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재 제1부 제1장 7쪽~10쪽에서 설명한 '2. 글쓰기의 과정'을 A4 1쪽(표지 제외)으로 요약하시오. (10점)
1) 사고의 과정
2) 자기 확인과 표현의 과정
3) 문제의 인식과 해결의 과정
4) 가치의 발견과 개선의 과정
5) 의사소통의 과정
2. 다음 제시된 쌍들의 차이를 3-4문장으로 설명하고, 그 쓰임을 설명할 수 있는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10점)
1) '_ㅁ으로써'와 '므로써’
2) '_데'와 '_대’
3) '느라고'와 '노라고’
4) '부딪치다'와 '부딪히다’
5) '어떻게'와 '어떡해'
3. 교재 제11부 제1장 '2. 적절한 어휘의 선택 (60쪽~76쪽)에서 다루고 있는 단어나 표현 중 10개를 선정하여 그 단어나 표현을 3-4문장으로 설명하고, 그 단어나 표현이 들어간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10점)
4. 참고문헌
1) 사고의 과정
2) 자기 확인과 표현의 과정
3) 문제의 인식과 해결의 과정
4) 가치의 발견과 개선의 과정
5) 의사소통의 과정
2. 다음 제시된 쌍들의 차이를 3-4문장으로 설명하고, 그 쓰임을 설명할 수 있는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10점)
1) '_ㅁ으로써'와 '므로써’
2) '_데'와 '_대’
3) '느라고'와 '노라고’
4) '부딪치다'와 '부딪히다’
5) '어떻게'와 '어떡해'
3. 교재 제11부 제1장 '2. 적절한 어휘의 선택 (60쪽~76쪽)에서 다루고 있는 단어나 표현 중 10개를 선정하여 그 단어나 표현을 3-4문장으로 설명하고, 그 단어나 표현이 들어간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10점)
4. 참고문헌
본문내용
5) \'어떻게\'와 \'어떡해\'
(1) 차이
\'어떻게\'는 부사고 \'어떡해\'는 \'어떠하게 하다\'라는 동사의 활용형이다. \'어떻게\'는 의견, 형평 따위가 어찌되다라는 뜻의 \'어떡하다\'에 \'게\'가 붙어 다른 말을 꾸밀 때 사용하는 말이다. 이에 비해 \'어떡해\'는 \'어떻게 해\'가 줄어든 말로 주로 문장 끝에 쓰인다.
(2) 예문
① \'어떻게\'
조금전에 어떻게 된 일이니?
요즈음 어떻게 지내십니까?
이 스웨터는 어떻게 세탁해야 하나요?
우리집까지 어떻게 오셨어요?
② \'어떡해\'
비가 와서 다 젖었으니 어떡해.
이젠 이 일을 어떡할 셈이냐
버스 막차를 놓쳤어. 어떡해!
오늘 중요한 약속이 있는데 늦잠을 자버렸어. 어떻해!
3. 교재 제11부 제1장 \'2. 적절한 어휘의 선택 (60쪽~76쪽)에서 다루고 있는 단어나 표현 중 10개를 선정하여 그 단어나 표현을 3-4문장으로 설명하고, 그 단어나 표현이 들어간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10점)
1) 작다, 적다
① 작다
부피, 길이 넓이 키 등이 보통에 미치지 못하다는 뜻이다. 크기에 관계된다.
예) 그녀는 야무지지만 몸매가 매우 작다.
② 적다
일정한 기준에 이르지 못하다. 수량과 관계된다.
예) 로또 복권에 당첨될 확률은 매우 적다.
2) 동률, 동점
① 동률(同率)
같은 비율 또는 같은 비례를 의미한다.
예) 저 야구선수는 타율에 있어서 상대팀 4번 타자와 동률을 기록하고 있다.
② 동점(同點)
같은 점수나 득점을 의미한다.
예) 우리반과 옆반의 축구시합은 3:3 동점으로 마무리됐다.
3) 틀리다, 다르다
① 틀리다
\'틀리다\'의 반대말은 \'맞다\'이다. \'옳다\', \'그르다\'를 판단하는 데 쓰는 말이고, 부정적 의미가 들었다.
예) 답이 틀린 문제를 다시 풀어보세요.
② 다르다
\'다르다\'의 반대말은 \'같다\'로, 비교 대상과 같지 않다라는 의미로 쓰인다.
