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ꊱ 청소년문제의 개념과 관계요인
1. 개념과 정의
2. 청소년범죄와 지위비행
3. 우리나라의 분류
4. 청소년범죄의 성격
5. 청소년문제의 유래와 관련요인
ꊲ 청소년문제의 실태와 유형
1. 청소년 문제의 실태(1983-1992)
2. 청소년문제의 경향(청소년백서의 자료 중심)_
3. 청소년문화의 유형
4. 청소년문제의 국제적 경향
ꊳ 청소년 문제의 원인과 이론
1. 생물학적 이론
2. 정신분석학적 이론
3. 학습이론
4. 사회학적 이론
ꊴ 비행청소년의 처리와 대책
1. 전통적 대책
2. 새로운 대안
3. 예방을 위한 사회적 과제
1. 개념과 정의
2. 청소년범죄와 지위비행
3. 우리나라의 분류
4. 청소년범죄의 성격
5. 청소년문제의 유래와 관련요인
ꊲ 청소년문제의 실태와 유형
1. 청소년 문제의 실태(1983-1992)
2. 청소년문제의 경향(청소년백서의 자료 중심)_
3. 청소년문화의 유형
4. 청소년문제의 국제적 경향
ꊳ 청소년 문제의 원인과 이론
1. 생물학적 이론
2. 정신분석학적 이론
3. 학습이론
4. 사회학적 이론
ꊴ 비행청소년의 처리와 대책
1. 전통적 대책
2. 새로운 대안
3. 예방을 위한 사회적 과제
본문내용
행동을 발달시킴(상이나 칭찬)
2) 부정적 강화 : 행동을 억제, 소멸 시킴(벌이나 꾸중)
- 교육환경의 중요성을 잘 설명해준다.
- 행동의 발달과정을 잘 설명해 주지만, 인간의 이념적 지향이나 판단력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는 약점과 결정론적이라는 비판을 받는다.
4. 사회학적 이론
1) 긴장이론
- 머튼(Robert K. Merton)의 아노미 이론, 코헨(Albert Cohen)의 부분문화이론, 오린(Lloyd Ohlin)의 기회구조 이론.
- 사회계층에 의하여 형성되는 빈곤이나 사회생활에서 불공평하게 제공되는 기회의 제약으로 인한 하류계층의 부적응이 비행과 일탈의 원인이 됨.
2) 통제이론
- 청소년의 비행이나 범죄는 통제력과 자제력 사이의 균형이 깨어져서 통제력이 약화되는 경우 발생한다고 주장한다.
- 허쉬(Travis Hirsch)
a. 청소년들이 전통적인 사회질서와의 유대가 끊어질때 비행에 빠진다고 주장함.
b. 애착(attachment), 참여(commitment), 관여(involvement)의 세가지 통제 요인.
3) 문화적 일탈이론 (cultural deviance theory)
- 비행을 격려하는 사회규범이나 신념, 가치 등에 대한 청소년들의 반응이 비행임.
- 사회가 공유하고 있는 문화적 가치의 반응.
- 쇼(Clifford Shaw), 멕케이(Henry D. Mckay) : 시카고 근처의 비행청소년을 연구, 그들의 주거지역의 생태적 환경이나 빈곤, 청소년문화 등이 비행을 저지르기에 알맞다는 점을 발견했다.
4) 낙인이론 (labeling theory)
- 사회나 집단이 한번 일탈이라 규정해 버리면 그러한 규정을 당한 개인은 정말로 비행자나 일탈자로 발전한다고 주장함.
4 비행청소년의 처리와 대책
1. 전통적 대책
- 일반 성인의 범죄와 비슷한 방법으로 처리 (사법기관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격리)
- 경찰과 검찰의 조사와 지도, 소년원과 소년교도소 등에서의 격리수용.
- 인간존중의 사상에 맞지 않고, 격리 수용에 의해 더 많은 비행을 학습하게 된다.
2. 새로운 대안
- 재판전환이론(diversion theory) - 비행청소년을 재판 이외의 방법으로 교육해야 한다는 주장에 의해 전개됨.
- 우리나라 : 선도조건부 기소유예제도와 소년법원의 보호처분.
3. 예방을 위한 사회적 과제
-가정: 참다운 사랑을 느낄 수 있고 기초적인 사회규범을 확고하고 일관성 있게 학습할 수 있게 해야 한다.
-학교: 자신의 장래를 준비할 수 있고, 즐겁고 명랑하게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장소가 되어야 한다.
-사회: 물질주의적 가치관과 학교 앞 유해환경을 처리, 스포츠 등 복지시설의 확대, 대중매체의 교육성증대 등 사회적 과제를 시급히 해결해야 한다.
