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Unit A : SCM (Supply Chain Management)
1. 정의
2. 각국의 SCM 추진 현황
3. SCM 주요 응용 기술
Unit B : EPC(Electronic Product Code) 네트워크
1. RFID의 기본정의
2. EPC의 정의 및 구조
3. 태그와 판독기
4. 사방(Savant)
5. ONS(Object Naming Service)
6. EPCIS(EPC Information Service)
7. PNL (Physical Markup Language)
8. 기반 기술
1. 정의
2. 각국의 SCM 추진 현황
3. SCM 주요 응용 기술
Unit B : EPC(Electronic Product Code) 네트워크
1. RFID의 기본정의
2. EPC의 정의 및 구조
3. 태그와 판독기
4. 사방(Savant)
5. ONS(Object Naming Service)
6. EPCIS(EPC Information Service)
7. PNL (Physical Markup Language)
8. 기반 기술
본문내용
비하여 사이즈가 크고 비싸며 수명이 짧다.
판독기는 안테나와 제어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장치는 인코딩 및 디코딩, 데이터 체크 및 저장, 태그 및 호스트와의 통신 등을 과장한다. 읽기 전용 장치도 있고 읽기/쓰기 겸용 장치도 있다. 판독기는 응용분야나 사용방식에 따라 기본적으로 두가지 형식으로 나뉜다.
고정식: 현관, 정문, 조립 라인의 컨베이어, 계산대, 전장 등
이동식: 휴대용 무선 방식 또는 일관 전송 방식
4. 사방(Savant)
사방은 서버에 설치되어 있는 공개 구조의 소프트웨어로서, 작업 현장에서 RFID태그와 판독기 그리고 현장의 각종 시설을 통합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해주는 '지능'을 제공한다. 사방은 판독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판독기와 교신하며, 응용 프로그램과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교신한다.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다양한 서비스와도 호환될 수 있다.
5. ONS(Object Naming Service)
ONS는 디렉토리 역할을 하며, EPC를 인터넷 상의 URL로 변환시켜 준다. 이 URL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를 찾을 수 있으며, 여기에 해당 상품이나 케이스, 팔레트 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6. EPCIS(EPC Information Service)
EPCIS는 상품 정보를 관리하고 정보 제공 요구가 있을때, 이를 PML(Physical Markup Language)로 표시하여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다.
7. PNL (Physical Markup Language)
PML은 사람과 컴퓨터가 함께 이해 할 수 있도록 Auto-ID 센터가 개발한 상품 기술방식이다. 이것은 물체, 시스템, 공정 그리고 물체와 관련된 환경을 기술하는 XML 기반의 언어이다. PML의 주 목적은 RFID 기술이 적용된 상품에 대한 정보를 표준 공통 언어로 표시하여 배포함으로서 여러 가지 업무와 응용시스템 등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기존 어플리케이션과 EPC 구성 요소들과의 통합>
8. 기반 기술
8.1 공통의 식별체계
현재 상품 코드의 판독이 불가능할 경우, 전체 포장을 해체한 후 상품을 일일이 판독하여 상품 정보를 확인후, 현장에서 사용하는 시스템에 손으로 입력해야 하지만, EPC 네트워크는 범세계적 일관 식별이라는 개념에 기반을 두고 있다. 하지만 선행되어야 할 몇가지 과제들이 있다. 기존 표준의 적절한 변환, 데이터 동기화 그리고 현재의 EAN/UCC가입자를 위하여 GTIN(Global Trade Item Number:국제 상품 식별코드)을 EPC 코드에 포함시켜야 하는 일 등이 그것이다.
8.2 데이터 관리
EPC 네트워크 환경 하에서 데이터 관리와 관련된 세가지의 주요 문제가 있다.
1. 대량의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2. 데이터를 어떤 방법으로 거래업체와 고유할 것인가?
3. 데이터를 관리의 기본 방침을 어떻게 수립할 것인가?
8.2.1 데이터의 분량
EPC 네트웨의 사용은 기업이 처리해야 할 데이터의 양을 대폭 증가시킬 것이다. EPC 기본개념에서는 상품 및 이벤트 정보, 취급정보 등은 한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전가되는 방식 보다는 네트워크 상에 저장해 두고서 필요시에 접속하여 이용하는 방식이 보다 효율적이라는 것을 분명히 하고 있다. 사방은 데이터를 걸려서 정제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는 판독된 다량의 무선 데이터를 일정 수준으로 취합하는 작업이 진행되고 어떤 데이터를 저장할 것인가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 진다. 또한 태그 부착대상이 확대되면 판독 및 기록 소요 시간관리가 중요해 질 것이다. 그렇지 못할 경우 전체 물류 흐름에 병목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판독기는 안테나와 제어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장치는 인코딩 및 디코딩, 데이터 체크 및 저장, 태그 및 호스트와의 통신 등을 과장한다. 읽기 전용 장치도 있고 읽기/쓰기 겸용 장치도 있다. 판독기는 응용분야나 사용방식에 따라 기본적으로 두가지 형식으로 나뉜다.