예) 그는 남들과 다른 특별한 재능을 가지고 있다.
4) 재원, 인재
① 재원(才媛)
뛰어난 능력이나 재주가 있는 젊은 여자.
예) 한송이씨는 학식과 미모를 겸비한 재원이다.
② 인재(人才)
뛰어난 재능이나 능력을 가진 사람을 의미한다.
예) 강팀장은 뛰어난 리더십으로 팀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인재로 평가받는다.
5) 전격적, 전면적
① 전격적(電擊的)
전격적은 번개같이 급작스럽게 들이치는 이라는 뜻이다. 사람들이 전혀 알지 못하는 상황, 미리 예상하지 못한 상황에서 쓰인다.
예1) A기업은 새로운 기술 개발에 성공하고 전격적으로 전세계로 진출했다.
② 전면적(全面的)
전면적은 “일정한 범위 전체에 걸치는 것”, “일정한 범위 전체에 걸치는”의 뜻이다.
예2) 정부는 개혁 요구를 전면적으로 수용했다. / 통행을 전면적으로 통제하다. / 전면적으로 구조 개편했다.
6) 갑절, 곱절
① 갑절
갑절은 어떤 수량을 두 번 합치는 것을 말한다.
예) 우리 식당은 최근 손님이 갑절이나 늘어서 매우 기븐이 좋다. / 축구 경기를 보러오눈 관중수가 작년보다 갑절로 늘었다.
② 곱절
곱절이나 갑절은 모두 \'어떤 수나 양을 두 번 합한 만큼\'의 뜻으로 쓰인다. 하지만 세번 이상 합할 경우에는 곱절을 써야 한다.
예) 500은 100의 다섯 곱절이에요. / 이 지역의 축제기간에는 숙박비가 평소의 곱절 이상으로 비싸진다.
7) 돋구다, 돋우다
① 돋구다
안경 따위를 도수를 더 높게 하다. 양기 따위를 보강하다.
예) 동생은 안경을 맞춘 지 얼마 되지 않아서 안경 도수를 더 돋구었다.
② 돋우다
위로 끌어 올리거나 높아지게 하다. 기분·느낌·의용 등의 감정을 자극하여 일어나게 하다. 입맛이 좋아지게 하다.
예) 싱그러운 봄나물이 입맛을 돋우었다. / 목청을 돋우어서 힘껏 설명했다.
8) 주의, 주위
① 주의
주의는 “조심하거나 신경을 써야 함”, “어떤 사실이나 내용을 특별히 강조하거나 알림”, “관심이나 집중을 기울이는 행위” 등을 뜻한다.
예) 수상한 사람은 따라가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 발표자의 설명을 주의 깊게 들어주세요.
② 주위
어떤 사람이나 사물을 중심으로 그 주변에 있는 것들 또는 관계되는 사람들을 뜻한다.
예) 집 주위가 조용해서 공부하기 너무 좋다. / A대학교 주위에는 식당이 많다.
9) 체치다, 제끼다
① 제치다
거치적거리지 않게 처리하다. 일정한 대상이나 범위에서 빼다. 경쟁 상대보다 우위에 서다. 일을 미루다.
예) 골키퍼를 제치고 골을 넣다. / 선두를 제치고 나서다. / 숙제를 제치다.
② 제끼다
제끼다는 “(물건 등을) 치우거나 치워버리다”, “능가하다”, “건너뛰다”, “빼돌리거나 가로채다”, “무시하다”의 뜻이 있다.
예) 반장선거에서 그는 다른 후보들을 모두 제껴버렸다. / 시간이 부족해서 세부적인 내용은 다음으로 제껴두고 중요한 내용만 이야기했다.
10) 주인공, 장본인
① 주인공
어떤 일이나 분야, 단체 등에서 중심이 되거나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인물
예) 우리 부서의 김대리가 올해 최고의 실적을 올린 행운의 주인공이다.
② 장본인
어떤 일을 빚어낸 바로 그 사람. 주로 바람직하지 못한 일을 한데에 쓰인다.
예) 내가 그럴 줄 알았어. 걔가 그 스캔들의 장본인이었다니까.
11) 사단, 사달
① 사단
사단은 사건의 단서, 일의 실마리라는 뜻이다.
예) 그의 무책임한 행동이 모든 사단의 발단이었다. / 사회시스템의 작은 오류가 큰 사단으로 이어질 수 있다.