참고문헌 ------------------------------------------------------
1. 권건일 외 지음, 교육사회학, 교문사, 2003.
2. 김신일 지음,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2003.
3. 송준수 외 지음,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1998.
2) 부정적 강화 : 행동을 억제, 소멸 시킴(벌이나 꾸중)
- 교육환경의 중요성을 잘 설명해준다.
- 행동의 발달과정을 잘 설명해 주지만, 인간의 이념적 지향이나 판단력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는 약점과 결정론적이라는 비판을 받는다.
4. 사회학적 이론
1) 긴장이론
- 머튼(Robert K. Merton)의 아노미 이론, 코헨(Albert Cohen)의 부분문화이론, 오린(Lloyd Ohlin)의 기회구조 이론.
- 사회계층에 의하여 형성되는 빈곤이나 사회생활에서 불공평하게 제공되는 기회의 제약으로 인한 하류계층의 부적응이 비행과 일탈의 원인이 됨.
2) 통제이론
- 청소년의 비행이나 범죄는 통제력과 자제력 사이의 균형이 깨어져서 통제력이 약화되는 경우 발생한다고 주장한다.
- 허쉬(Travis Hirsch)
a. 청소년들이 전통적인 사회질서와의 유대가 끊어질때 비행에 빠진다고 주장함.
b. 애착(attachment), 참여(commitment), 관여(involvement)의 세가지 통제 요인.
3) 문화적 일탈이론 (cultural deviance theory)
- 비행을 격려하는 사회규범이나 신념, 가치 등에 대한 청소년들의 반응이 비행임.
- 사회가 공유하고 있는 문화적 가치의 반응.
- 쇼(Clifford Shaw), 멕케이(Henry D. Mckay) : 시카고 근처의 비행청소년을 연구, 그들의 주거지역의 생태적 환경이나 빈곤, 청소년문화 등이 비행을 저지르기에 알맞다는 점을 발견했다.
4) 낙인이론 (labeling theory)
- 사회나 집단이 한번 일탈이라 규정해 버리면 그러한 규정을 당한 개인은 정말로 비행자나 일탈자로 발전한다고 주장함.
4 비행청소년의 처리와 대책
1. 전통적 대책
- 일반 성인의 범죄와 비슷한 방법으로 처리 (사법기관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격리)
- 경찰과 검찰의 조사와 지도, 소년원과 소년교도소 등에서의 격리수용.
- 인간존중의 사상에 맞지 않고, 격리 수용에 의해 더 많은 비행을 학습하게 된다.
2. 새로운 대안
- 재판전환이론(diversion theory) - 비행청소년을 재판 이외의 방법으로 교육해야 한다는 주장에 의해 전개됨.
- 우리나라 : 선도조건부 기소유예제도와 소년법원의 보호처분.
3. 예방을 위한 사회적 과제
-가정: 참다운 사랑을 느낄 수 있고 기초적인 사회규범을 확고하고 일관성 있게 학습할 수 있게 해야 한다.
-학교: 자신의 장래를 준비할 수 있고, 즐겁고 명랑하게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장소가 되어야 한다.
-사회: 물질주의적 가치관과 학교 앞 유해환경을 처리, 스포츠 등 복지시설의 확대, 대중매체의 교육성증대 등 사회적 과제를 시급히 해결해야 한다.
참고문헌 ------------------------------------------------------
1. 권건일 외 지음, 교육사회학, 교문사, 2003.
2. 김신일 지음,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2003.
3. 송준수 외 지음,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1998.
추천자료
청소년문제-청소년 비행의 개념,배경,종류,법적처리
청소년문제-청소년자살
현대사회의 사회문제 중 청소년문제의 해결을 위한 자원봉사 활용 방안
[현대사회문제][현대사회][사회문제]현대사회 인간소외문제, 현대사회 청소년문제, 현대사회 ...
[청소년문제]가출청소년 문제의 원인과 대책
청소년문제 학교폭력에 대한 연구A+, 학교폭력의문제점, 학교폭력의실태, 학교폭력사례,외국...
청소년문제를 보는 이론적 관점(청소년문제의 심리학적 원인, 사회구조적 원인론, 사회통제 ...
청소년비행문제와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복지실천 전략
학교사회복지_청소년_흡연음주,청소년문제,사회문제
[청소년문제행동] 왕따(집단따돌림) 문제 분석 및 해결방안
청소년의 특성을 설명하고 청소년문제의 실제 사례를 제시.
한국 사회에서 `청소년 복지`는 어떻게 실현되어야 하는 가? `한국의 현실`에 적합한 청소년 ...
청소년복지론)현대사회에서 발생하고 있는 다양한 청소년문제에 대해 서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