가 8㎎/ 이하인 물로서 실지렁이나 모기의 애벌레는 살 수 있지만 물고기가 살기는 어렵습니다.
하천은 우리 모두의 생명이자 젖줄입니다. 따라서 깨끗한 하천을 유지하는 것은 곧 우리 모두의 식수원을 보호하는 일입니다. 근래 국민생활 수준이 크게 향상되어 주말이면 강이나 산으로 나들이 다니는 행락객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러한 행락객 중에는 자동차를 하천 주변에 세워놓고 세차를 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강에서 세차를 하면 자동차에 묻어있는 각종 기름찌꺼기, 세제, 오물 등이 강물에 그대로 흘러 들어 수질오염을 가중시킵니다. 또 빈병, 깡통, 걸레 등의 쓰레기 등을 버림으로써 하천을 더럽히게 되고 결국 그 물을 우리가 마시게 됩니다. 이는 공장폐수를 방류하는 강을 오염시키는 행위와 조금도 다름이 없는 행위입니다. 개울은 큰 강의 실핏줄이며 우리의 젖줄이자 식수원입니다. 하천을 보호해 식수원도 지키고 우리들의 아름답던 동심도 지킵시다.
♣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
하천에서는 세차를 하지 맙시다.
강이나 시냇가에서 용변을 보지 맙시다.
물고기를 잡으러 갈 때에는 도시락을 준비하고 자기 쓰레기는 지정된 쓰레기장에 버리거 나 되가져 옵시다.
기업은 폐수배출시설의 최종방류구를 개방합시다.
기업은 무분별한 지하수개발을 자제하고 폐공에 대한 사후관리를 철저히 합시다.
하천에서의 세차 등 환경오염행위를 발견하였을 때에는 시청 환경보호과(☎ 615-2121) 의 공해신고센터로 신고해 더 큰 오염을 방지합시다.
6) 샴푸의 양을 지금의 양보다 1/5 줄여서 씁시다.
환경적인 측면에서 보면 린스와 샴푸는 물에 잘 분해가 되지 않는데다 그 거품이 강물을 뒤덮게 되면 산소가 공급되지 않아 하천의 물이 썩게되며 또한 샴푸와 린스를 많이 쓰면 헹구는데 많은 물이 낭비가 됩니다. 머리를 감을 때도 비누로 감은 후 식초 몇 방울을 떨어뜨려 헹구면 머리카락이 부드러워집니다. 혹은 미지근한 물에 오일을 몇 방울 떨어뜨려도 부드러워집니다.
<<가정에서의 수질 오염 방지법 12가지>>
1)주방
기름기 묻은 그릇은 휴지로 닦아낸 후 물로 세척합니다.
주방 오물 분쇄기를 사용하지 맙시다. 이것을 쓰면 물이 크게 오염됩니다.
샴프와 린스는 적게 사용합니다. 샴프나 린스를 많이 쓰면 헹구는 데에도 많은 물이 낭비되고, 잘 분해되지 않아 물을 오염시킵니다.
2)화장실
가정용수의 1/3이 수세식 화장실에 이용되고 있는데 각 가정에서 1.5리터 용 프라스틱 음료수 병 1개에 물을 채워 변기 물탱크에 넣어 두면 1년에 약 4,500만 톤의 물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3)수도꼭지 누수
수도꼭지에서 한 방울 씩 떨어지는 물이 20분 안에 한 병 정도를 채운다면 1년에 6,000l의 물을 낭비하게 됩니다. 이는 1명이 매년 소비하는 양의 1/3 수준이며 하루에 45명이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양과 같습니다.
4)수도꼭지
수돗물을 틀어놓고 자리를 비우지 말고 양치질을 할 때에는 물 한 컵만 사용하고 세면 시에는 세면대에 물을 받아 사용합니다.
5)접시세척기
접시세척기는 사용 년 수에 따라 다르지만 저녁식사 후 12분 동안 세척하기 위해서는 20 - 40리터의 물이 소요됩니다. 따라서 접시세척기를 사용할 때에는 접시를 최대한 채워서 세척하도록 합니다.
6)조리대
수돗물을 틀어놓고 자리를 비우지 말고, 채소나 더러운 식기를 씻을 때에는 물을 그릇에 따로 받아 사용하면 수도꼭지를 계속 틀어놓고 계속 사용할 때보다 10배정도 절약됩니다.
7)샤워와 목욕
목욕보다 샤워를 하며 샤워는 목욕물보다 1/3 정도밖에 사용되지 않고 에너지도 절약됩니다.
8)주전자
물 소비 및 에너지절약을 위해 주전자네 가능한 한 많은 물을 채우고 끓입니다.
9)세탁기
세탁기를 한번 사용하는데 95리터 이상의 물이 소비됩니다. 세탁기 사용 시에는 세탁물은 최대한으로 넣고 세제는 최소한으로 줄입니다.