② 사달
사달은 사고나 탈을 의미한다.
예) 일이 잘 돼 가는가 싶더니 결국 사달이 났다. / 몸을 돌보지 않고 일을 하더니 사달이 났다.
12) 역임하다, 지내다
⑮ 역임하다.
역임은 “여러 직위를 두루 거쳐 지내는 것”을 의미한다.
예) 그는 주요 관직을 역임한 매우 청렴한 사람이다. / 그녀는 고위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② 지내다
지내다는 “(어떤 상태로) 생활하거나 살아가다”, “다른 사람과 일정한 관계를 유지하며 생활하거나 살아가다”, “(어떤 일을) 겪어 보다”, “(주의하지 아니하고 건성으로) 흘려 보다”를 의미한다.
예) 우리는 오랫동안 친구로 잘 지내고 있다. / 우리 팀은 마치 가족치럼 지낸다.
4. 참고문헌
고성환,이상진(2019). 글쓰기.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1) 차이
\'어떻게\'는 부사고 \'어떡해\'는 \'어떠하게 하다\'라는 동사의 활용형이다. \'어떻게\'는 의견, 형평 따위가 어찌되다라는 뜻의 \'어떡하다\'에 \'게\'가 붙어 다른 말을 꾸밀 때 사용하는 말이다. 이에 비해 \'어떡해\'는 \'어떻게 해\'가 줄어든 말로 주로 문장 끝에 쓰인다.
(2) 예문
① \'어떻게\'
조금전에 어떻게 된 일이니?
요즈음 어떻게 지내십니까?
이 스웨터는 어떻게 세탁해야 하나요?
우리집까지 어떻게 오셨어요?
② \'어떡해\'
비가 와서 다 젖었으니 어떡해.
이젠 이 일을 어떡할 셈이냐
버스 막차를 놓쳤어. 어떡해!
오늘 중요한 약속이 있는데 늦잠을 자버렸어. 어떻해!
3. 교재 제11부 제1장 \'2. 적절한 어휘의 선택 (60쪽~76쪽)에서 다루고 있는 단어나 표현 중 10개를 선정하여 그 단어나 표현을 3-4문장으로 설명하고, 그 단어나 표현이 들어간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10점)
1) 작다, 적다
① 작다
부피, 길이 넓이 키 등이 보통에 미치지 못하다는 뜻이다. 크기에 관계된다.
예) 그녀는 야무지지만 몸매가 매우 작다.
② 적다
일정한 기준에 이르지 못하다. 수량과 관계된다.
예) 로또 복권에 당첨될 확률은 매우 적다.
2) 동률, 동점
① 동률(同率)
같은 비율 또는 같은 비례를 의미한다.
예) 저 야구선수는 타율에 있어서 상대팀 4번 타자와 동률을 기록하고 있다.
② 동점(同點)
같은 점수나 득점을 의미한다.
예) 우리반과 옆반의 축구시합은 3:3 동점으로 마무리됐다.
3) 틀리다, 다르다
① 틀리다
\'틀리다\'의 반대말은 \'맞다\'이다. \'옳다\', \'그르다\'를 판단하는 데 쓰는 말이고, 부정적 의미가 들었다.
예) 답이 틀린 문제를 다시 풀어보세요.
② 다르다
\'다르다\'의 반대말은 \'같다\'로, 비교 대상과 같지 않다라는 의미로 쓰인다.
예) 그는 남들과 다른 특별한 재능을 가지고 있다.
4) 재원, 인재
① 재원(才媛)
뛰어난 능력이나 재주가 있는 젊은 여자.
예) 한송이씨는 학식과 미모를 겸비한 재원이다.
② 인재(人才)
뛰어난 재능이나 능력을 가진 사람을 의미한다.
예) 강팀장은 뛰어난 리더십으로 팀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인재로 평가받는다.
5) 전격적, 전면적
① 전격적(電擊的)
전격적은 번개같이 급작스럽게 들이치는 이라는 뜻이다. 사람들이 전혀 알지 못하는 상황, 미리 예상하지 못한 상황에서 쓰인다.
예1) A기업은 새로운 기술 개발에 성공하고 전격적으로 전세계로 진출했다.
② 전면적(全面的)
전면적은 “일정한 범위 전체에 걸치는 것”, “일정한 범위 전체에 걸치는”의 뜻이다.
