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 학교, 노인과 평생교육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정, 학교, 노인과 평생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ꊱ 평생교육이란?
1. 평생교육이 대두된 배경
2. 평생교육의 개념
3. 평생교육의 필요성

ꊲ 가정과 평생교육
1. 가정교육의 개념
2. 가정교육의 중요성
3. 가정교육의 문제점
4. 가정교육과 평생교육의 연계
5. 가정교육의 기능변화와 지향 방향 (평생 교육적 노력)

ꊳ 학교와 평생교육
1. 평생 교육과 학교 교육의 관련성
2. 평생 교육 체제하의 학교 교육 제도
3. 기존 학교 교육의 문제점
4. 평생 교육적 관점에서의 학교 교육 체제의 발전 전략

ꊴ 노인과 평생 교육
1.노인 평생 교육의 개념
2.노인 문제의 대두와 노인 교육의 필요성
3.노인 교육의 현황
4.노인 평생 교육의 과제

본문내용

(2)김종서 : ①노인을 위하여 노인 아닌 사람들이 무엇을 할 것인지에 관한 교육
②노인 이전의 사람들에게 실시하는 노년기에 대비하는 준비 교육
③노인들 자신을 위한 교육
(3)한준상 : 평생 교육의 주요 영역
노년기의 자아실현을 통한 내·외적 상황 변화에 대한 적응 능력을 발전시키기 위한 교육 활동이며, 이것은 인생주기를 바탕으로 한 평생 교육의 입장에서 다른 연령층의 교육활동과 동등한 비중으로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는 것
2.노인 문제의 대두와 노인 교육의 필요성
1)노인 문제의 대두
(1)노인 문제 대두의 사회적 배경
①사회 구조의 변화 : 산업화 노인의 지위와 역할 변화, 심리적 갈등
②인구 구조의 변화 : 노령화 현상
③가족 제도의 변화 : 산업화 핵가족화
(2)노인의 제 문제
①질병 문제 : 건강 문제는 노인 개인의 최대 관심사
②소득감소와 이에 따른 경제적 의존 문제
-퇴직, 사회보장제도의 미흡, 자녀 양육으로 인한 과다 지출
③역할상실과 고독문제 : 조기 은퇴, 신체적인 노쇠, 가족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의 희박
고독과 소외문제
④배우자나 친구들과의 사별과 죽음 문제
-사회적 고독 및 심리적 소외를 더욱 심화시킴
2)노인 교육의 필요성
(1)H.Mc-Clusky
① 사회적·육체적 건강 외에 심리적 건강을 위해서 필요함
②자신이 소속된 사회에서 남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능력을 계속해서 가지고 있는 것
③무엇에든지 공헌을 해야겠다는 필요성
(2)변순옥
①신체적·생리적·성격적·지적 변화 및 생활습성의 변화에 대한 적응능력 발전
②노후의 여가 선용, 경제적 자립
③새로운 지식의 습들과 사회 변동에 대한 이해
④계속적인 교육으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건강관리 등에 대한 새로운 지식 습득
①사회 변화에 따른 적응과제로서의 노인 교육
②평생 교육적 차원에서의 노인 교육 : 사회의 불균등 연상 해소 기제
③고령화 사회의 도래에 따른 대비책으로서의 노인 교육
3.노인 교육의 현황
1)노인 학교의 설립 목적
-노인 보호 또는 노년 개발, 자기 단체의 세력확장이나 선전 또는 선교
예) ·한국성인교육회, 대한노인회, 대한삼락회 : 세력 확장, 노인학생회원의 교원양성
·한국청년회의소, 한국부인회, YMCA, YWCA, 적십자장년봉사회 : 노인경로, 위로
·종교계 : 경로와 선교
2)교육 과정 : 교양학습, 건강관리, 취미·오락, 관광·여행, 사회봉사
3)학교 운영비 : 설립 단체·독지가의 단독 부담, 지역사회 유지들의 찬조금, 정부 보조금,
학생들의 월회비 운영비의 부족
4)설립 목적의 다양화, 교육과정의 미비, 교육방법의 획일화, 운영비의 부족과 같은 문제에도 불구하고 1978년부터 교육부가 노인 교육에 대해 관심을 나타내기 시작함에 따라 증대
4.노인 평생 교육의 과제
1)노인 교육을 위한 장·단기 교육정책의 수립 및 체계적인 추진, 담당 행정부처 마련
2)노인 교육에 대한 체계적 연구
(1)노인의 학습능력, 발달 과업, 교육적 욕구에 대한 개념 정립을 위한 연구
(2)노인 교육의 방법론 : 목표 설정, 내용 선정·조직, 활동전개, 평가
3)노인 교육기관 및 시설의 다양화, 확대
4)교육 프로그램의 편성과 운영의 다양화, 교육 저해 요인의 최소화 및 참여 유인체제 기반의 구축, 행·재정적 지원, 젊은 세대의 노인 및 노인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이해 구축 등
참고문헌 ------------------------------------------------------
1. 김종서외(2001). 평생교육개론. 교육과학사.
2. 교육부(1997). 평생교육백서. 선명인쇄주식회사.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4.04.04
  • 저작시기2004.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57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