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바이런 김(Byron Kim)
2.민 연 희 (Yunhee Min)
3.서도호(DoHo Suh)
4.권소원(Sowon Kwon)
2.민 연 희 (Yunhee Min)
3.서도호(DoHo Suh)
4.권소원(Sowon Kwon)
본문내용
는 그 동안 실험했던 매체 사이의 병렬과 교차, 이를 통한 간극과 완성을 종합하고 있다. 이미 단편 <프루프록,prufrock (1991)>과 <한 가을 바람,An Auturm Wind(1993)>을 통해 시와 영화 매체의 결합을 시도했던 이아라 리는 이 작품을 영화/슬라이드/건축/음악의 통합체로 확장시킨다. 그가 이 영화에서 다루고 있는 건축과 음악은 일견 너무나도 다른 위치에 있는 듯 보인다. 건축의 견고한 물질성 앞에서 한없이 유동하는 음악을 떠올리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더군다나 영화라는 시각적 매체에서 음악은 자칫 건축의 스펙터클에 눌려 질식할 지도 모를 일이다. 그러나 이아라 리의 이 영화에서 건축풍경(skyscraper)과 음악풍경(soundscraper)은 서로를 침투하며 상승한다.
프랑크 자파는 말했다.
"음악에 대해 쓴다는 것은 마치 건축 주위에서 춤추는 것과 같다."
("Writing about music is like dancing about architecture" )
이아라 리는 이렇게 대답하는 듯하다.
"음악을 찍는다는 것은 마치 건축과 함께 춤추는 것과 같다."
("Filming the music is like dancing with architecture" )
아키테츄라는 현대건축과 전자음악, 그리고 영화세계가 만나 어떤 교감이 일어날 수 있는 가에 대한 혼합매체 프로젝트이다. 이아라 리는 그동안의 영화를 통해 미디어와 문화가 새로운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가에 대해 끊임없이 추구해왔다. 이 영화는 다른 예술형식이 어떻게 만나 서로를 완성시켜가는가에 대한 것이다.
프랑크 자파는 말했다.
"음악에 대해 쓴다는 것은 마치 건축 주위에서 춤추는 것과 같다."
("Writing about music is like dancing about architecture" )
이아라 리는 이렇게 대답하는 듯하다.
"음악을 찍는다는 것은 마치 건축과 함께 춤추는 것과 같다."
("Filming the music is like dancing with architecture" )
아키테츄라는 현대건축과 전자음악, 그리고 영화세계가 만나 어떤 교감이 일어날 수 있는 가에 대한 혼합매체 프로젝트이다. 이아라 리는 그동안의 영화를 통해 미디어와 문화가 새로운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가에 대해 끊임없이 추구해왔다. 이 영화는 다른 예술형식이 어떻게 만나 서로를 완성시켜가는가에 대한 것이다.
추천자료
아시아 문화의 중심지 부산의 브랜드 마케팅연구
근대의 한국미술 전시회 감상문
성격 분석
[국제경영]한류와 문화마케팅-문화를 활용한 해외시장진출전략(A+리포트)
ICT활용 교육과 유아미술활동 중심 수업사례 및 학습과정안
[한류][한류열풍][한류스타][방송컨텐츠]한류의 현황과 성과 및 향후 과제 분석 고찰(한류와 ...
박물관 건축(김수근 건축가)
의류업계의 코카콜라 GAP의 성공전략 - the GAP개요, 경쟁 브랜드, 한국시장 현황, GAP전략
서양 미술의 이해
마케팅 전략 기획서
[미적체험학습]미적체험학습의 개념, 미적체험학습의 교육적 가치, 미적체험학습의 의의, 미...
엘리트교육 평등교육
직원들의생산효율성재고를위한사례
2018년 1학기 일본명작기행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상상 문학기행문을 쓰기 - 京都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