예2) 정부는 개혁 요구를 전면적으로 수용했다. / 통행을 전면적으로 통제하다. / 전면적으로 구조 개편했다.
6) 갑절, 곱절
① 갑절
갑절은 어떤 수량을 두 번 합치는 것을 말한다.
예) 우리 식당은 최근 손님이 갑절이나 늘어서 매우 기븐이 좋다. / 축구 경기를 보러오눈 관중수가 작년보다 갑절로 늘었다.
② 곱절
곱절이나 갑절은 모두 \'어떤 수나 양을 두 번 합한 만큼\'의 뜻으로 쓰인다. 하지만 세번 이상 합할 경우에는 곱절을 써야 한다.
예) 500은 100의 다섯 곱절이에요. / 이 지역의 축제기간에는 숙박비가 평소의 곱절 이상으로 비싸진다.
7) 돋구다, 돋우다
① 돋구다
안경 따위를 도수를 더 높게 하다. 양기 따위를 보강하다.
예) 동생은 안경을 맞춘 지 얼마 되지 않아서 안경 도수를 더 돋구었다.
② 돋우다
위로 끌어 올리거나 높아지게 하다. 기분·느낌·의용 등의 감정을 자극하여 일어나게 하다. 입맛이 좋아지게 하다.
예) 싱그러운 봄나물이 입맛을 돋우었다. / 목청을 돋우어서 힘껏 설명했다.
8) 주의, 주위
① 주의
주의는 “조심하거나 신경을 써야 함”, “어떤 사실이나 내용을 특별히 강조하거나 알림”, “관심이나 집중을 기울이는 행위” 등을 뜻한다.
예) 수상한 사람은 따라가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 발표자의 설명을 주의 깊게 들어주세요.
② 주위
어떤 사람이나 사물을 중심으로 그 주변에 있는 것들 또는 관계되는 사람들을 뜻한다.
예) 집 주위가 조용해서 공부하기 너무 좋다. / A대학교 주위에는 식당이 많다.
9) 체치다, 제끼다
① 제치다
거치적거리지 않게 처리하다. 일정한 대상이나 범위에서 빼다. 경쟁 상대보다 우위에 서다. 일을 미루다.
예) 골키퍼를 제치고 골을 넣다. / 선두를 제치고 나서다. / 숙제를 제치다.
② 제끼다
제끼다는 “(물건 등을) 치우거나 치워버리다”, “능가하다”, “건너뛰다”, “빼돌리거나 가로채다”, “무시하다”의 뜻이 있다.
예) 반장선거에서 그는 다른 후보들을 모두 제껴버렸다. / 시간이 부족해서 세부적인 내용은 다음으로 제껴두고 중요한 내용만 이야기했다.
10) 주인공, 장본인
① 주인공
어떤 일이나 분야, 단체 등에서 중심이 되거나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인물
예) 우리 부서의 김대리가 올해 최고의 실적을 올린 행운의 주인공이다.
② 장본인
어떤 일을 빚어낸 바로 그 사람. 주로 바람직하지 못한 일을 한데에 쓰인다.
예) 내가 그럴 줄 알았어. 걔가 그 스캔들의 장본인이었다니까.
11) 사단, 사달
① 사단
사단은 사건의 단서, 일의 실마리라는 뜻이다.
예) 그의 무책임한 행동이 모든 사단의 발단이었다. / 사회시스템의 작은 오류가 큰 사단으로 이어질 수 있다.
② 사달
사달은 사고나 탈을 의미한다.
예) 일이 잘 돼 가는가 싶더니 결국 사달이 났다. / 몸을 돌보지 않고 일을 하더니 사달이 났다.
12) 역임하다, 지내다
⑮ 역임하다.
역임은 “여러 직위를 두루 거쳐 지내는 것”을 의미한다.
예) 그는 주요 관직을 역임한 매우 청렴한 사람이다. / 그녀는 고위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② 지내다
지내다는 “(어떤 상태로) 생활하거나 살아가다”, “다른 사람과 일정한 관계를 유지하며 생활하거나 살아가다”, “(어떤 일을) 겪어 보다”, “(주의하지 아니하고 건성으로) 흘려 보다”를 의미한다.
예) 우리는 오랫동안 친구로 잘 지내고 있다. / 우리 팀은 마치 가족치럼 지낸다.
4. 참고문헌
고성환,이상진(2019). 글쓰기.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