10)가정용 호스
호스를 사용할 때는 1분에 한양동이에 해당하는 물이 소비되기 때문에 자리를 꼭 지켜야 합니다. 만약 호스 끝에 제동 노즐을 부착하면 물을 절약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며, 또한 자동차의 비눗물 세차 시 호수를 사용하는 것보다 살수기를 사용하는 것이 물이 절약됩니다.
11)정원
정원용수용 큰 물통을 준비하여 빗물을 받아 사용합니다.
12)세차
세차할 때는 호스를 사용하지 않고 양동이를 사용합니다.(양동이 사용 시 20리터가 소요되나 호스를 사용하면 140리터 이상이 소요되어 120리터 정도 낭비)
이렇게 수질오염을 막기 위한 방법들을 알아보았다. 작은 것들이지만 우리가 잊고 사는 것들을 이번 계기로 다시 한 번 깨닫게 되었다. 수업시간에 본 마지막 비디오에서 환경문제의 심각성을 사람들이 모르는 것도 아니고 실천해야 한다는 것을 모르는 것도 아니었지만 그렇게 하기까지가 힘들기 때문에 아직 하지 못하는 것 같았다. 정말 작은 습관이 큰 변화를 일으킨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한 부분이었다. 그런 습관들을 가지기 위해 지금부터라도 조금씩 실천해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을 가지며 이 글을 마친다.
참고 문헌
http://www.greeni.co.kr/
240
오렌지주스
62500
78100
1530
260
마쪼니
114000
124100
7200
570
5) 하천에서는 세차를 하거나 오물을 버리지 맙시다.
일반적으로 물은 깨끗한 정도에 따라 등급이 나누어 집니다. 열목어, 버들치등 이름도 아름다운 물고기들이 헤엄쳐 다니고, 우리들이 안심하고 식수로 쓸 수 있도록 우리의 강물을 맑게 지켜야 합니다.
1등급은 BOD가 1㎎/ 이하인 물로서 바닥의 모래알이나 자갈까지 잘 들여다 보입니다. 열목어 산천어 버들치 금강모치 등이 살며 바닥에 해감(물 속에 가라앉은 찌꺼기)이 없습니다.
2등급은 BOD가 3㎎/ 이하인 물로서 미역을 감을 수 있는 물이며, 냄새가 나지 않습니다. 해감이 없고 은어 피라미 쏘가리 다슬 기가 많이 살고 있습니다. 그러나 열목어는 살기가 곤란하지요.
3등급은 BOD가 6㎎/ 이하인 물로서 냄새는 나지만 심하지 않으며 누런색의 해감이 있습니다. 붕어 잉어 미꾸라지 메기 뱀장어 등이 살고 있습니다.
4등급은 BOD가 8㎎/ 이하인 물로서 실지렁이나 모기의 애벌레는 살 수 있지만 물고기가 살기는 어렵습니다.
하천은 우리 모두의 생명이자 젖줄입니다. 따라서 깨끗한 하천을 유지하는 것은 곧 우리 모두의 식수원을 보호하는 일입니다. 근래 국민생활 수준이 크게 향상되어 주말이면 강이나 산으로 나들이 다니는 행락객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러한 행락객 중에는 자동차를 하천 주변에 세워놓고 세차를 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강에서 세차를 하면 자동차에 묻어있는 각종 기름찌꺼기, 세제, 오물 등이 강물에 그대로 흘러 들어 수질오염을 가중시킵니다. 또 빈병, 깡통, 걸레 등의 쓰레기 등을 버림으로써 하천을 더럽히게 되고 결국 그 물을 우리가 마시게 됩니다. 이는 공장폐수를 방류하는 강을 오염시키는 행위와 조금도 다름이 없는 행위입니다. 개울은 큰 강의 실핏줄이며 우리의 젖줄이자 식수원입니다. 하천을 보호해 식수원도 지키고 우리들의 아름답던 동심도 지킵시다.
♣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
하천에서는 세차를 하지 맙시다.
강이나 시냇가에서 용변을 보지 맙시다.
물고기를 잡으러 갈 때에는 도시락을 준비하고 자기 쓰레기는 지정된 쓰레기장에 버리거 나 되가져 옵시다.
기업은 폐수배출시설의 최종방류구를 개방합시다.
기업은 무분별한 지하수개발을 자제하고 폐공에 대한 사후관리를 철저히 합시다.
하천에서의 세차 등 환경오염행위를 발견하였을 때에는 시청 환경보호과(☎ 615-2121) 의 공해신고센터로 신고해 더 큰 오염을 방지합시다.
6) 샴푸의 양을 지금의 양보다 1/5 줄여서 씁시다.
환경적인 측면에서 보면 린스와 샴푸는 물에 잘 분해가 되지 않는데다 그 거품이 강물을 뒤덮게 되면 산소가 공급되지 않아 하천의 물이 썩게되며 또한 샴푸와 린스를 많이 쓰면 헹구는데 많은 물이 낭비가 됩니다. 머리를 감을 때도 비누로 감은 후 식초 몇 방울을 떨어뜨려 헹구면 머리카락이 부드러워집니다. 혹은 미지근한 물에 오일을 몇 방울 떨어뜨려도 부드러워집니다.