고정식: 현관, 정문, 조립 라인의 컨베이어, 계산대, 전장 등
이동식: 휴대용 무선 방식 또는 일관 전송 방식
4. 사방(Savant)
사방은 서버에 설치되어 있는 공개 구조의 소프트웨어로서, 작업 현장에서 RFID태그와 판독기 그리고 현장의 각종 시설을 통합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해주는 '지능'을 제공한다. 사방은 판독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판독기와 교신하며, 응용 프로그램과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교신한다.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다양한 서비스와도 호환될 수 있다.
5. ONS(Object Naming Service)
ONS는 디렉토리 역할을 하며, EPC를 인터넷 상의 URL로 변환시켜 준다. 이 URL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를 찾을 수 있으며, 여기에 해당 상품이나 케이스, 팔레트 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6. EPCIS(EPC Information Service)
EPCIS는 상품 정보를 관리하고 정보 제공 요구가 있을때, 이를 PML(Physical Markup Language)로 표시하여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다.
7. PNL (Physical Markup Language)
PML은 사람과 컴퓨터가 함께 이해 할 수 있도록 Auto-ID 센터가 개발한 상품 기술방식이다. 이것은 물체, 시스템, 공정 그리고 물체와 관련된 환경을 기술하는 XML 기반의 언어이다. PML의 주 목적은 RFID 기술이 적용된 상품에 대한 정보를 표준 공통 언어로 표시하여 배포함으로서 여러 가지 업무와 응용시스템 등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기존 어플리케이션과 EPC 구성 요소들과의 통합>
8. 기반 기술
8.1 공통의 식별체계
현재 상품 코드의 판독이 불가능할 경우, 전체 포장을 해체한 후 상품을 일일이 판독하여 상품 정보를 확인후, 현장에서 사용하는 시스템에 손으로 입력해야 하지만, EPC 네트워크는 범세계적 일관 식별이라는 개념에 기반을 두고 있다. 하지만 선행되어야 할 몇가지 과제들이 있다. 기존 표준의 적절한 변환, 데이터 동기화 그리고 현재의 EAN/UCC가입자를 위하여 GTIN(Global Trade Item Number:국제 상품 식별코드)을 EPC 코드에 포함시켜야 하는 일 등이 그것이다.
8.2 데이터 관리
EPC 네트워크 환경 하에서 데이터 관리와 관련된 세가지의 주요 문제가 있다.
1. 대량의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2. 데이터를 어떤 방법으로 거래업체와 고유할 것인가?
3. 데이터를 관리의 기본 방침을 어떻게 수립할 것인가?
8.2.1 데이터의 분량
EPC 네트웨의 사용은 기업이 처리해야 할 데이터의 양을 대폭 증가시킬 것이다. EPC 기본개념에서는 상품 및 이벤트 정보, 취급정보 등은 한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전가되는 방식 보다는 네트워크 상에 저장해 두고서 필요시에 접속하여 이용하는 방식이 보다 효율적이라는 것을 분명히 하고 있다. 사방은 데이터를 걸려서 정제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는 판독된 다량의 무선 데이터를 일정 수준으로 취합하는 작업이 진행되고 어떤 데이터를 저장할 것인가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 진다. 또한 태그 부착대상이 확대되면 판독 및 기록 소요 시간관리가 중요해 질 것이다. 그렇지 못할 경우 전체 물류 흐름에 병목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추천자료
사례로 본 물류정보 시스템
전자출결시스템
전자출결시스템
큐맥스 시스템 물류개선 사례
실시간 시스템 (무인 잠수정 UUV, 항공 전자 시스템) 핵심 기술 레포트
[전자화폐][전자화폐결제][전자화폐결제시스템][화폐]전자화폐의 특성, 전자화폐의 유형, 전...
전자상거래,제조업전자상거래,물류업전자상거래,금융업전자상거래,B2B,B2C,데이터마이닝,경영...
LG전자 ERP 시스템 사례연구, ERP, ERP사례, ERP기업, 엘지전자, LG전자, 엘지전자 ERP - 효...
[결재시스템][전자결재시스템][쌍방향주문결재시스템][실천과제][전자상거래]결재시스템의 현...
[전자공학][교과과정][초전도이론][전도이론][제어시스템][반도체][다이오드][전자][공학]전...
[문서시스템]문서시스템과 전자문서, 문서시스템과 웹문서연계시스템, 문서시스템과 단어검색...
[정보보호기술][전자상거래][전자지불시스템][전자화폐][전자신용카드]정보보호기술과 전자상...
[금융시스템]금융시스템과 위험관리시스템, 금융시스템과 환위험관리시스템, 금융시스템과 리...
[요구사항, 안전보건경영시스템, ISO DIS 9001 2000 품질경영시스템, 테니스]전자지불시스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