<<가정에서의 수질 오염 방지법 12가지>>
1)주방
기름기 묻은 그릇은 휴지로 닦아낸 후 물로 세척합니다.
주방 오물 분쇄기를 사용하지 맙시다. 이것을 쓰면 물이 크게 오염됩니다.
샴프와 린스는 적게 사용합니다. 샴프나 린스를 많이 쓰면 헹구는 데에도 많은 물이 낭비되고, 잘 분해되지 않아 물을 오염시킵니다.
2)화장실
가정용수의 1/3이 수세식 화장실에 이용되고 있는데 각 가정에서 1.5리터 용 프라스틱 음료수 병 1개에 물을 채워 변기 물탱크에 넣어 두면 1년에 약 4,500만 톤의 물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3)수도꼭지 누수
수도꼭지에서 한 방울 씩 떨어지는 물이 20분 안에 한 병 정도를 채운다면 1년에 6,000l의 물을 낭비하게 됩니다. 이는 1명이 매년 소비하는 양의 1/3 수준이며 하루에 45명이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양과 같습니다.
4)수도꼭지
수돗물을 틀어놓고 자리를 비우지 말고 양치질을 할 때에는 물 한 컵만 사용하고 세면 시에는 세면대에 물을 받아 사용합니다.
5)접시세척기
접시세척기는 사용 년 수에 따라 다르지만 저녁식사 후 12분 동안 세척하기 위해서는 20 - 40리터의 물이 소요됩니다. 따라서 접시세척기를 사용할 때에는 접시를 최대한 채워서 세척하도록 합니다.
6)조리대
수돗물을 틀어놓고 자리를 비우지 말고, 채소나 더러운 식기를 씻을 때에는 물을 그릇에 따로 받아 사용하면 수도꼭지를 계속 틀어놓고 계속 사용할 때보다 10배정도 절약됩니다.
7)샤워와 목욕
목욕보다 샤워를 하며 샤워는 목욕물보다 1/3 정도밖에 사용되지 않고 에너지도 절약됩니다.
8)주전자
물 소비 및 에너지절약을 위해 주전자네 가능한 한 많은 물을 채우고 끓입니다.
9)세탁기
세탁기를 한번 사용하는데 95리터 이상의 물이 소비됩니다. 세탁기 사용 시에는 세탁물은 최대한으로 넣고 세제는 최소한으로 줄입니다.
10)가정용 호스
호스를 사용할 때는 1분에 한양동이에 해당하는 물이 소비되기 때문에 자리를 꼭 지켜야 합니다. 만약 호스 끝에 제동 노즐을 부착하면 물을 절약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며, 또한 자동차의 비눗물 세차 시 호수를 사용하는 것보다 살수기를 사용하는 것이 물이 절약됩니다.
11)정원
정원용수용 큰 물통을 준비하여 빗물을 받아 사용합니다.
12)세차
세차할 때는 호스를 사용하지 않고 양동이를 사용합니다.(양동이 사용 시 20리터가 소요되나 호스를 사용하면 140리터 이상이 소요되어 120리터 정도 낭비)
이렇게 수질오염을 막기 위한 방법들을 알아보았다. 작은 것들이지만 우리가 잊고 사는 것들을 이번 계기로 다시 한 번 깨닫게 되었다. 수업시간에 본 마지막 비디오에서 환경문제의 심각성을 사람들이 모르는 것도 아니고 실천해야 한다는 것을 모르는 것도 아니었지만 그렇게 하기까지가 힘들기 때문에 아직 하지 못하는 것 같았다. 정말 작은 습관이 큰 변화를 일으킨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한 부분이었다. 그런 습관들을 가지기 위해 지금부터라도 조금씩 실천해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을 가지며 이 글을 마친다.
참고 문헌
http://www.greeni.co.kr/
추천자료
[환경] 수질오염에 대한 다각적 고찰
우리나라 수질오염의 원인과 대책
BOD와 수질오염
농약오염으로 인한 식품 및 토양, 수질오염의 현황과 해결방안 - 농약오염 사례, 골프장 농약...
생활하수에 따른 수질오염문제
우리나라4대강의 수질오염사례분석
수질오염의 인체에 미치는 영향 피해사례 예방대책
새만금,새만금종합개발,새만금사업,수질오염,새만금종합개발사업,새만금사업파급효과,새만금...
수질오염분석실험 - Measurement of Microbiological Activity and Growth [Oxygen Uptake Rate]
[수질오염분석실험] Solids [고형물]
지역사회 수질오염사례
[수질오염요소설계] 하수처리장 SVI30 계면침강 실험 및 F/M비 (결과보고서)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음식물 쓰레기의 심각성,음식물 쓰레기의 문제점,음식물 쓰레기 환경 ...
4대강 사업과 수질오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